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제국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국가 및 칭호 목록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보편국가(普遍帝國, Universal empire)는 특정 민족만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국민국가나 특정 민족이 다른 민족들을 억압하는 식민제국과는 달리, 다양한 민족을 포용하는 제국을 뜻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주도권을 잡은 민족이 아예 없는 건 아니며, 근현대의 보편제국 중에는 식민제국에 가까운 성향을 보여준 나라도 있었다.

또한 다양한 민족을 포용하면서도 종교적으로는 하나의 종교를 국교로 삼아 해당 종교가 다른 종교들보다 우위에 있음을 강조한 나라들[1]이 다수라서 오늘날의 다문화 국가들과도 구별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2. 국가 및 칭호 목록[편집]



2.1. 한자문화권[편집]




2.2. 유럽 문화권[편집]


  • 로마 제국 - 임페라토르/바실레프스: 로마는 초기에는 라틴계 국가였지만 다양한 민족에게 시민권을 개방하여 같은 로마인으로 대우하면서 보편제국으로 거듭났고, 3세기 이후에는 초기의 주류 민족이었던 라틴족과 상관없는 혈통을 가진 인물들까지 황제 자리에 올라서 여기 언급된 나라들 중에서도 가장 보편제국의 성향이 강한 나라였다. 또한 이후에도 유럽에서는 1453년 로마가 멸망하고 그 이후에도 오직 로마 황제 또는 그 후계자라 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정통성 있는 황제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유럽에서 황제를 칭하려는 군주들은 편법을 써서라도 로마와의 연관성을 찾아내야만 했다. 그러나 유럽인은 다른 대륙의 황제에 대해서 그 존재를 인정했기 때문에,[2] 근대에는 다른 대륙에 세운 식민지에서 황제를 칭하거나[3], 아예 황제가 존재한 적이 없던 타대륙 식민지황제 칭호를 만들어서 제국을 칭하는 사례도 있었다.
  • 신성 로마 제국 - 신성 로마 황제: 비록 위조문서[4]를 통해 억지로 권위를 창출해냈고, 당시에 아직 살아있는 로마인 동로마 제국의 존재로 인해 정교회권이나 이슬람권 등으로부터는 로마 제국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서방 가톨릭 국가들로부터는 서방의 보편제국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독일인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인[5], 체코인[6] 등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나라였기에 다민족 국가로서 보편제국의 조건도 충족했다. 다만 교황이 집전하는 대관식 없이 황제를 칭할 수 있게 된 막시밀리안 1세 이후부터는 독일 민족 국가로서의 특성이 강해져서 '독일 민족의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국호도 등장했으며, 제국 북부의 제후 상당수가 가톨릭[7]을 부정하는 루터파로 돌아서면서 통합이 약해졌고, 30년 전쟁을 통해 제후들이 사실상 독립국 군주가 된 이후에는 유명무실해졌다.
  • 오스트리아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트리아 황제: 제위를 세습하는 합스부르크 가문은 독일계 가문인데다 최대 민족 역시 독일계였지만, 다른 민족들을 단독으로 압도할 수는 없었기에 다양한 민족을 포용하는 보편제국의 속성을 유지해야 했다. 그래서 러시아 제국, 프랑스 제국, 독일 제국 등 동시대에 공존했던 황제국들이 특정 민족[8] 중심의 국민국가였던 것과 달리, 소수민족 출신 육군 원수가 배출되고, 소수민족 정당들이 의회에서 상당한 의석을 확보할 정도로 개방적인 국가였다. 또한 말기에는 아예 제국 전체를 동등한 권리를 가진 민족들의 연방으로 재편하는 대오스트리아 합중국이라는 구상까지 나올 정도였지만, 하필 해당 구상을 내놓은 인물암살당하고, 그 여파로 일어난 전쟁으로 인해 제국이 해체되는 바람에 실현되지 못했다.
  • 교황령 - 교황: 초기 교황들은 주교들 가운데 서열 1위라는 명예만을 가진 존재였으나, 교황령이라는 독자적인 영토를 확보하고 신성 로마 황제와의 서임권 투쟁에서 승리하면서, 서방 세계의 모든 세속군주 위에 군림하는 보편군주로까지 위상이 높아졌는데, 교황이 이끄는 교단인 가톨릭 자체가 라틴어보편적(Catholica)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다. 그래서 전성기에는 교황은 , 황제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지만, 십자군 전쟁이 실패하면서 다시 권위가 추락하기 시작하여, 황제도 아닌 왕의 허수아비로 전락하는 굴욕을 겪고, 사코 디 로마로 굴욕의 정점을 찍은 후 이탈리아 밖에서는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했다. 다만 이후에도 서방 국가들은 명목상으로나마 교황을 황제와 대등한 의전 서열을 가진 군주로 대우했으며, 교황령을 상실하고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정교분리가 실현된 이후에는 군주보다는 성직자로서의 속성이 강해지긴 했지만, 지금도 민족을 초월한 가톨릭 신자들의 수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2.3. 불교힌두교 문화권[편집]



