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박소년 하나코 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만화의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문서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번 문단을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지박소년 하나코 군
地縛少年花子くん
Toilet-Bound Hanako-kun
[1]
파일:9791136748546.jpg
장르다크 판타지, 순정, 레트로
작가스토리: 이로
작화: 아이다
출판사파일:일본 국기.svg 스퀘어 에닉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미디어코믹스
연재처G판타지
레이블파일:일본 국기.svg G판타지 코믹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점프 스페셜 코믹스
연재 기간2015년 1월호 ~ 연재 중[단편]
단행본 권수파일:일본 국기.svg 20권 (2023. 08.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권 (2023. 11. 29.)

1. 개요
2. 줄거리
3. 발매 현황
3.1. 스핀오프: 방과 후 소년 하나코 군
3.2. 화집
5. 수상
6. 미디어 믹스
6.2. 지박소년 하나코 군 방과후 라디오
6.3. 지박소년 하나코 군 드라마 CD
7. 기타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작가는 아이다 이로다. "아이다 이로"는 한 사람의 이름이 아닌 만화가 듀오 이름이며, 스토리는 이로(いろ), 작화는 아이다(あいだ)가 담당한다. 아직 자세히 공개된 신상정보는 없다. 둘의 생일이나 만나게 된 계기는 밝혀졌지만 그 외 사항은 전부 불명이다.

일본의 도시 전설 화장실의 하나코상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야기로, 순정 요소에 귀신과 관련된 판타지 및 미스터리 요소가 어우러져 있다. 일종의 오컬트물이긴 하지만 일본의 전국적이고 역사적인 괴담을 집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오리지널 괴이인 하나코와 작중 학교에서 묘사되는 7대 불가사의의 비밀을 파헤치는 작품이다. 작품에 나오는 학교의 괴담을 중심으로 진실을 풀어 나가는 스토리다.


2. 줄거리[편집]


"하나코 씨, 하나코 씨, 계신가요?"

카모메 학원에 전해 내려오는 7대 불가사의 소문. 구교사 3층 여자 화장실 3번째 칸에는 「하나코 씨」가 있는데, 불러낸 사람의 소원을 무엇이든 들어준다고 한다. 야시로 네네는 자신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학교 괴담에 몸을 맡기는데….

학원 7대 불가사의 "하나코 군"과 오컬트 소녀가 펼치는 하트풀 화장실 코미디!



3. 발매 현황[편집]


[ 특장판 ]
11권12권15권20권
파일:71YSp-603IL.jpg
파일:12특장.jpg
파일:4757572255_1.jpg
파일:jshk_jp_20_t.jpg
콜라보 카페 【GHOST HOTEL'S CAFE】 소책자 부록 (¥1,100)오리지널 트럼프 부록 (¥1,800)아크릴 키홀더 2종 세트 부록 (¥1,760)콜라보 카페 【化け猫旅館 花子亭】 소책자 부록 (¥1,760)

