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리 도비

덤프버전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펼치기 · 접기 ]
1776년1777년1779년1781년
조지 워싱턴소장 호레이쇼 게이츠소장 앤서니 웨인사령관 헨리 리 3세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1787년1800년1805년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존 폴 존스대령 토머스 트럭스턴준장 에드워드 프레블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1813년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1814년, 1848년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소장 제이컵 브라운소장 윈필드 스콧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1815년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소장 알렉산더 마콤소장 앤드루 잭슨대령 찰스 스튜어트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1835년1846년, 1847년, 1848년1847년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소장 재커리 테일러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1863년1864년1866년1867년
프레더릭 로즈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코닐리어스 밴더빌트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1871년1873년1874년, 1904년1883년
조지 피보디조지 F. 로빈슨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존 혼 주니어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1890년1900년1902년1909년
조지프 프랜시스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중위 프랭크 H. 뉴컴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1914년1915년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폴 H. 크라이봄 그 외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1929년1930년1936년
토머스 에디슨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소령 월터 리드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링컨 엘즈워스
1936년1938년1939년1940년
조지 코한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목사 프랜시스 퀸윌리엄 시넛
1942년1945년1946년
롤런드 바우처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준장 빌리 미첼
1949년1954년1955년1956년1958년
앨번 W. 바클리어빙 벌린조너스 소크 박사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1960년1961년1962년
로버트 고다드로버트 프로스트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밥 호프샘 레이번
1962년1968년1969년1973년1977년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월트 디즈니윈스턴 처칠로베르토 클레멘테매리언 앤더슨
1978년1979년
중장 아이라 C. 이커로버트 F. 케네디존 웨인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1980년1982년
미국 적십자케네스 테일러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베아트릭스 여왕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1983년
프레드 워링조 루이스루이스 라머레오 라이언대니 토머스
1984년1985년
해리 S. 트루먼레이디 버드 존슨엘리 비젤로이 윌킨스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1987년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에런 코플런드메리 래스커제시 오언스
1988년1990년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로런스 록펠러대장 매튜 B. 리지웨이대장 노먼 슈워츠코프대장 콜린 파월
1994년1996년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마더 테레사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리틀록 9인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찰스 M. 슐츠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2003년
대장 휴 셸턴토니 블레어재키 로빈슨도러시 하이트 박사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달라이 라마 14세바이런 넬슨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아웅 산 수 치콘스탄티노 브루미디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들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무함마드 유누스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2012년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라울 발렌베리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미국의 공군 에이스들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시몬 페레스모뉴먼츠 맨
2014년2015년2016년
제65 보병연대잭 니클라우스셀마 몽고메리 행진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OSS
2017년2018년
밥 돌래리 도비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들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캐서린 존슨크리스틴 다든도로시 본메리 잭슨
2019년2020년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그렉 르몬드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및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들제369 보병연대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2023년
미 육군 제23 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들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래리 도비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1946~1948).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1948

파일:1954 MLB 올스타전 로고.gif파일:1955 MLB 올스타전 로고.gif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49195019511952
195319541955

