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 순위표에서 이름이 굵은 글씨로 적힌 팀은 16개국 본선에 진출한 팀을 의미한다.
1. 진출권 배당
2. 예선
2.1. 1조(유럽)
2.2. 2조(유럽)
2.3. 3조(유럽)
2.4. 4조(유럽)
2.5. 5조(유럽)
2.6. 6조(유럽)
2.7. 7조(유럽)
2.8. 8조(유럽)
2.11.1. 1라운드
2.11.2. 2라운드
2.11.3. 최종 라운드


1. 진출권 배당[편집]


16개 팀을 뽑는 지역 예선에서 16개팀 본선 진출권 배당은 아래와 같다.
대륙진출권 수출전국경쟁률
유럽(1~8)12211.75:1
아메리카(9~11)382.66:1
아프리카&아시아(12)133:1


2. 예선[편집]



2.1. 1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220082+64
2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리투아니아100102-20
3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에스토니아100126-40

경기장스톡홀름 올림피아스타디온
스톡홀름 - 스웨덴
경기일1933년 6월 11일
국 가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득 점62
득점자크누트 크룬 (7')
렌나르트 분케 (10')
베르틸 에릭손 (13', 70')
토르스텐 분케 (43')
스벤 안데르손 (79')(PK)
리온하르트 카시 (47')
리차르드 쿠레마 (61')

경기장카우리오메네스 스타디오나스
카우나스 - 리투아니아
경기일1933년 6월 29일
국 가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득 점02
득점자크누트 한손 (55', 65')

스웨덴이 2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고, 탈락이 확정된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의 경기는 취소되었다.


2.2. 2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스페인2200111+104
2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2002111-100

경기장에스타디오 데차마르틴[1]
마드리드 - 스페인
경기일1934년 3월 11일
국 가스페인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득 점90
득점자차초 (3')
이시드로 랑가라 (13', 14'[2], 46', 71', 85')
루이스 레게이로 (65', 70')
마르틴 벤톨라 (68')

경기장이스타디우 두 루미아르[3]
리스본 - 포르투갈
경기일1934년 3월 18일
국 가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페인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득 점12
득점자비토르 실바 (10')이시드로 랑가라 (12', 25')

스페인이 본선에 진출했다.


2.3. 3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이탈리아110040+42
2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그리스100104-40

경기장스타디오 산시로[4]
밀라노 - 이탈리아
경기일1934년 3월 25일
국 가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득 점40
득점자안필로지노 구아리시 (40')
주세페 메아차 (44', 71')
조반니 페라리 (69')

원래 피파는 개최국은 지역예선은 면제하는 이점을 규칙으로 했었으나, 이탈리아가 우리도 예선 치루고 정정당당히(?) 진출하겠다며 저 이점을 걷어 차버렸다.[5] 다음 대회의 개최국인 프랑스는 개최국 자동 진출을, 이탈리아는 디펜딩챔피언 자동진출을 했다. 따라서 월드컵 역사상 유일하게 월드컵 진출을 위해 FIFA 월드컵 지역예선을 치른 개최국으로 남게 되었다.

원래 홈-어웨이로 싸우나 한 경기만 치르고 그리스가 기권하여 이탈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2.4. 4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헝가리220082+64
2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110061+52
3파일:불가리아 국기.svg불가리아3003314-110

경기장스타디온 A.C. 23
소피아 - 불가리아
경기일1934년 3월 25일
국 가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헝가리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득 점14
득점자디미타르 바이쿠셰프 (27')샤로시 죄르지 (29')
서보 가보르 (61')
톨디 게저 (88')
머르코시 임레 (89')

경기장프라터슈타디온[6]
- 오스트리아
경기일1934년 4월 25일
국 가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득 점61
득점자요한 호르바트 (19', 22', 33')
카를 치셰크 (59')
루디 피어틀 (62')
마티아스 신델라 (67')
미하일 로자노프 (66')

경기장헝가리아쾨루트
부다페스트 - 헝가리
경기일1934년 4월 29일
국 가헝가리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득 점41
득점자서보 가보르 (9', 58')
솔티 요제프 (60', 73')
블라디미르 토도로프 (61')

불가리아가 중도에 기권하여 헝가리오스트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2.5. 5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체코 국기.svg체코슬로바키아220041+34
2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200214-30

경기장폴란드 육군 경기장[7]
바르샤바 - 폴란드
경기일1933년 10월 15일
국 가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득 점12
득점자헨리크 마르티나 (52')(PK)요제프 실니 (37')
프란티셰크 펠츠네르 (78')

  • 제2경기[8]: 체코슬로바키아 2 vs 0 폴란드
경기장
프라하 - 체코슬로바키아
경기일1934년 4월 15일
국 가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득 점20
득점자

폴란드가 한 경기만 치르고 기권하여 체코슬로바키아가 진출했다.