0권1권2권3권
파일:9791136748515.jpg
파일:9791136748546.jpg
파일:9791136748652.jpg
파일:9791136748669.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19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5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19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11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19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5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19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4권5권6권7권
파일:9791136748676.jpg
파일:9791136746382.jpg
파일:9791136746399.jpg
파일:9791136746405.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9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19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22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7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22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22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8권9권10권11권
파일:9791136746412.jpg
파일:9791136746429.jpg
파일:9791136748737.jpg
파일:9791136747471.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5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22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10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22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3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2월 17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8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2월 17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12권13권14권15권
파일:9791136747488.jpg
파일:9791136747495.jpg
파일:9791136743237.jpg
파일:9791136743244.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2월 17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05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2월 17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11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09월 10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4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09월 10일
파일:e북.svg 2021년 12월 23일
16권17권18권19권
파일:B89EB4AC-CDCC-44B4-A640-D460BB8A45AC.jpg
파일:C6AA219D-647E-4717-B31E-1FFE513E79CC.jpg
파일:jshk18.jpg
파일:jshk19.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9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1월 24일
파일:e북.svg 2022년 02월 1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2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5월 17일
파일:e북.svg 2022년 06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8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1월 11일
파일:e북.svg 2022년 12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6월 15일
파일:e북.svg 2023년 07월 14일
20권21권22권23권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8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2월 29일
파일:e북.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e북.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월간 G판타지에서 매월 18일에 한 편씩 연재된다. 원래는 잡지에 단편으로 연재되었으나 현재는 장편으로 정식 연재되는 중이다. 단편 시절에도 석 달에 나누어 100쪽을 약간 넘어서는 분량으로 연재했지만, 본격적인 7대 불가사의 에피소드는 시작조차 못한 채 완결났다. 이후 다행히도 새로이 장편으로 재연재가 시작되어 본격적인 이야기를 다룰 수 있게 되었으며 본 항목에서 이야기하는 지박소년 하나코 군은 대체로 장편 연재분을 일컫는다.

일본 앱인 망가 앱에서도 연재 중이다. 망가 앱은 정해진 한도 내에서 광고를 봄으로써 포인트를 적립하여 만화를 무료로 보는 앱으로, 일본 앱이다 보니 구글 스토어 등에서 직접 다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단 유료로 보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 또한 결제가 다소 복잡할 수 있으며 당연히 번역판은 업로드되지 않는다. 관련 트윗

국내에선 당초 e북은 2016년 12월 27일부터, 단행본은 2020년 1월 8일부터 루트 코믹스에서 출간했지만, 2020년 9월 13권 발매를 끝으로 소식이 없었다. 한참의 기다림 끝에 2021년 7월 1일 서울미디어코믹스에서 출판사가 변경되었다는 트윗을 올리고,[2] 약 1년 간의 공백을 깨고 밀린 14권과 15권을 동년 9월 10일 동시 발매하였으며 나머지 0권~13권을 2021년이 끝나기 전 3개월 만에 모두 재발매함으로써 다시금 지박소년 하나코 군 한국 정식 발매의 힘찬 새 출발을 알렸다. e북도 0권부터 15권까지 12월에 모두 동시에 출간하며 2021년에는 밀린 단행본 발매를 마무리하고, 2022년부터는 새로운 단행본 출간을 다시 이어나갈 전망이다.

0권은 지박소년 하나코 군의 단편 연재 당시 내용[3]과 작가의 첫 작품인 '사랑스러운 리빙데드'[4]가 수록되어 있다. 속표지는 앞 속표지가 하나코&네네, 뒷 속표지가 사랑스러운 리빙데드의 주인공들인 컬트&릴리인데, 리빙데드 쪽 뒷표지는 약간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당 작품을 다 본 이후에 보는 것을 추천한다.

루트 코믹스 출판 당시 발매 정보 【 펼치기·접기 】
루트 코믹스 출판 당시 발매 정보
[ 펼치기 · 접기 ]
1권2권3권4권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1권.pn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2권.pn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3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4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1월 08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1월 08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5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2월 27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2월 0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2월 27일(종이책)
5권6권7권8권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5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6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7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8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2월 0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3월 23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6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3월 23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9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5월 28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1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5월 28일(종이책)
9권10권11권12권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9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10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11권.jpg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12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3월 0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6월 29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7월 30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1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8월 27일(종이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5월 0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9월 14일(종이책)
13권
파일:지박소년하나코군13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9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11월 04일(종이책)
루트 코믹스 출판 당시 정발본은 단행본으로 출판되지 않고 먼저 e북 형식으로 2016년 12월 27일에 네이버 시리즈에서 10편이 선독점으로 업데이트되었다. 그 후 리디, YES24 등 타 e북 업체에서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블랙스완에서 2019년 하반기에 단행본 발매 의사를 내비쳤으나 출간 일정이 2020년 초로 연기되었고 오랜 기다림 끝에 마침내 2020년 1월 8일 루트 코믹스를 통하여 단행본 정식 발매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서울미디어코믹스로 판권이 넘어간 이후 리디, 네이버 시리즈 등 루트 코믹스 이름으로 출간된 전자책이 모조리 구매가 불가능해졌고, 단행본도 유통이 중지되었다.