}}}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00385d> '''[[얼 애버릴|{{{#e50022 얼 애버릴}}}]]''' ||<width=20%> '''[[멜 하더|{{{#e50022 멜 하더}}}]]''' ||<width=20%> '''[[슈리스 조 잭슨|{{{#e50022 슈리스 조 잭슨}}}]]''' ||<width=20%> '''[[켄 켈트너|{{{#e50022 켄 켈트너}}}]]''' ||<width=20%> '''[[냅 라조이|{{{#e50022 냅 라조이}}}]]''' || ||<rowbgcolor=#00385d> '''[[스티브 오닐|{{{#e50022 스티브 오닐}}}]]''' || '''[[조 스웰|{{{#e50022 조 스웰}}}]]''' || '''[[트리스 스피커|{{{#e50022 트리스 스피커}}}]]''' || '''[[할 트로스키|{{{#e50022 할 트로스키}}}]]''' || '''[[사이 영|{{{#e50022 사이 영}}}]]''' || ||<rowbgcolor=#00385d> '''[[루 보드로|{{{#e50022 루 보드로}}}]]''' || '''[[빌 브래들리|{{{#e50022 빌 브래들리}}}]]''' || '''[[밥 펠러|{{{#e50022 밥 펠러}}}]]''' || '''[[밥 레몬|{{{#e50022 밥 레몬}}}]]''' || '''[[엘머 플릭|{{{#e50022 엘머 플릭}}}]]''' || ||<rowbgcolor=#00385d> '''[[사첼 페이지|{{{#e50022 사첼 페이지}}}]]''' || '''[[스탠 코벨레스키|{{{#e50022 스탠 코벨레스키}}}]]''' || '''[[래리 도비|{{{#e50022 래리 도비}}}]]''' || '''[[짐 헤간|{{{#e50022 짐 헤간}}}]]''' || '''[[얼리 윈|{{{#e50022 얼리 윈}}}]]''' || ||<rowbgcolor=#00385d> '''[[레이 채프먼|{{{#e50022 레이 채프먼}}}]]''' || '''[[로키 콜라비토|{{{#e50022 로키 콜라비토}}}]]''' || '''[[애디 조스|{{{#e50022 애디 조스}}}]]''' || '''[[알 로페즈|{{{#e50022 알 로페즈}}}]]''' || '''[[샘 맥도웰|{{{#e50022 샘 맥도웰}}}]]''' || ||<rowbgcolor=#00385d> '''[[알 로젠|{{{#e50022 알 로젠}}}]]''' || '''[[허브 스코어|{{{#e50022 허브 스코어}}}]]''' || '''[[짐 배그비 시니어|{{{#e50022 짐 배그비}}}]]''' || '''[[마이크 가르시아|{{{#e50022 마이크 가르시아}}}]]''' || '''[[찰스 내기|{{{#e50022 찰스 내기}}}]]''' || ||<rowbgcolor=#00385d> '''[[안드레 손튼|{{{#e50022 안드레 손튼}}}]]''' || '''[[조 고든|{{{#e50022 조 고든}}}]]''' || '''[[마이크 하그로브|{{{#e50022 마이크 하그로브}}}]]''' || '''[[샌디 알로마 주니어|{{{#e50022 샌디 알로마 주니어}}}]]''' || '''[[웨스 페럴|{{{#e50022 웨스 페럴}}}]]''' || ||<rowbgcolor=#00385d> '''[[딕 제이콥스|{{{#e50022 딕 제이콥스}}}]]''' || '''[[빌 비크|{{{#e50022 빌 비크}}}]]''' || '''[[케니 로프턴|{{{#e50022 케니 로프턴}}}]]''' || '''[[사이 슬랩니카|{{{#e50022 사이 슬랩니카}}}]]''' || '''[[게일로드 페리|{{{#e50022 게일로드 페리}}}]]''' || ||<rowbgcolor=#00385d> '''[[잭 그라니|{{{#e50022 잭 그라니}}}]]''' || '''[[짐 워필드|{{{#e50022 짐 워필드}}}]]''' || '''[[카를로스 바에르가|{{{#e50022 카를로스 바에르가}}}]]''' || '''[[존 하트|{{{#e50022 존 하트}}}]]''' || '''[[오마 비즈켈|{{{#e50022 오마 비즈켈}}}]]''' || ||<rowbgcolor=#00385d> '''[[지미 더들리|{{{#e50022 지미 더들리}}}]]''' || '''[[알버트 벨|{{{#e50022 알버트 벨}}}]]''' || '''[[찰리 제이미슨|{{{#e50022 찰리 제이미슨}}}]]''' || '''[[프랭크 로빈슨|{{{#e50022 프랭크 로빈슨}}}]]''' || '''[[짐 토미|{{{#e50022 짐 토미}}}]]''' || ||<rowbgcolor=#00385d> '''[[매니 라미레즈|{{{#e50022 매니 라미레즈}}}]]''' || '''[[데일 미첼|{{{#e50022 데일 미첼}}}]]''' || '''[[|{{{#e50022 }}}]]''' || '''[[|{{{#e50022 }}}]]''' || '''[[|{{{#e50022 }}}]]''' ||



파일:MLB 로고.svg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Doby Larry Plaque_NBL_0.png
래리 도비
헌액 연도1998년
헌액 방식베테랑 위원회 추천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5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거스 저니알
(시카고 화이트삭스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래리 도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알 로젠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5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알 로젠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래리 도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미키 맨틀
(뉴욕 양키스)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bgcolor=#000000> 1901년 ~ ||
||<width=20%> 1대
클락 그리피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02) ||<width=20%> 2대
지미 칼라한
파일:미국 국기.svg
(1903~1904) ||<width=20%> 3대
필더 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4~1908) ||<width=20%> 4대
빌리 설리반
파일:미국 국기.svg
(1909) ||<width=20%> 5대
휴 더피
파일:미국 국기.svg
(1910~1911) ||
|| 2대
지미 칼라한
파일:미국 국기.svg
(1912~1914) || 6대
팬츠 롤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1915~1918) || 7대
키드 글리슨
파일:미국 국기.svg