2.6. 6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211043+13
2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20204402
3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201134-11

경기장스타디온 BS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現 세르비아)
경기일1933년 9월 24일
국 가유고슬라비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득 점22
득점자블라디미르 크라기치 (50')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 (61')
알레산드로 프리제리오 (76')
빌리 예기 (80')

  • 제2경기[9]: 스위스 2 vs 2 루마니아
경기장방크도르프슈타디온
베른 - 스위스
경기일1933년 10월 29일
국 가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득 점22
득점자에르빈 호흐슈트레서 (75')
에른스트 후프슈미트 (80')(PK)
그라치안 세피 (18')
슈테판 도바이 (65')


루마니아스위스가 진출했다.[10]


2.7. 7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220094+54
2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201168-21
3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 자유 주[11]201169-31

경기장달리마운트 파크
더블린 - 아일랜드 자유 주
경기일1934년 2월 25일
국 가아일랜드 자유 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득 점44
득점자패디 무어 (27', 48', 59', 75')장 카펠레 (13')
스탄 판덴에인더 (25')
프랑수아 판덴에인더 (47', 62')

경기장올림피쉬스타디온
암스테르담 - 네덜란드
경기일1934년 4월 8일
국 가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일랜드 자유 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득 점52
득점자키크 스미트 (41', 85')
베프 바크하위스 (67', 78')
레인 펜터 (83')
조니 스콰이어스 (44')
패디 무어 (57')

경기장보쉴스타디온
안트베르펀[12] - 벨기에
경기일1934년 4월 29일
국 가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득 점24
득점자로랑 그리몽프레 (51')
베르나르트 포르호프 (71')
키크 스미트 (60')
베프 바크하위스 (62', 84')
레인 펜터 (64')

벨기에아일랜드 자유 주를 골득실 차이로 힘겹게 물리치고 네덜란드와 함께 이탈리아행 티켓을 차지했다.


2.8. 8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독일110091+82
2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프랑스110061+52
3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2002215-130

경기장스타드 조시 바르텔
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경기일1934년 3월 11일
국 가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독일
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득 점19
득점자에른스트 멩겔 (27')요제프 라셀른베르크 (3', 36', 56', 90')
빌리 비골트 (12')
에른스트 알브레흐트 (25')
카를 호만 (30', 51', 53')

경기장스타드 조시 바르텔
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경기일1934년 4월 15일
국 가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득 점16
득점자테오필레 스파이셰르 (46')알프레드 아스통 (3')
장 니콜라 (26', 67', 84', 89'[13])
에르네스트 리베라티 (80')

독일프랑스가 각각 룩셈부르크를 잡았고, 룩셈부르크가 2패로 탈락이 확정되면서 본선행이 확정된 독일과 프랑스의 경기는 생략되었다.


2.9. 9조(아메리카)[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브라질00000000
-파일:페루 국기(1884–1950).png페루기권
페루가 기권하여 브라질이 무혈입성하였다.


2.10. 10조(아메리카)[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00000000
-파일:칠레 국기.svg칠레기권
칠레가 기권하여 아르헨티나가 무혈입성하였다.


2.11. 11조(아메리카)[편집]



2.11.1. 1라운드[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쿠바3210102+85
2파일:500px-Flag_of_Haiti_(1859-1964)_svg.png아이티3012210-81

경기장파르크 르꽁뜨[14]
포르토프랭스 - 아이티
경기일1934년 1월 28일
국 가아이티
파일:500px-Flag_of_Haiti_(1859-1964)_svg.png
쿠바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득 점13
득점자로베르 생포 (85')(PK)마리오 로페스 (20')(PK)
엑토르 소코로 (61')
앙헬 마르티네스 (64')

경기장파르크 르꽁뜨
포르토프랭스 - 아이티
경기일1934년 2월 1일
국 가아이티
파일:500px-Flag_of_Haiti_(1859-1964)_svg.png
쿠바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득 점11
득점자로베르 생포 (25')(PK)마리오 로페스 (85')

경기장파르크 르꽁뜨
포르토프랭스 - 아이티
경기일1934년 2월 4일
국 가아이티
파일:500px-Flag_of_Haiti_(1859-1964)_svg.png
쿠바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득 점06
득점자엑토르 소코로 (5')
마리오 로페스 (18', 86')
프란시스코 소코로 (37')
엔리케 페레르 (62')
살바도르 소토 (78')

쿠바가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11.2. 2라운드[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3300123+96
2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쿠바3003312-90

경기장파르케 네칵사
멕시코 시티 - 멕시코
경기일1934년 4월 4일
국 가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쿠바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득 점32
득점자디오니시오 메히아 (12', 14', 16')마리오 로페스 (40', 63')

경기장파르케 네칵사
멕시코 시티 - 멕시코
경기일1934년 4월 11일
국 가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쿠바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득 점50
득점자호르헤 소타 (24')
디오니시오 메히아 (31', 40', 79')
펠리페 로사스 (72')