3.1. 스핀오프: 방과 후 소년 하나코 군[편집]


방과 후 소년 하나코 군
放課後少年花子くん
파일:9791136737632.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8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7월 19일
파일:e북.svg 2022년 09월 15일
[ 에피소드 목록 펼치기 · 접기 ]
제목원제업로드일
1일째방과 후의 하나코 군放課後の花子くん2018.02.22.
2일째왕 게임王様ゲーム2018.03.22.
3일째못케의 야망 ~못케여 야망을 가져라!~もっけの野望 Mokke be ambitious2018.04.26.
4일째콧쿠리상こっくりさん2018.05.24.
5일째방과후의 방송실放課後の放送室2018.06.28.
6일째방과후의 학생회실放課後の生徒会室2018.07.26.
7일째여름의 마물 ~지박소녀 하나코 양~夏の魔物 ~地縛少女花子さん~2018.08.23.
8일째여름의 마물 ~재래~夏の魔物 ~再來~2018.09.27.
9일째트루 오브 못케トゥルー・オブ・もっけ2018.10.25.
10일째고등부의 괴이高等部の怪2018.11.29.
11일째괴이 감기怪異風邪2019.01.31.
12일째미츠바의 친구 대작전ミツバの友達大作戦2019.02.28.
13일째못케가 집에 찾아왔어!もっけが家にやってきた!2019.03.28.
14일째방과후의 연심放課後の恋心2019.05.23.
15일째방과후의 바캉스放課後のバカンス2019.06.27.
16일째악몽悪夢2020.11.26.
17일째편의점コンビニ2020.12.24.
18일째선악 스위치悪良 スイッチ2021.01.28.
19일째방과후의 찻집放課後の 喫茶店2021.02.25.
20일째요리 교실お料理教室2021.03.25.
21일째못케의 연애상담もっけの 恋愛相談2021.04.22.[1]
22일째부탁해 시지마 양!お願い シジマさん!2021.06.24.[2]
23일째첫 심부름はじめての おつかい2021.07.22.
24일째이름名前2021.09.23.[3]
25일째방과후 못케放課後もっけ2021.10.28.
26일째저주의 고양이 미미呪いのネコミミ2023.10.26
[1] 연재하는 날짜보다 살짝 앞 당겨졌는데, 원래라면 4월 29일에 해야 되는 게 맞다. G판타지도 마찬가지로 매주 18일에 연재되는데, 이틀 앞 당겨져서 16일로 변경되었다.[2] 정확히는 5월 27일 연재하는 날이지만 공고로 휴재. 다음 달로 미뤄졌다. 예전에 스핀오프 1권 나오기 전에 연재할 때도 미뤄진 적이 있다.[3] 정확히는 8월 26일 연재하는 날이지만 공고로 휴재. 그 다음 달로 미뤄졌다.
보러가기
<방과 후 소년 하나코 군>은 픽시브와 G판타지의 콜라보인 P판타지의 일종이다. 본편에서 못 다 한 일상 에피소드가 전개되는 만큼 본편 같은 충격적인 전개는 나오지 않아 무난하게 즐길 수 있다. 분량은 약 10 페이지 정도로 본편에 비해서 짧으나 그림 퀄리티는 거의 동일하다. 연재 일은 매월 넷째 목요일이지만 10화는 작가 사정으로 한 주 연기되어 올라왔다. 뒤이어 아무런 공지 없이 2018년 12월에는 11화가 휴재하면서 다소 연재가 불안정해졌으나 2019년 1월 다섯째 목요일에 11화가 업로드되었다. 연재 일은 이제 매월 마지막 목요일로 바뀐 듯하다. 2019년 8월 27일에 본편 11권과 함께 1권이 동시 출간되었다. 여담으로, 속표지 앞면에서는 하나코와 네네,[5] 뒷면에서는 아카네와 미라이다.[6]