(1919~1923) || 8대
자니 에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 || 9대
에드 월시
파일:미국 국기.svg
(1924) ||
|| 10대
에디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 || 8대
자니 에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 || 10대
에디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5~1926) || 11대
레이 샬크
파일:미국 국기.svg
(1927~1928) || 12대
레나 블랙번
파일:미국 국기.svg
(1928~1929) ||
|| 13대
도니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1930~1931) || 14대
류 폰세카
파일:미국 국기.svg
(1932~1934) || 15대
지미 다익스
파일:미국 국기.svg
(1934~1946) || 16대
테드 라이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46~1948) || 17대
잭 온슬로
파일:미국 국기.svg
(1949~1950) ||
|| 18대
레드 코리덴
파일:미국 국기.svg
(1950) || 19대
폴 리차즈
파일:미국 국기.svg
(1951~1954) || 20대
마티 마리온
파일:미국 국기.svg
(1954~1956) || 21대
알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65) || 22대
에디 스탠키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68) ||
|| 23대
레스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8) || 21대
알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1968) || 23대
레스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8) || 21대
알 로페즈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69) || 24대
돈 거터리지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0) ||
|| 25대
빌 아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70) || 26대
척 태너
파일:미국 국기.svg
(1970~1975) || 19대
폴 리차즈
파일:미국 국기.svg
(1976) || 27대
밥 레몬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 28대
래리 도비
파일:미국 국기.svg
(1978) ||
|| 29대
돈 케신저
파일:미국 국기.svg
(1979) || 30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1979~1986) || 31대
더그 레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1986) || 32대
짐 프레고시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88) || 33대
제프 토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1989~1991) ||
|| 34대
진 라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5) || 35대
테리 베빙턴
파일:미국 국기.svg
(1995~1997) || 36대
제리 마누엘
파일:미국 국기.svg
(1998~2003) || 37대
아지 기옌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4~2011) || 38대
돈 쿠퍼
파일:미국 국기.svg
(2011) ||
|| 39대
로빈 벤추라
파일:미국 국기.svg
(2012~2016) || 40대
릭 렌테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2017~2020) || 30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2) || 41대
미겔 카이로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2) ||<bgcolor=#e0ffdb,#073300> 42대
페드로 그리폴
파일:미국 국기.svg
(2023~) ||
||<-5>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
||<-5><bgcolor=#fff,#191919>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4번
짐 헤간
(1946)
래리 도비
(1947~1948)
결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37번
에드 카일먼
(1946)
래리 도비
(1949)
딕 웨익
(1953)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4번
결번래리 도비
(1950~1953)
빌 글린
(1953)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6번
데이브 포프
(1952)
래리 도비
(1953)
빌 글린
(1953~1954)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4번
빌 글린
(1953)
래리 도비
(1953~1955)
테드 그레이
(1955)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14번
칼 사왓스키
(1954)
래리 도비
(1956~1957)
새미 에스포시토
(1958~1963)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4번
진 우들링
(1956~1957)
래리 도비
(1958)
티토 프랑코나
(1959~1962)
제시 레비스
(1992)
래리 도비영구결번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25번
알 시콧
(1958)
래리 도비
(1959)
론 슈프
(1959)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32번
돈 뮬러
(1958~1959)
래리 도비
(1959)
J.C. 마틴
(1959)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14번
휴 옌시
(1976)
래리 도비
(1977~1978)
토니 버나자드
(1981~1983)

파일:Larry Doby.jpg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No. 14
로렌스 유진 "래리" 도비
Lawrence Eugene "Larry" Doby
출생1923년 12월 13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캠든
사망2003년 6월 18일 (향년 79세)
뉴저지 주 몽클레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이스트사이드 고등학교 - 롱 아일랜드 대학교 브루클린 캠퍼스
신체185cm / 81kg
포지션중견수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1942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NE)
소속팀뉴어크 이글스 (1942~1944, 1946~1947)[1]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47~1955)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6~1957)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58)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59)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9)
주니치 드래곤즈 (1962)
지도자시카고 화이트삭스 타격코치 (1977~1978)
시카고 화이트삭스 감독 (1978)
기록사이클링 히트 (1952.6.4)

