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구의회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은평구/정치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0석, 구청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9석
재적

19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은평구의회
恩平區議會 | Eunpyeong-gu Council
파일:은평구의회.jpg

구성단원제, 다당제
개회1991년 4월 15일
주소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 195 (녹번동)
관할구역서울특별시 은평구
직원 수
예산
의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기노만 (아 선거구[아])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황재원 (라 선거구[라])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선거구 및 선거구별 의석 현황
4. 현황
4.1. 소속 상임위원회
5. 역대 선거 결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은평구의회(恩平區議會)는 은평구지방의회로, 은평구의 중요의사를 심의하고 결정하는 주민대표기관이고, 은평구조례를 제정하며, 은평구청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1991년 지방자치제도 실시로 인해 설립, 초대 구의원 선거를 1991년 3월 26일에 실시했고, 초대 구의회 개원은 1991년 4월 15일에 있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구의원 선거는 2022년 6월 1일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부로 실시되었으며, 8개 선거구와 2석의 비례대표 의석에서 19명의 구의원을 선출했다.


2. 역사[편집]


  • 1991년 4월 15일 - 지방의회 신설으로 인한 은평구의회 개원 및 초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37인)
  • 1995년 7월 - 제2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38인)
  • 1998년 7월 - 제3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20인)
  • 2002년 7월 - 제4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20인)
  • 2006년 7월 - 제5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18인)
  • 2010년 7월 - 제6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18인)
  • 2014년 7월 - 제7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19인)
  • 2018년 7월 - 제8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19인)
  • 2022년 7월 - 제9대 은평구의회 구성 (의원 19인)


3. 선거구 및 선거구별 의석 현황[편집]


현재 은평구의회에서는 은평구 전역을 8개의 선거구로 분할하여 한 선거구 당 2~3명의 구의원을 선출하고 있으며, 이외에 비례대표로 2명의 구의원을 선출한다.

선거구지역명선출 정수
가 선거구녹번동, 응암1동2
나 선거구응암2동, 응암3동2
다 선거구신사2동, 증산동, 수색동2
라 선거구역촌동, 신사1동3
마 선거구갈현1동, 갈현2동2
바 선거구진관동2
사 선거구불광1동, 불광2동2
아 선거구구산동, 대조동2
비례대표은평구 전역2
은평구19

현재 은평구의회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10명, 국민의힘 소속 의원 9명으로 구성된 여대야소 의회이다.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석 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석 수
공석선출 정수
가 선거구1102
나 선거구1102
다 선거구1102
라 선거구2103
마 선거구1102
바 선거구1102
사 선거구1102
아 선거구1102
비례대표1102
은평구109019

4. 현황[편집]



4.1. 소속 상임위원회[편집]


  • 의장 기노만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아 선거구[아])
    • 부의장 황재원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라 선거구[라])
  • 운영위원회 위원장 이동식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라 선거구[라])
  • 행정복지위원회 위원장 권인경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마 선거구[마])
  • 재무건설위원회 위원장 양기열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 마 선거구[마]))
  • 특별위원회


5. 역대 선거 결과[편집]


1991년 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37석)
무소속
37석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38석)
구정여당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무소속
38석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0석)
구정여당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소속
20석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0석)
구정여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소속
20석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8석)
구정야당구정여당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8석10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8석)
구정야당구정여당
9석9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9석)
구정야당구정여당
9석10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9석)
구정여당구정야당
15석4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9석)
구정여당구정야당
10석9석


6. 관련 문서[편집]





[아] A B 구산동, 대조동[라] A B C 역촌동, 신사1동[마] A B 갈현1동, 갈현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