G판타지 12월호에 먼저 스핀오프가 나온다고 알렸고, 작가가 또 다시 트위터에 공지해서 올렸다. 모바일 & PC에서도 무료로 읽기가 가능하고, 매달 넷째 주 (혹은 다섯 째주) 목요일 정각 낮 12시에 업데이트가 된다. 트위터 공식 계정인 G판타지가 접속해서 알림 설정을 하면 볼 수 있다.

2023년 8월 24일 방영소식이 공개되었고 10월 12일 부터 심야 시간대에 방영된다. 자세한 정보는 방과 후 소년 하나코 군(애니메이션) 문서 참고.


3.2. 화집[편집]


아이다이로 화집
지박소년 하나코 군
あいだいろ画集
地縛少年花子くん
아이다이로 화집
지박소년 하나코 군 2
あいだいろ画集
地縛少年花子くん 2
파일:9791136751799.jpg
파일:9791136738486.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3월 23일
[7]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2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8월 12일
2015년~2019년에 월간 G판타지에서 게재된 컬러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굿즈나 콜라보 카페의 일러스트 170점 이상을 수록했다고 한다. 화집용으로 새로 그린 일러스트도 수록되어 있다.[8] 0권과 함께 발매되었다. 추가로 앞표지는 화장실 조, 뒷표지는 방송실 조다.

방과후 소년 하나코 군도 2권이 나올 예정이니 추가로 공개되지 않은 미수록본 일러스트나 단편 만화 등. 화집도 2권이 발매할 가능성이 높아보였고 실제로 2022년 02월 발매를 확정지었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지박소년 하나코 군/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수상[편집]


