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옹진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중구·강화군·옹진군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옹진군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중구·강화군·옹진군옹진군 전역 + 중구, 강화군
시의원옹진군옹진군 전역

1.1. 군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옹진군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석, 군수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4석
무소속

1석
재적

7석



8회 지선 당시 무소속으로 당선된 1명이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면서 여소야대 군정이 되었다.

2. 지역 특징[편집]


아무래도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에 북한과 가깝다 보니 인천 내에서 강화군과 함께 보수 정당이 상당히 우세한 지역이다. 대한민국 국회의원의 경우 인구가 적어 가까운 중구동구에 묻어간다. 정치 성향의 경우 옛날부터 지역 특성상 보수정당이 우세했고, 그게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새누리당 후보가 64.78%, 민주통합당 후보가 35.21%를 받아 무려 더블스코어에 가까운 차이를 냈다. 사실 이 동네가 보수정당이 우세한 이유는 시골이라는 것은 표면적 이유고, 실제 이유는 강원특별자치도처럼 북한이 바로 위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엔 총선을 치를 때마다 민주당계 정당 후보도 적어도 30%를 받고 있고, 그리고 한 때는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이 한나라당 득표율을 앞서기도 했다.[1]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보수정당이 대체로 강세다. 그렇지만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된 제16대 대통령 선거 때는 무려 37.6%를 받은 적도 있었다. 하지만 2010년 연평도 포격전 발발 이후로는 보수정당이 초강세를 보이면서 사실상 보수의 텃밭이 되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무려 71.9%의 득표율을 기록해 27.1%를 받은 문재인 후보를 무려 트리플 스코어에 가깝게 관광을 보냈다. 특히 대청면[2]의 경우 박근혜 후보가 무려 85.7%의 득표율을 기록했는데, 읍면동을 기준으로 영남권을 제외한 지역 중 가장 박근혜 후보의 득표율이 높은 곳이다. 대경권 지역의 박근혜 후보 평균 득표율인 80.8%보다도 높다! 심지어 새누리당이 참패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조차도 이 지역에서만큼은 비례대표 새누리당 득표율이 58% 가까이 나왔고, 지역구로 봐도 무소속으로 출마한 안상수가 무려 36%를 잠식했음에도 새누리당 후보가 43%로 1위를 했으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난 이후에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홍준표 후보가 전 지역에서 1위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대청면과 북도면이 옹진군 내에서도 보수세가 매우 강해서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의 득표율이 50%를 넘겼을 정도였다. 반면 연평도 포격 사건이 일어난 연평면의 경우 의외로 홍준표의 득표율이 가장 낮았는데, 정작 문재인의 득표율도 평균 이하였고, 대신 안철수유승민이 평균 이상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해 연평면에 주둔하고 있는 대한민국 해병대 장병들의 표심이 안철수와 유승민 쪽으로 분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옹진군 내부에서도 북한과 인접한데다 해병대가 주둔하고 있는 서해 5도 지역과 구 부천군 지역의 표심이 약간 다른데, 서해 5도 지역(특히 연평면, 백령면)은 북한과 인접해 보수적이면서도 젊은 해병대 장병들의 표심이 중도 아니면 개혁보수 쪽으로 분산되거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같이 남북 평화 무드에 따라 민주당 쪽으로 이동하는 등의 성향을 보이는 반면 영흥면 등의 구 부천군 지역은 노년층 비중이 높아 보수세가 강한 것이기 때문에 북한 관련 변수와 관계 없이 보수세가 꾸준히 강한 편이다.

원래는 강화군을 뛰어넘는 인천 최고의 보수강세 지역이었으나, 19대 대선을 마지막으로 강화군보다는 보수세가 약간 더 낮게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보수적인 지역임은 분명하다.

참고로 옹진군수 자리는 기초자치단체장 후보들에게는 꿈의 장소로 꼽혔다. 이유는 한 번 당선되면 3선 연임에 걸릴 때까지 자리를 보전할 수 있는 곳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선 6기까지 배출된 군수는 조건호, 조윤길 단 2명밖에 안된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옹진군은 100여개 섬으로만 이뤄져 있어 후보들이 2주 남짓한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모든 섬을 방문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며, 교통수단이 선박으로 이동하는 것밖에 없다 보니 관선이 있어서 이동이 보다 편하고 실제로 업무를 보는 현직 군수에 비해 다른 후보들은 선거 유세에서부터 두각을 보이기가 힘들기에 평소 섬 주민과 끈끈한 유대관계를 다져온 현직 군수가 훨씬 유리할 수밖에 없어서이다.

이 때문에 촌이지만 공천 경쟁률이 다른 대도시들 저리가라 할 정도로 상당히 치열하다. 그러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선 7기 군수인 장정민 군수가 낙선하여 3선은 커녕 재선도 실패하여 옹진군수 3선 신화가 깨졌다.

21대 총선에서는 통합당 배준영 후보가 58%를 받으며 보수 강세 지역으로 회귀했는데, 이번에도 연평면에서는 민주당 조택상 후보가 46%를 받으며 경합을 보였다.