2.4. 중동 · 남아시아 · 아프리카[편집]


  • 왕중왕
  • 칼리파: 민족을 초월하여 전세계 무슬림들의 수장 역할을 하는 군주의 칭호
    • 정통 칼리파 시대[A]
    • 우마이야 왕조[A]
    • 아바스 왕조: 이슬람으로 개종한 비아랍인들에 대한 차별이 철폐되어 진정한 보편제국으로 거듭났다.
    • 파티마 왕조
    • 후우마이야 왕조[9]: 초기에는 아미르를 칭하며 아바스 왕조의 종주권을 인정했으나, 10세기에 칼리파를 칭했다.
    • 오스만 제국: 1517년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킨 후, 맘루크의 보호를 받던 아바스 칼리파로부터 선양받아 칼리파를 칭했고, 1922년에 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도 칼리파 칭호는 이어졌으나 1924년에 폐지되었다.

2.5. 아메리카[편집]


  • 잉카 제국 - 사파 잉카: 사파 잉카는 케추아어로 '유일한(Sapa) 군주(Inca)'를 뜻하는 단어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군주로 군림하는 존재라는 의미로 내세운 칭호이다. 그러나 피지배 민족에 대한 가혹한 탄압 때문에 실제 통치는 보편성과 거리가 멀었고, 이는 상당수의 피지배 민족이 콩키스타도르에게 협력하여 제국을 멸망시키는 결과를 야기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2:51:46에 나무위키 보편제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로마 제국(4세기 이후) - 기독교, 이슬람 제국 - 이슬람[2] 유럽인의 관점에서 칭호는 땅과 연계되었으며, 유럽의 황제는 로마 황제만이 존재해야 했다. 그러나 다른 대륙에는 로마 황제가 아닌 황제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3] 영국 - 인도 황제, 이탈리아 - 에티오피아 황제[4] 콘스탄티누스 1세교황 실베스테르 1세에게 로마 제국의 서방 영토를 기증해서, 교황에게 서방 황제를 추대할 권리가 있다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장(기진장)'[5] 구성국 가운데 하나가 이탈리아 왕국이었고, 15세기까지 신성 로마 황제들은 황제 대관식을 하기에 앞서 이탈리아 국왕 대관식을 하는 관례가 있었다.[6] 황제 선거에서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 선제후 중 하나가 체코인의 나라 보헤미아를 다스리는 왕이었으며, 합스부르크 가문이 15세기 이후 제위를 독점하는 원동력이 된 칭호 역시 '보헤미아 국왕'이었다.[7] 황제를 칭하는 근거 자체가 교황의 인정이었기에 단순한 국교가 아니라, 제국의 정체성 그 자체였다.[8] 러시아 제국 - 러시아인, 프랑스 제국 - 프랑스인, 독일 제국 - 독일인[A] A B 이 당시에는 아직 아랍인들이 다른 민족들보다 압도적인 우위에 서서 지배하는 체제였다.[9] 남유럽이베리아 반도에 위치했지만, 종교적, 문화적으로는 마그레브와 더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