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웅

덤프버전 :





朴允雄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후삼국시대의 인물. 오늘날 울산광역시인 계변성의 호족이었다.


2. 생애[편집]


고려사에서 그의 기록이 나오는데, 신라의 수도 서라벌에서 가까운 울산 지방의 호족이었다. 경주에서 중국으로 사신을 보내거나 더 멀리 있는 소율희, 왕봉규 등 다른 호족과 교류하기 위해선 울산을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그는 신라 조정에 상당히 협조적이었던 호족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927년 견훤의 서라벌 침공으로 신라 중앙정부의 위신이 크게 꺾였고, 930년 고창 전투에서 고려가 승리하자 그 역시 대세가 고려에 있다고 판단해 부하 최환(崔奐)을 보내 고려에 항복하기를 청했다. 그리고 박윤웅이 울산 일대 여러 호족의 귀부에 공을 세웠으므로 울산의 행정구역 격을 올려 흥례부(興禮府)로 삼았다. 이후 박윤웅은 울산 박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와 미질부(포항시)의 호족 훤달이 고려에 투항하면서 경주시의 신라 조정은 멸망 직전의 동로마 제국이나 무굴 제국처럼 수도 인근밖에 지배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고 결국 5년 후 경순왕이 고려에 투항하면서 신라는 천 년에 근접한 역사를 마무리짓게 된다.


3. 여담[편집]


  • 신령스럽게 생긴 커다란 학이 날아온 자리에 성을 지어 신학성이라 일컬었는데 이게 울산 학성의 지명 유래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 박윤웅 가문의 영지와 관련한 곽암(미역바위) 전설이 전해진다. 940년 왕건이 역분전을 분배할 때 박윤웅은 식읍 700호와 강동, 농서지역 및 곽암 12구의 미역 채암권을 받았다. 이 채암권이 중앙집권이 강화된 조선시대에도 살아남아 박씨 문중에게 대대로 이어졌는데 미역이 곽암에서만 잘 자라는데다 박씨 문중만 채암하다보니 미역을 채암하지 못한 어민들의 원성이 이어졌다. 마침 어사로 울산에 있던 박문수가 곽암 12구를 모두 국가에 환수시켰는데 이후 3년간 곽암에서 미역 흉작이 이어지자 박윤웅이 노했기 때문이라 생각한 어민들이 울산부사에게 간청하여 결국 환수한 곽암 중 1구를 박씨 문중에 돌려주었고 이후 다시 미역이 잘 자랐기에 그 바위를 윤웅바위라 불렀다고 전한다.

  • 울산광역시 차원에서 신라 마지막 기녀라며 밀고 있는 전화앵과 엮어 스토리를 만드려는 시도가 있다. 정작 사료가 존재하고 전승이 많은 박윤웅 보다 전화앵을 더 밀어주고 있다는 데에서 사학계는 비판하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1:25:15에 나무위키 박윤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