8회 지선에서도 인천시장 선거에 나온 박남춘 후보는 옹진군 중 연평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옹진군수 선거의 장정민 후보도 연평면에서는 9표 차이로 이겼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3]
안산시·옹진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장경우재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선[4]
중구·동구·옹진군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서정화4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서상섭초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한광원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상은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5]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20대
[[무소속|
무소속
]]
안상수3선
중구·강화군·옹진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배준영초선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역대 옹진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한나라당
조건호조윤길
201420182022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조윤길장정민문경복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조건호 100.00%[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조건호 44.01%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봉걸 24.89%
3위:
[[무소속|
무소속
]]
이상철 16.92%
4위:
[[무소속|
무소속
]]
이병화 14.17%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조건호 63.8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종길 36.18%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윤길 44.08%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철호 30.12%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필우 25.78%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윤길 무투표 당선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조윤길 65.75%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기조 28.59%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정민 40.32%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정섭 36.84%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기조 11.41%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문경복 55.46%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정민 44.53%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1] 사실 16대 총선 당시 새천년민주당 서정화 의원은 원래 군인 출신 인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정당인 신한국당 소속으로 이 지역구 현역 의원이 되었는데, 16대 총선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인 민주당으로 옮겨서 출마했었다. 반면 한나라당 서상섭 후보는 통합민주당에 있다가 통합민주당이 한나라당에 합당되면서 한나라당 소속이 되었다. 거기에다가 자유민주연합 이세영 후보는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중구청장이 되었다가 16대 총선에서는 자민련으로 옮겨서 출마했다. #[2]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바로 대청해전이 이 지역 근해에서 일어났다.[3]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으므로, 14대 국회 종료와 함께 인천으로 선거구가 변경되었다.[4] 95.6.10 의원직 사퇴(경기도지사선거 출마)[5] 15.12.24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인천광역시장[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옹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후보박남춘유정복문병호김응호
득표수5,5076,904490354
득표율41.54%52.08%3.69%2.67%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8,938
투표 수13,908
무효표 수653
투표율73.44%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인천 옹진군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투표율
후보박남춘유정복문병호김응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507
(41.54%)
6,904
(52.08%)
490
(3.69%)
354
(2.67%)
-1,397
(▼10.54)
73.44%
북도면32.64%62.28%2.18%2.90%29.6470.56
연평면49.52%42.79%4.84%2.85%6.73[6]68.23
백령면38.91%55.02%3.48%2.59%▼16.1170.60
대청면34.56%60.74%2.55%2.15%▼26.1882.37
덕적면36.77%57.29%3.71%2.23%▼20.5274.70
자월면34.06%60.47%3.42%2.05%▼26.4172.73
영흥면43.07%49.56%4.33%3.04%▼6.4961.82
후보박남춘유정복문병호김응호격차
거소·선상투표60.42%30.55%5.56%3.47%29.87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옹진군 개표 결과
인천광역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박남춘유정복(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756
(30.86%)
7,950
(65.31%)
- 4,194
(▼34.45)
12,693
(67.17%)
북도면26.04%70.61%▼44.5768.06
연평면34.89%60.88%▼25.9955.13
백령면31.30%63.56%▼26.0062.03
대청면32.54%64.73%▼32.1972.67
덕적면30.33%64.01%▼33.7869.71
자월면28.16%69.71%▼41.5568.61
영흥면29.06%67.90%▼38.8459.00
후보박남춘유정복격차
거소·선상투표34.17%54.43%▼20.26
관외사전투표34.09%62.43%▼28.34
국회의원
선거구
박남춘유정복격차투표율
중·강화·옹진[7]37.15%59.32%▼22.1749.80
후보박남춘유정복격차투표율
구 황해도[8]32.31%63.23%▼28.2959.66
구 부천군[9]28.62%67.63%▼39.0163.25
옹진군수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장정민문경복(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457
(44.53%)
6,797
(55.46%)
- 1,340
(▼10.93)
12,693
(67.17%)
북도면41.00%58.99%▼17.9968.06
연평면50.50%49.49%△1.01[10]55.13
백령면52.61%47.38%△5.3362.03
대청면57.07%42.92%△15.1572.67
덕적면44.80%55.19%▼10.3969.71
자월면47.01%52.98%▼5.9768.61
영흥면34.07%65.92%▼31.8359.00
후보장정민문경복격차
거소·선상투표46.15%53.84%▼6.69
관외사전투표42.95%57.04%▼14.09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A]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4,5743,2481,662399
득표율73.14%16.30%8.34%2.00%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22,444
투표 수20,466
무효표 수964
투표율91.19%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A]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6,5461,7482,180504
득표율58.43%15.60%19.45%4.49%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14,096
투표 수11,529
무효표 수326
투표율81.79%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6221,7242,578
득표율44.67%21.26%31.79%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10,300
투표 수8,343
무효표 수236
투표율81.00%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4,6292,990262
득표율58.11%37.53%3.2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1,225
투표 수8,164
무효표 수199
투표율72.73%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1,8655,4732433831,367
득표율19.56%57.42%2.54%4.01%14.34%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14,172
투표 수9,682
무효표 수151
투표율68.32%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9,1973,470
득표율71.91%27.13%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7,311
투표 수12,903
무효표 수115
투표율74.54%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옹진군
옹진군 일원[옹진]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3,9355,8343,092875656
득표율27.02%40.06%21.23%6.0%4.50%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8,872
투표 수14,747
무효표 수185
투표율78.14%