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 펼치기 · 접기 ]
2021년 1월 2일 테레비 아사히가 발표한 신년 특집 '만화총선거 일본 국민 15만명이 뽑은 좋아하는 만화 베스트 100'의 결과다.
전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했고 한 사람당 좋아하는 만화 5개를 적었다. 중복 투표는 금지됐다.
1위원피스(포인트: 33,600점)
2위귀멸의 칼날(29,100점)
3위슬램덩크(26,700점)
4위명탐정 코난(25,400점)
5위드래곤볼(22,400점)
6위진격의 거인(21,900점)
7위나루토(19,800점)
8위하이큐!!(18,700점)
9위강철의 연금술사(18,500점)
10위죠죠의 기묘한 모험(17,100점)
11위헌터×헌터(16,200점)
12위은혼(16,100점)
13위킹덤(15,200점)
14위월드 트리거(11,700점)
15위도라에몽(11,300점)
16위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900점)
17위유유백서(8,600점)
18위블랙 잭(8,200점)
19위주술회전(8,000점)
20위나츠메 우인장(7,400점)
21위유리가면(7,100점)
22위북두의 권(7,000점)
23위블리치(6,950점)
24위터치(6,900점)
25위불새(6,800점)
26위바나나 피쉬(5,800점)
27위베르사이유의 장미(5,600점)
28위이누야샤(5,300점)
29위내일의 죠(5,100점)
30위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4,950점)
31위바람의 검심(4,900점)
32위메종일각(4,600점)
33위금색의 갓슈!!(4,400점)
34위포의 일족(4,100점)
35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4,080점)
36위고르고13(4,060점)
37위사자에상(4,040점)
38위거인의 별(4,020점)
39위철완 아톰(4,000점)
40위골든 카무이(3,950점)
41위도쿄 구울(3,900점)
42위도카벤(3,850점)
43위5등분의 신부(3,800점)
44위에이스를 노려라!(3,600점)
45위동물의사 Dr.스쿠르(3,450점)
46위약속의 네버랜드(3,400점)
47위더 화이팅(3,100점)
48위요괴소년 호야(3,000점)
49위마스터 키튼(2,900점)
50위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2,850점)
51위암살교실(2,800점)
52위쿠로코의 농구(2,750점)
53위흑집사(2,700점)
54위테니스의 왕자(2,650점)
55위하이카라씨가 간다(2,600점)
56위캔디캔디(2,300점)
57위시티헌터(2,290점)
58위체인소 맨(2,260점)
59위노다메 칸타빌레(2,230점)
60위기생수(2,200점)
61위시끌별 녀석들(2,000점)
62위카드캡터 사쿠라(1,900점)
63위근육맨(1,850점)
64위문호 스트레이독스(1,800점)
65위페어리 테일(1,790점)
66위두근두근 투나잇(1,760점)
67위가정교사 히트맨 REBORN!(1,730점)
68위봉신연의(1,700점)
69위사이보그 009(1,550점)
70위꽃보다 남자(1,500점)
71위철인 28호(1,300점)
72위H2(1,250점)
73위은하철도 999(1,200점)
74위데빌맨(1,160점)
75위마기(1,130점)
76위맛의 달인(1,100점)
77위아부상(1,050점)
78위우주전함 야마토(1,000점)
79위바사라(990점)
80위캡틴(980점)
81위바리바리 전설(960점)
82위히카루의 바둑(950점)
83위메이저(930점)
84위불꽃 소방대(920점)
85위지박소년 하나코 군(900점)
86위꼭두각시 서커스(890점)
87위후르츠 바스켓(860점)
88위바람의 대지(830점)
89위유한클럽(800점)
90위ARIA(780점)
91위베르세르크(760점)
92위마카로니 호렌소(740점)
93위리본의 기사(720점)
94위여친, 빌리겠습니다(700점)
95위D.Gray-man(690점)
96위스켓(660점)
97위캡틴 츠바사(640점)
98위천사가 아니야(600점)
99위3월의 라이온(580점)
100위닥터 스톤(560점)
2021년 발표, 출처1 / 출처 2




6. 미디어 믹스[편집]



6.1. 애니메이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지박소년 하나코 군/애니메이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지박소년 하나코 군 방과후 라디오[편집]


"둘째 주, 넷째 주 금요일 밤 9시 30분."[9]


생방송재방송[10]
#[11]#

회차방송일진행자출연자
0회2020/01/02(목)키토 아카리
(야시로 네네 역)[12]
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
키토 아카리 (야시로 네네 역)
치바 쇼야 (미나모토 코우 역)
우치다 유우마 미나모토 테루 역)
사토 미나코 (아카네 아오이 역)
안자이 치카 나나미네 사쿠라 역)
미즈시마 타카히로 (휴가 나츠히코 역)
1회2020/01/17(금)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요시다 유리, 모리나가 치토세, 카나자와 마이 (요정 씨 / 못케 역)
2회2020/01/31(금)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유카나 (미사키 계단 / 야코 역)
3회2020/02/14(금)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키토 아카리 (야시로 네네 역)
4회2020/02/28(금)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치바 쇼야 (미나모토 코우 역)
코바야시 다이키 (미츠바 소스케 역)
5회2020/03/13(금)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안자이 치카 (나나미네 사쿠라 역)
미즈시마 타카히로 (휴가 나츠히코 역)
6회
(完)
2020/03/27(금)오가타 메구미 (하나코 역)안도 마사오미 (감독), 히가 유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6.3. 지박소년 하나코 군 드라마 CD[편집]


