LAMD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필요성
3. 개발 현황
3.1. 이스라엘 아이언 돔 도입 고려 및 취소
3.2. 가성비 논란
3.3. 성능 및 가격
3.3.1. 한화시스템
3.3.2. LIG넥스원
3.4. 진행 현황
4. 구성
4.1. 유도탄 및 발사대
4.2. 레이더
4.3. 교전통제소
4.4. 차량
5. 분석 영상



1. 개요[편집]


파일:SSI_20220228165426.jpg

LAMD(Low Altitude Missile Defense)는 대한민국 국군이 개발하고 있는 장사정포 요격체계이다. 군사전문가와 밀덕들 사이에서 비공식 애칭으로 "한국형 아이언돔", "철갑(鐵甲)", "철지붕(鐵瓦)" 등으로 불리고 있다.# 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KAMD) 계획 중 하나이다.


2. 필요성[편집]


수 백발이 낮은 고도로 동시에 날아오는 북한의 장사정포와 방사포에 대응하고 수도권을 보호할 수 있는 '단거리 탄도요격체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대규모 드론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무기체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LAMD가 개발되면 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개발 현황[편집]



3.1. 이스라엘 아이언 돔 도입 고려 및 취소[편집]


한국군은 단거리 탄도요격체계로 이스라엘의 아이언돔 도입을 고려한 바 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자체개발이 더 적합하다고 결론지었다.
  • 요구성능과 위협수준의 차이
    • LAMD의 요격미사일은 해궁의 절반 가격 이하(1발 당 5억 정도)로 만들어도 여전히 아이언돔의 타미르 미사일(1발 당 5000만원 정도#)보다는 훨씬 비싸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군의 요격미사일 요구성능이 이스라엘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이 대응하는 주된 위협은 테러리스트 하마스의 로켓 기습이다. 이러한 공격에는 주로 까삼 로켓이나 이란제 파즈르 로켓 등이 사용되고 소구경 다연장 로켓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 또 하마스의 작전 수행 역량 역시 정규군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실제 하마스의 가장 최근 대규모 로켓기습이었던 2021년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사건 때도 발사한 로켓의 수는 많았지만 발사대 숫자에 한계가 있어서 결국 아이언돔 방공망을 효과적으로 돌파하지 못했다.#
    • 반면 우리나라가 대치하고 있는 북한군은 최소 240mm 이상의 다연장 로켓들을 휴전선 근처에 배치하고 있고, 이보다 큰 600mm초대형방사포KN-25[1]포까지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이스라엘보다 더 크고 많은 수의 포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북한군은 체계를 갖춘 엄연한 정규군이기 때문에 군사작전능력도 하마스와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다.# 방사청 역시 아이언돔 도입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는 지적에 대해 요구성능에서 차이가 크다고 설명했다.

  • 아이언돔의 까다로운 호환성
    • 아이언돔을 도입했던 미군에서 지적한 문제점이다. 2020년에 미국 육군은 육군 방공망에 아이언돔을 통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대공미사일 체계 하나를 방공망에 통합시키는 건 생각보다 어려울 수도 있는 문제고, 미국 외에는 수출 사례가 없는 아이언돔이라면 당연히 걱정할 수밖에 없는 문제다. 북한 장사정포 요격은 3군 모두의 전력 보존을 위해 중요한 사업이므로, 기존 방공방에 쉽게 통합될 수 있는 국내개발 체계가 보다 큰 이점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3.2. 가성비 논란[편집]