19대 대선 인천 옹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935
(27.02%)
5,834
(40.06%)
3,092
(21.23%)
875
(6.0%)
656
(4.50%)
-1,899
(▼13.04)
78.14%
북도면19.06%53.81%18.80%3.99%2.77%▼34.7574.10
연평면24.91%38.94%23.74%7.28%3.42%▼14.0372.69
백령면25.30%43.67%19.11%7.50%3.50%▼18.3773.44
대청면20.55%56.48%15.07%4.74%2.11%35.9382.87
덕적면25.40%43.91%22.23%3.63%3.07%▼18.5174.52
자월면19.17%47.72%24.77%4.17%3.39%▼22.9576.28
영흥면27.60%39.14%23.0%4.47%4.72%▼11.5469.93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54%18.34%31.45%6.35%3.53%△4.09
관외사전투표41.38%21.0%21.27%7.45%8.28%△20.11
재외투표62.33%8.47%13.49%3.81%10.98%48.84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11][12]35.32%29.40%22.45%5.70%6.44%△5.9274.2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옹진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218
(35.58%)
8,797
(59.99%)
- 3,579
(▼24.41)
14,912
(79.91%)
북도면25.47%70.56%▼45.0976.82
연평면34.08%57.32%▼23.2469.40
백령면34.54%60.54%▼26.0074.79
대청면26.01%67.59%▼41.5879.35
덕적면35.02%61.13%▼26.1177.50
자월면27.46%69.55%▼42.0976.14
영흥면40.63%55.97%▼15.3474.6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9.28%48.80%▼9.52
관외사전투표38.30%57.87%▼19.58
재외투표61.76%35.29%△26.4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중·강화·옹진[13]43.56%52.55%▼9.0075.40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구 황해도[14]32.85%61.14%▼28.2972.91
구 부천군[15]35.87%60.60%▼24.7374.39


3.3. 총선[편집]



3.3.1. 안산군·옹진군[편집]



3.3.2. 중구·동구·옹진군[편집]



3.3.3.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편집]



3.3.4. 중구·강화군·옹진군[편집]


21대 총선 옹진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중구·강화군·옹진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조택상배준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289
(39.71%)
7,718
(57.95%)
- 2,429
(▼18.24)
13,651
(73.46%)
[ 펼치기 · 접기 ]
북도면29.68%67.90%▼38.2273.06
연평면46.04%50.38%▼4.3467.92
백령면38.53%59.19%▼20.6670.22
대청면34.84%63.96%▼29.1379.44
덕적면35.26%62.96%▼27.7175.20
자월면33.78%63.89%▼30.1173.76
영흥면42.05%56.03%▼13.9963.53
후보조택상배준영격차
거소·선상투표47.39%41.73%△5.65
관외사전투표45.65%52.10%▼6.45
재외투표70.00%30.00%△40.00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955
(47.09%)
3,272
(25.87%)
812
(6.42%)
529
(4.18%)
420
(3.32%)
+ 2,683
(△21.22)
13,654
(73.46%)
[ 펼치기 · 접기 ]
북도면58.82%19.21%3.56%2.47%2.01%△39.6273.06
연평면41.21%28.62%6.29%5.17%3.04%△12.5967.92
백령면46.98%24.71%6.47%5.17%2.55%△22.2770.22
대청면52.44%24.29%5.33%2.04%1.81%△28.1579.44
덕적면53.00%23.04%6.61%3.20%2.60%△29.9675.20
자월면55.22%23.58%5.52%2.98%2.23%△31.6473.76
영흥면45.25%28.50%6.35%3.87%4.21%△16.7463.54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6.90%25.11%6.27%12.10%5.38%△1.79
관외사전투표41.16%28.67%8.71%4.69%4.73%△12.49
재외투표10.00%20.00%0050.00%▼40.00




[옹진] A B [6] 불과 71표 차이였다.[7] 지역구 국회의원 : 배준영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8] 연평면, 백령면, 대청면. 서해 5도를 의미한다.[9] 북도면, 덕적면, 자월면, 영흥면. 한때 연안부두 생활권으로 묶여있었다. 또한 1973년 부천군 해체 전까지 대부도와 같이 부천군 소속이었다.[10] 장정민 후보가 문경복 후보에게 9표차이로 승리했다.[A] A B 당시에는 경기도 소속이었으나, 편의상 이곳에 함께 기록하기로 한다.[11]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안상수[12] 관할 동 : 중구 전체, 동구 전체, 강화군 전체, 옹진군 전체[13] 지역구 국회의원 : 배준영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14] 연평면, 백령면, 대청면. 서해 5도를 의미한다.[15] 북도면, 덕적면, 자월면, 영흥면. 한때 연안부두 생활권으로 묶여있었다. 또한 1973년 부천군 해체 전까지 대부도와 같이 부천군 소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