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왕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태조 후혜종 후정종(定宗광종 후
경종 후성종 후목종 후현종 후
덕종 후정종(靖宗문종 후순종 후
선종 후숙종 후예종 후인종 후
의종 후명종 후신종 후희종 후
강종 후고종 후원종 후충렬왕 비
충선왕 비충숙왕 비충혜왕 비공민왕 비
우왕 비공양왕 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 태후혜종 태후정종(定宗 태후광종 태후
정화왕후장화왕후신명순성왕태후
원창왕후
위숙왕후
경종 태후성종 태후목종 태후현종 태후
대목왕후신정대왕태후헌애왕태후
(천추태후)
신성왕태후
선의왕태후효숙왕태후
현종 태후덕종 태후정종(靖宗 태후
왕대비}}}
문화대비
왕대비}}}
순안왕대비
원성왕태후
문종 태후순종 태후선종 태후헌종 태후
원혜태후인예태후사숙태후
숙종 태후예종 태후인종 태후의종 태후
인예태후명의태후문경태후
왕대비}}}
선평왕후
의종 태후명종 태후신종 태후희종 태후
공예태후선정태후
강종 태후고종 태후원종 태후
광정태후
태황태후}}}
원덕태후
상황후}}}
성평왕후
안혜태후
충렬왕 태후충선왕 태후충숙왕 태후충혜왕 태후
순경태후인명태후계국대장공주명덕태후
충목왕 태후충정왕 태후공민왕 태후우왕 태후
덕녕공주명덕태후인덕태후
우왕 태후창왕 태후공양왕 태후
순정왕후근비삼한국대비
왕대비}}}
정비



고려 숙종의 왕후
명의왕후 | 明懿太后
고려 예종의 모후
명의왕태후 | 明懿王太后
출생연대 미상
고려 개경 개성부 정주
(現 경기도 개풍군)
사망1112년 8월 8일
고려 개경 개성부 신박사
(現 경기도 개성시)
능묘숭릉(崇陵)
재위기간고려 왕후
1099년 3월 26일 ~ 1105년 11월 10일
고려 왕태후
1105년 11월 10일 ~ 1112년 8월 8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정주 류씨
부모부친 광숙공 류홍
(匡肅公 柳洪)
모친 낙랑국대부인 경주 김씨[1]
(樂浪國大夫人 慶州 金氏)
형제자매
1남 4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류인저(流仁著)
명의왕후
하원군군(河源郡君)[1]
정주 류씨[2]
정주 류씨
[1] 파평 윤씨 윤관의 3남 윤언식(尹彦植)의 부인 [2] 강릉 김씨 김상기의 차남 김고(金沽)의 부인
배우자숙종
자녀
7남 4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예종
차남 - 상당후 왕필(王佖)
3남 - 원명국사 징엄(澄儼)
4남 - 대방공 왕보(王俌)
5남 - 대원공 왕여 → 왕효(王侾)
6남 - 제안공 왕서(王偦)
7남 - 통의후 왕교(王僑)
장녀 - 대령궁주(大寧宮主)
차녀 - 흥수궁주(興壽宮主)
3녀 - 안수궁주(安壽宮主)
4녀 - 복녕궁주(福寧宮主)
종교불교
관저명복궁(明福宮)
→ 천화전(天和殿) 숭명부(崇明府)
작호명복궁주(明福宮主)
→ 연덕궁주(延德宮主)
시호광혜유가명의왕태후
(光惠柔嘉明懿王太后)
절일지원절(至元節)
[1] 김원황의 장녀
1. 개요
2. 영광의 태후



1. 개요[편집]


숙종의 왕후이자 예종 문효대왕의 어머니. 시호는 숙종 明효대왕과 明 자 돌림이다.

고려 정주(貞州)[1] 출신이며 할아버지는 류소, 아버진 문하시중 류홍, 남동생은 류인저이다. 어머니는 경주 김씨김원황의 딸이다.[2] 남편과 금슬도 매우 좋아[3] 아들 7명에 딸 4명을 가졌다.


2. 영광의 태후[편집]


명의왕후가 궁주였을 때 유명하고 오래된 궁궐을 하사받았는데 명복궁은 고려 초부터 존재해온 유서 깊은 궁전이고 연덕궁은 남궁이라고도 불린 유명한 별궁이었다. 이후 숙종 4년인 1099년 3월 2일 왕비(王妃)로 책봉되어 숙종의 왕후로 인정된다.

이후 숙종이 붕어하고 맏아들인 예종이 등극하자 황태후 존호를 받고 본궐 내에 관저 천화전(天和殿)과 산하기관 숭명부(崇明府), 절일[4]을 지원절(至元節)로 정하게 된다.[5] 이후 예종 재위 6년에 사망한다.

시호는 명의왕태후(明懿王太后)이며 손자 인종이 유가(柔嘉), 4대손 고종이 광혜(光惠)의 시호를 추가로 올렸다. 원찰은 천수사이다.

명의왕후의 장례에 요나라에서도 사신을 보내 애도했다. 그런데 당시 고려 조정의 반응이 "임금님, 이웃나라[6]가 태후께서 돌아가셨는데 조문하려 와 제사를 지낸 것이 이번이 처음 아닌가요? '인국(隣國)'[7]이 이런 예(禮)를 보여줬으니 모든 백료(百僚)[8]들이 축하해야 마땅합니다."라며 은근슬쩍 요나라를 상국(上國)이 아닌 인국(隣國)으로 낮췄다.

명의왕후에 대한 기록은 '최계방의 묘지명'에도 등장하는데, 여기에선 명의대후(明懿大后)로 기록되어 있다. 최계방(崔繼芳)은 최사위의 증손자로 모친인 낙랑군대부인(樂浪郡大夫人) 김씨와 명의왕후의 어머니인 낙랑국대부인(樂浪國大夫人) 김씨는 자매지간이다. 즉 최계방은 명의왕후와 이종사촌 지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1:34:17에 나무위키 명의왕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대한민국 경기도 개풍군[2] 최계방 묘지명[3] 참고로 고려 숙종은 후궁이 없다. 어린 나이에 죽은 왕들을 빼면 고려사에서 유일하다.[4] 생일[5] 동시에 명의왕후의 출신지인 개경 개성부 정주는 개경 승천부(承天府, 昇天府)로 행정단위가 수직 상승한다. 개성부에 예속된 경기 상태에서 부(府)로 따로 분리 된 것이다.[6] 인국(隣國)[7] 《고려사》 후비열전 명의태후 원문 기록[8] 모든 벼슬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