  • 개발될 LAMD의 요격미사일의 예상가격이 1발 당 6억 원(1형)에서 17억 원(2형)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북한의 포탄 1발 가격에 비해 너무 비싸다는 평가가 있다. 또 우리나라와 같은 안보환경에 있는 나라가 많지 않기 때문에 수출하기 쉽지 않은 무기체계라는 의견도 있다.#
  • 하지만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많은 인구와 자산이 집중되어 있고, 고층빌딩의 건설비가 보통 수천억원을 넘나드는 것을 보았을 때, LAMD 요격미사일로 이를 방어할 수 있다면 비싼 것이 아니라는 분석[2]도 있다.# 비슷한 성능을 가진 다른 나라의 요격체계[3]는 이보다 10배가량 비싸기 때문에 자체개발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 대규모 드론 공격을 방어하는데에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해외 수출 가능성도 높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3.3. 성능 및 가격[편집]



3.3.1. 한화시스템[편집]


  • 현재 개발 중인 레이더로 100개 이상의 북한 방사포 표적에 대한 대응능력과 파편과 미사일을 구분하는 능력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 ADD는 LAMD의 요격탄 탐색기를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방식으로 탐색기 안테나에 짐벌(Gimbal)을 달아 회전시키는데, 자체 연구로 짐벌이 필요 없는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레이더를 제안 중이다.#
  • 정밀한 표적 추적이 필요한 대공레이더.
  • GaN T/R (transmit receive)모듈 약 1만 개로 구성된 MFR 레이더를 제안하여 거리 40km 이상, 고도 10km 이상 거리에서 로켓포나 포탄을 탐지할 수 있다.#


3.3.2. LIG넥스원[편집]


  • LIG 넥스원의 LAMD 요격 미사일 제안의 핵심은 검증된 미사일을 기반으로 하여 신뢰성도 확보하고 가격도 낮추자는 것이다.#
  • 해궁 함대공 미사일을 기반으로 비용절감을 통해 해궁보다 저렴한 요격 미사일을 만들 계획이다. LIG넥스원에서는 원본 해궁의 가격인 10억원의 절반 이하로 만들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 신속한 탐지와 경보가 강점인 대포병레이더.
  • GaN T/R (transmit receive)모듈 약 1만 개로 구성된 MFR 레이더를 제안하여 거리 40km 이상, 고도 10km 이상 거리에서 로켓포나 포탄을 탐지할 수 있다.#


3.4. 진행 현황[편집]



  • 2022년 2월에 장사정포요격체계 비행시험 영상이 공개됐다.#


4. 구성[편집]



4.1. 유도탄 및 발사대[편집]


파일:lamd유도탄발사대.png


4.2. 레이더[편집]


파일:lamd레이더.png


4.3. 교전통제소[편집]




4.4. 차량[편집]


2022년 2월 28일 기준으로 시험 발사 공개 영상중 운용 차량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차량은 트레일러 방식이며, 레이더 또는 발사대를 견인하는 용도로 추정된다.[4] 차량의 형상은 이전에 공개되었던 현무 2C의 캡형상과 비슷한 것으로보아 계열화된 차량으로 추정된다.[5] [6] 개발 기간을 단축 등을 위해 별도의 차량을 따로 제작하기보다 플랫폼, 캡 등을 공유하여 계열 차량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7] 차량 제원 등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5. 분석 영상[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12:33:39에 나무위키 LAMD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두 방사포는 동일한 탄을 사용함.[2] 물론 요격미사일은 저렴할수록 좋다[3] 미국의 패트리엇 PAC-3 MSE 미사일은 발당 가격이 60억원#[4] 교전 통제소는 이와는 다르게 K-917 표준 차량이다.[5] K-9xx 표준 차량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구난용으로 도입되었고 이후 카고, HET, 발사대 등으로 계열화 되었다.[6] 다만 차이가 있다고 한다면, 현무 2C의 경우 운전실 뒤에는 엔진룸 또는 발전실로 추정되는 별도의 공간이 있었는데, 해당 차량은 해당 공간이 없는 형태이다.[7] 발사대 및 레이더를 운반하는 목적 이외에도 중량물을 운반하는 용도라면, 기존 K-915 표준차량 및 민수용으로 운용중인 HET 수송용으로도 활용될 가능성도 있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