DVD&Blu-ray와 같이 수록되있는 드라마 CD다. 참고로 상편에만 들어있다. 공식 트위터, 유튜브. 원작은 스핀오프 방과후 소년 하나코 군. 총 4화 분량정도 들어있다.[13] 원작을 구매한 팬이라면 가볍게 비교하면서 봐도 무난할 듯. 원작보다는 내용이 심오하지 않기에 부담없이 편하게 읽고 들을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회차제목원제
1화방과후의 하나코 군放課後の花子くん
2화왕 게임王様ゲーム
3화못케의 야망 ~못케여 야망을 가져라!~もっけの野望 Mokke be ambitious
4화분신사바分身サバ
5화방과후 방송실放課後放送室
6화방과후 학생회실放課後学生会室
7화여름의마물 ~지박소년 하나코양~夏の魔物~地泊少年花子様~
8화여름의마물 ~재림~夏の魔物~再臨~
9화트루 오브 못케True of No Catch
10화고등부의 괴이高等部の怪
11화괴이 감기怪異風邪



6.4. 뮤지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지박소년 하나코 군 The Musical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유독 대한민국 서점에서 유명 인기작들을 진열하는 앞 자리에 계속 진열되어있는 만화다. 한국에서는 라프텔 랭킹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을 정도로 한 때 나름 화제성이 있었지만 딱히 폭발적 인기 만화라고 할 수는 없었는데 어째서인지 대부분의 서점에서 유명 만화들 원피스, 코난, 원펀맨, 주술회전, 체인소맨, 귀멸의 칼날, 슬램덩크, 킹덤 등과 나란히 진열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

  • 제목 '지박소년 하나코 군'은 엄밀히 따지면 '지박 소년 하나코 군'으로 띄어쓰는 게 보다 적합하지만, '지박 소년'이라는 한자어는 붙여 써도 무방하므로 문제가 되는 명칭은 아니다.

  • 동글동글하고 아기자기한 그림체와 달리 어두운 내용이 많다. 초반에 가볍게 보려던 사람들도 이후 전개를 보고 충격 먹은 적이 한 둘이 아닐 정도. 귀여운 그림체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탄탄한 스토리와 매력적인 캐릭터들로 점차 팬이 된 사람들도 많은 편이다.

  • 작가 두 명 다 신상 공개는 하고 있지 않으며 공용 트위터 외에는 SNS 또한 일절 하지 않는다고 한다. 개인정보를 거의 밝히지 않는 나머지 아이다 이로가 듀오 이름이 아니라 작가 이름인 줄로 아는 사람도 꽤 많다. 그나마 알려진 정보로는 2월 21일이 아이다, 5월 9일이 이로의 생일이라고 한다. 같이 트위터 계정을 공유하고 있다 보니 간혹 트위터에서 아이다와 이로가 대화하는 식의 트윗이 올라오곤 한다. 이 두 사람은 이전에 두 개의 단편만화를 연재한 바 있으며 본작이 첫 장편 연재 작품이다.

  • 22화에서 용암 속 엄지를 치켜세우는 손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고백나무 편에서 미켈란젤로피에타를 패러디한다거나, 미츠바 소스케에로동인지처럼 드립을 친다거나, 전작 주인공들을 까메오로 출연시키거나 인형 등으로 등장시키는 등[14] 여러모로 깨알같은 패러디도 많이 볼 수 있다. 본편에서도 소품과 건물 등 세세한 디테일까지 잘 챙기는 편이다.[15]

  • 지박소년 하나코 군 애니 라디오 4화에서 실제 작가 아이다이로 본인이 사연을 응모해서 소개되었다. 그 회의 응모 주제는 '잊을 수 없는 반 친구'였는데, 아이다와 이로의 만남을 써서 응모했다.[16] 처음에 게스트 중 하나인 치바 쇼야는 다른 사람인 줄 알고 "팬네임 좀 꼬아서 하지 너무 그대로인 거 아니냐. 이거 작가님 이름이잖아"라고 했다가 본인인 걸 알고 벙쪘다.[17] 후에 작가 트위터에도 인증글을 올렸다.해당글[18]


  • 옛날 일러스트에서는 욱일기 같은 문양이 자주 보였지만, 빈도 수가 줄어들고 있다. 정확한 이유는 불명이지만, 그 중에 가장 가설이 높은 이유는 아마도 해외 팬의 영향으로 추정된다.[19] 원작 G판타지를 보면 아이다 이로 작가도 영어를 구사하는 것이 밝혀졌는데, 작가 이름을 영어로 적어놓거나 작품 제목을 음차해서 적어놓는 경우도 보인다. 작가 입장에서는 팬들이 작품을 구매하면서 나오는 매출이 영향을 끼치는 건 사실이기도 하고, 작품 때문에 욕먹는 작가들도 많기 때문에 최대한 조용히 지내는 이유도 포함될 것이다.