1. 개요
2. 빌 비크
3. 메이저리그
4. 일본프로야구
5. 은퇴 후
6. 래리 도비의 날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메리칸 리그 최초의 흑인 선수. 미국의 전 니그로리그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출신 야구 선수.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태어나서 뉴저지 주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롱아일랜드대학에 농구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17살에 뉴와크 이글스 (니그로리그에 속해있었던 팀)의 2루수로 야구 커리어를 시작앴다. 그때가 바로 1942년. 하지만 2년동안의 선수생활후 1944년과 1945년은 해군에 입대해서 2차대전에 참전했다. 종전후인 1946년에 다시 니그로리그로 돌아와서 활동하다가 1947년 7월, 바로 브루클린 다저스에서 재키 로빈슨이 데뷔한 지 3개월도 되지 않을 때 [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데뷔 하였다. 즉, 재키 로빈슨 다음인 두번째콩라인의 흑인 메이저리그이고, 아메리칸 리그의 최초 흑인 메이저리거다. 재키 로빈슨의 메이저리그 데뷔와 다른 점이 있다면, 재키 로빈슨은 1946년을 다저스 산하 마이너리그인 몬트리얼 로얄스에서 풀 시즌을 뛴 후에[3] 1947년에 데뷔했지만, 래리 도비는 니그로리그에서 옮겨오자마자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다.

2. 빌 비크[편집]




참고로 래리 도비를 데뷔시킨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구단주였던 빌 비크 (Bill Veeck)의 이야기를 짧게나마 하자면, 이 사람도 다저스의 전설적인 단장 브랜치 리키 못지않은 혁신적인 인물이었는데, 클럽하우스에서 래리 도비를 다른 선수들에게 한명씩 소개를 시킨다음에, 그중에 래리 도비와 악수하기를 거부한 3명의 선수를 곧 타팀으로 내보냈을 정도. 거기에다가 브랜치 리키재키 로빈슨을 데려올때, 재키 로빈슨이 속해있던 흑인구단에 아무런 보상도 하지 않았지만, 빌 비크는 래리 도비가 속해있던 흑인구단에 조금이나마[4] 보상을 하고 데려왔다.

이렇듯이 흑인의 인권 면에서는 브랜치 리키 못지않은 인물이었지만 브랜치 리키의 업적에 가려진 면이 강하다. 하지만 이 사람이 구단주로써 해왔던 결정들은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의 어정쩡한 연합이었던 메이저리그 야구에 니그로 리그의 우수한 흑인 선수들을 받아들이고 더불어 리그를 중서부로 확장하여 야구를 인종,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즐기는 전 미국인들의 대표적인 여가로 만든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리키 다음가는 미국 야구의 전국화에 공헌한 인물이다.

또한 1948년에는 메이저리그의 첫 흑인 투수인 사첼 페이지를 데뷔시켰다. 그리고 1948년에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 월드 시리즈 우승을 했을 때, 도비와 페이지는 첫 흑인 메이저리그 월드 시리즈 우승선수가 되었다.[5]. 브랜치 리키의 다저스가 재키 로빈슨을 영입한후 월드 시리즈 우승을 한것은 이거보다 몇년 후인 1955년이니,[6] 어떻게 보면 '우수한 흑인 선수들을 영입해서 월드 시리즈 우승을 하는 것'은 브랜치 리키보다 빌 비크가 훨씬 먼저 이룩했던 것.

정리하자면, 비록 브랜치 리키의 그늘에 가려지기는 했지만, 비크도 오늘날의 메이저리그가 정립되는 데 많은 공로를 세운 구단 경영자임에 분명하다. 이러한 공로들을 인정받아, 비크는 사후 5년만인 1991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메이저리그[편집]


다시 1947년의 래리 도비 이야기로 돌아와서, 재키 로빈슨이 그때 내셔날리그에서 활약하면서 온갖은 인종차별을 겪였듯이, 래리 도비도 같은시간에 아메리칸리그에서 활약하면서 똑같은 인종차별을 겪었고, 도비도 로빈슨과 같이 이런 각종 인종차별을 꿋꿋히 이겨냈다. 둘은 시즌중에 자주 전화통화로서 서로를 격려했다. 하지만 오늘날 재키 로빈슨이 유명한것과는 다르게 콩라인인 래리 도비는 아는사람들이 많지가 않다.

좌우간 13년 동안의 메이저리거 생활 중 7번의 올스타 출전, 2번의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1번의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을 차지하는 등, 출중한 실력을 보였다.