경기장파르케 네칵사
멕시코 시티 - 멕시코
경기일1934년 4월 18일
국 가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쿠바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득 점41
득점자마누엘 알론소 (32', 85')
호세 루발카바 (41')
페르난도 마르코스 (60')
마리오 로페스 (15')

멕시코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11.3. 최종 라운드[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미국110042+22
2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100124-20

경기장스타디오 나치오날레 PNF
로마 - 이탈리아
경기일1934년 5월 24일
국 가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득 점42
득점자알도 도넬리 (28', 32', 74', 87')마누엘 알론소 (23')
디오니시오 메히아 (75')

11조 예선은 여러 라운드를 거쳐서 다른 조들보다 시간이 더 걸렸다. 게다가 미국이 최종 엔트리를 늦게 내는 바람에 더욱 늦어졌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상업 항공편 같은 것도 없었기 때문에 결국 미국멕시코가 월드컵 개막 사흘 전에 개최국인 이탈리아 로마에서 최종 예선을 치를 수밖에 없었고, 알도 도넬리의 원맨쇼에 힙입어 미국멕시코를 4대2로 꺾고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하였다.


2.12. 12조(아시아 + 아프리카)[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집트 국기 (1922-1958).png이집트2200112+94
2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svg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2002211-9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터키[15]00000000

경기장영국 육군 경기장
카이로 - 이집트
경기일1934년 3월 16일
국 가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 (1922-1958).png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svg
득 점71
득점자마흐무드 모크타르 (11', 35', 51')
무스타파 카멜 타하 (21', 79')
무함마드 라티프 (43', 87')
아브라함 뉴델만 (61')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16]이집트는 각각 아시아아프리카 최초의 월드컵 지역예선 참가 및 이집트는 아프리카 최초의 최초의 16개국 본선 진출국이다.[17] 당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팀은 아랍계 선수들보다는 영국과 유태계 선수들이 많았던 팀[18]이라 이들의 데이터는 현재 이스라엘이 이어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7:18:20에 나무위키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47년에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가 개장되기 이전의 레알 마드리드의 홈구장[2] 패널티킥[3] 1956년에 스포르팅 CP의 홈구장인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가 개장되기 이전의 홈구장. 현재의 주제 알발라즈는 2003년에 다시 지어진 구장이다[4] AC 밀란인터 밀란이 두 집 살림을 하는 경기장. 1980년에 주세페 메아차의 이름이 헌정되어 인터 밀란에서는 주세페 메아차, AC 밀란에서는 거리가 있는 이름 그대로 산 시로라고 부르고 있다. 두 이름 다 맞는 이름[5] 참고로 디펜딩 챔피언 우루과이는 불참했다.[6]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축구 경기장으로 현재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전설적인 감독 에른스트 하펠의 이름이 헌정되어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으로 불린다[7] 레기아 바르샤바의 홈구장. 현재는 펩시의 스폰서 계약으로 펩시 아레나로도 불리고 있다[8] FIFA의 홈페이지에는 1934년 4월 15일에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제2 경기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2대0으로 이겼다고 기록되어있다. 하지만 FIFA 홈페이지를 제외하면 경기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없고 기록되어 있다하더라도 폴란드의 내부사정에 의해 경기가 취소되었다는 언급만 존재한다. FIFA 홈페이지에서는 2010년 월드컵 이전의 예선 경기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있고 위키백과에서는 폴란드의 기권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른 몰수 추정 경기인 6조의 루마니아와 스위스 경기에서도 RSSSF에는 스코어가 2대0으로 기록되어 있으니 이 경기는 몰수 혹은 부전승으로 기록되는 것이 옳다.[9] RSSSF나 위키백과 등의 기록에 따르면 루마니아 대표팀에서 부적격 선수가 뛰는 것이 발각되어 루마니아가 기록한 2골은 전부 무효처리 되었고, 그로 인한 스위스의 승리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피파 공식 홈페이지에는 무승부로 기록되어 있다. 진출팀 자체가 바뀔 정도로 순위표에 큰 변화는 없고 대조 자료가 없으면 피파 공식자료가 가장 신뢰도가 높으므로 피파 기록에 맞춰 수정하였다.[10] 지난 대회 4강팀이 지역예선에서 탈락하였다.[11]아일랜드. 당시 영국과 독립전쟁중[12] 영어로는 앤트워프. 이쪽이 더 유명한 이름일듯[13] 패널티킥[14] 현재의 이름은 스타드 실비오 카토르.[15] 예선을 치르지 않고 불참.[16] 진출에는 실패했지만..[17] 그 후 이스라엘이 1970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하여 12위를 기록한다.[18] 선수 구성을 보면 영국계 9명, 유대인 6명, 아랍인 1명이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