  • 원작 로고에는 없지만, 애니 로고에는 하나코와 츠카사가 화장실의 하나코 씨라는 네타가 숨겨져 있다.[20]

  • 각 단행본과 화집, 외전 등 종이 속 페이지 수를 세어보면 단행본은 89장, 화집은 56장, 외전인 방과 후는 81장, 0권은 97장이다.



8. 관련 문서[편집]




9. 외부 링크[편집]


작가 트위터에 작품과 관련된 소식이나 그림이 자주 올라오지만 종종 치명적인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다. 최신화를 읽지 않은 독자라면 되도록 보지 않는 것이 좋다.[2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3:12:47에 나무위키 지박소년 하나코 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차해서 "Jibaku Shounen Hanako-kun"으로 쓰기도 한다. 제목이 길어서 대부분 'TBHK'나 'JSHK'라는 약자를 자주 사용한다.[단편] 2014년 7월호 ~ 2014년 9월호[2] 로고도 궁서체에서 작품 분위기에 맞는 폰트의 로고로 바뀌었다.[3] 현재와는 설정이 조금 다른 부분이 있다.[4] 원제는 愛しのリビングデッド다. 한때 본 위키에 기재된 것을 포함해'사랑하는 리빙데드'가 더 옳은 번역이라는 정보가 퍼져 있었으나, 그렇지 않다. '사랑하는 리빙데드'라고 쓴다면 '(누군가를) 사랑하는 리빙데드'인지 '(누군가가) 사랑하는 리빙데드'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愛しの를 '이토시노'라고 읽는다면 '(누군가가) 사랑하는 리빙데드'의 뜻으로만 사용하며, '우츠쿠시노'나 '카나시노'로 읽는다면 '사랑스러운 리빙데드'의 뜻으로만 사용하므로, 愛しのリビングデッド는 어느 쪽이든 리빙데드가 사랑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전하기 위해 '사랑스러운 리빙데드'로 번역하는 것이 맞다.[5] 못케와 화투를 하는 하나코에게 네네는 본인이 하나코와 만나기 전부터 그렇게 잘 놀고 다녔냐고 물어보고 꽤 즐거웠다고 대답한다. 하지만 다음 장면에는 하나코는 괴이로 각성 이후 화장실이 본인 담당 구역인 3번째 칸 변기 위에 쭈구려 앉아있는 모습을 보면 그 동안 본인을 찾아온 사람이 없어서 많이 외로워하는 모습이 보인다.[6] 시계지기인 현재와 미래 담당인 아카네와 미라이의 대화를 엿볼 수 있는데, 미라이가 아카네에게 본인은 방과후에서는 나오는데, 본지에서는 왜 출연시켜주지 않는 걸까?라고 묻는 질문에 너가 나쁜 아이니까라고 되받아친다. 아카네를 못됐다고 생각하면서 충격받는 것은 덤.[7] 루트미디어 출판 당시 2020년 10월 29일 18,000원에 발매할 예정이었으나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루트미디어 발매 예정이었던 화집 정발본 표지[8] 자세히 보면 이런 일러스트들에 떡밥이 숨어있다.[9] 볼 수 있는 라디오로 방송시간은 대략 20~30분 정도한다. 오가타의 언급에 따르면 최소 15분, 최대 25분 정도라고. 시간이 부족해서인지 말하는 속도가 꽤나 빠르다.[10] 참고로 생방송은 손이나 캐릭터 인형&굿즈 등이 움직이는게 계속 화면에 보이는 반면, 재방송은 화수와 게스트 관련 이미지가 첨부된 이미지만 계속 나온다.[11] 애니 공식 트위터에 알람 설정을 해놓고 방송 시간에 맞춰 들어가면 방송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방송 종료됐기 때문에 찾아볼 수 없다.