1948년1954년 2번의 월드 시리즈에 출전했으며 그 중 1948년 우승하면서 사첼 페이지와 함께 최초의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한 흑인 선수가 되었다.[7]

내성적인 성격이라서 팀과 리그 적응, 그리고 안팎에서 오는 공격에 상당한 마음 고생을 했었다. 내셔널 리그의 재키 로빈슨과 많이 비교되는 부분.[8]

4. 일본프로야구[편집]


1959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도비는 야구계를 떠나 주류 소매업자로 일하던 중, 1962년 주니치 드래곤즈의 스카웃 제의를 받고 돈 뉴컴과 함께 주니치 유니폼을 입었다. 현역을 떠난 지 3년이나 지났고 야구선수로서는 고령인 39세의 나이였는지라 제대로 된 활약은 기대하기 어려웠지만 전직 메이저리거 라는 상징성으로 일본 야구계의 화제를 불러 모았다. 1시즌 동안 72경기에 출장하여 240타수 54안타, 10홈런, 35타점, 타율 0.225 라는 평범 이하의 성적만 남긴 도비는 그 해를 끝으로 유니폼을 벗고 완전히 그라운드를 떠났다.[9]

5. 은퇴 후[편집]


은퇴 후 1978년에 친정팀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감독이 되었다. 다만 당시는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1차 황금기여서 서부지구 5위에 그쳤고, 결국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실패한 명선수 출신 감독이 되었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그의 등번호였던 14번을 영구결번으로 지정했고, 1998년에는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메이저리그 명예의전당에 헌역되었다.

참고로, 기자단 투표로는 명예의 전당에 가지 못했는데, 기자단 투표로 헌액된 재키 로빈슨과 비교를 해보자면 로빈슨은 메이저리그 생활 10년동안에 누적 WAR 57.2를 쌓았지만 도비는 좋은 선수이기는 했지만, 13년 동안 WAR 51.1를 찍었다. 즉 로빈슨보다 선수생활을 오래 했지만 누적 WAR는 로빈슨보다 떨어지는 것. 게다가 메이저리그의 사실상 첫 흑인 선수라는 버프를 받은 로빈슨도 77.50%의 턱걸이로 호프집에 입성한 것을 보면 도비가 기자단 투표로 가지 못한 것은 이상할 게 없다.[10][11]

이후 2003년 암으로 향년 79세에 숨을 거두었다.

6. 래리 도비의 날[편집]


1등만 기억하는 게 프로의 세계인지라, 재키 로빈슨은 등번호인 42번이 전구단 영구결번이 되었고, 재키 로빈슨의날 (4월 15일)도 있지만, 래리 도비는 그런 거 없다. 한때 메이저리그에 래리 도비의 날(Larry Doby Day)을 만드려는 노력도 있었지만 별 호응을 얻지 못하고 무산되어버렸다. 대신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매년 래리 도비의 날 행사를 한다.

7. 관련 문서[편집]



[1] 니그로리그 팀.[2] 재키 로빈슨은 1947년 4월 15일 에 메이서리그에서 데뷔 하였다. [3] 이것은 다저스 구단주인 브랜치 리키의 치밀한 계획에 의해서였다. 일단 1년동안을 마이너리그에서, 특이 인종차별이 덜한 몬트리얼에서 뛰면서 백인 관중들이 흑인이 백인들과 함께 뛰는것에 익숙해지기 위함도 있었다[4] 이 시대의 평가는 만약 래리 도비가 백인이었다면 그의 전 구단에 몇배는 더 줬어야 했을거라지만 보상을 한 자체가 대단한거다[5] 그리고 2021년 기준으로 이것이 가디언스의 마지막 월드 시리즈 우승이다.[6] 다저스는 그 동안 월드 시리즈에 1947, 1949, 1952, 1953에 꾸준히 진출하기는 했다. 네 번 다 뉴욕 양키스한테 진 것이 흠이지만. 오오 가을야구 호구 또 왔는가 1955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다시 만난 지긋지긋한 양키스를 꺾고 드디어 우승했다. 하지만 다음해인 1956년 월드 시리즈에서 또 양키스와 붙었고, 또 털렸다[7] 재키 로빈슨1955년 우승했다.[8] 로빈슨은 쾌활한 성격으로 다저스 선수들과 잘 어울렸다.[9] 같이 일본으로 온 돈 뉴컴은 원래 투수였지만 정작 1경기 등판에 그치고 주로 외야수로 출장하며 81경기, 279타수 73안타, 12홈런, 43타점, 타율 0.262를 기록하고 도비와 같이 은퇴했다.[10] 그리고 로빈슨은 신인왕, MVP 수상 등도 꽤 작용한 것도 있다. 하지만 도비는 그런 거 받은 적 없다.[11] 물론 호퍼들의 평균적인 WAR이 60정도인걸 생각하면 13년 커리어에 51.1은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5:15:43에 나무위키 래리 도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