[12] 하나코 성우 목 상태가 좋지 못해서 일시적으로 네네 성우로 바뀌었다. 오가타 왈, 못케한테 목소리를 빼앗겼다고. 아마도 목감기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잘 들어보면 ASMR처럼 들린다.[13] 1화, 2화, 3화, 11화.[14] 2화에서 못케가 사물함 문을 가져갔을 때 한 사물함에 있는 피규어나 59화에서 네네가 하나코에게 기말고사에 대해 설명할 때('사랑하는 리빙데드') 공상화편에서 네네에게 물을 쏟은 남녀('돈과 소녀와 사랑과 순정') 등. 아예 전작 '니카키리!'에서는 사쿠라와 츠카사와 닮은 인물이 나오고, 또다른 전작 '불량아와 안경잡이와 사랑과 전쟁'(지하군 단행본 5권 끝 첨부)에서는 설정만 조금 다른 아카네, 레몬, 아오이가 나온다.[15] 그 덕에 여기저기에 떡밥이 꽤 많이 숨겨져 있고, 따로 설명되지 않은 설정도 여럿 찾을 수 있다.[16] 이로는 뭐든지 잘 하는 요령이 좋은 반 친구였는데, 이로가 게임을 만드는데 아이다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이로가 그 그림을 보고 '좋네. 발전 가능성이 있어 보여'라고 칭찬(아이다 왈, '무슨 이런 칭찬이 다 있어')했고, 그 후 우여곡절을 거쳐 듀오를 결성해 만화를 연재하게 되었다.[17] 오가타가 본인이라고 확인 사살하고 게스트인 치바 쇼야와 코바야시 다이키는 '엑 본인?!'하고 놀랐다.[18] 해석은 "사연 처음 소개됐어요✉️✨ / 하나코: "어른이 되고 나서 인기가 많아질 타입이야!!, 미츠바: 동창회 같은 데서 만나고서부터 매력을 사람들이 알게 되는 그런 거!!!"다. 이 대화는 해당 라디오 회차에서 하나코 성우인 오가타 메구미와 미츠바 성우인 코바야시 다이키의 코우에 대한 인상이다.[19] 애니화 덕분인지 원작의 인지도와 작가의 평판이 상승하는 한 몫을 한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추가로 일본 국내 쪽 수입과 국외 쪽 수입을 합치면 상당히 높은 금액인 걸 알 수가 있는데, 작가가 바보가 아닌 이상 적자를 내서 손해를 보는 것은 본인들에게 아주 크나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꼴이기에 작가와 팬들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루트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아무리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작품이여도 작가가 문제를 일으키면, 폭망하는 건 한 순간이다.[20] 파일:지박소년 하나코 군 애니메이션 로고.jpg[21] 특히 일본과 가까운 나라인 한국 독자들이 읽지도 않은 부분을 강제적으로 스포일러를 당하기 싫어서, 작가 SNS인 트위터를 차단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건 다른 작품도 마찬가지. 물론 국외에서 일본 현지인들과 원작을 구매해 실시간으로 감상하는 독자들이나, 내용을 이미 다 안 상태여도 작가를 욕 하면서 보기도 하는 독자들도 존재한다. 가끔씩 독자들도 원작 내용을 보고 궁예질을 하기도 하지만, 맞는 부분보다 거의 빗나가는 경우가 대다수라 독자들에게는 궁금한 건 못 참는 성격 상 매달 내용이 공개될 때마다 자극받는지 그런 부분이 이끌려 똑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