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이스터 크로울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윈스턴 처칠이점바드 킹덤 브루넬다이애나 스펜서찰스 다윈윌리엄 셰익스피어
6위7위8위9위10위
아이작 뉴턴엘리자베스 1세존 레논호레이쇼 넬슨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 펼치기 · 접기 ]
11위12위13위14위15위
어니스트 섀클턴제임스 쿡로버트 베이든 파월알프레드 대왕아서 웰즐리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거릿 대처마이클 크로포드빅토리아 여왕폴 매카트니알렉산더 플레밍
21위22위23위24위25위
앨런 튜링마이클 패러데이오와인 글린두르엘리자베스 2세스티븐 호킹
26위27위28위29위30위
윌리엄 틴들에멀린 팽크허스트윌리엄 윌버포스데이비드 보위가이 포크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레오나르드 체셔에릭 모어캠브데이비드 베컴토머스 페인부디카
36위37위38위39위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토머스 모어윌리엄 블레이크존 해리슨헨리 8세
41위42위43위44위45위
찰스 디킨스프랭크 휘틀존 필존 로지 베어드어나이린 베번
46위47위48위49위50위
보이 조지더글러스 베이더윌리엄 월레스프랜시스 드레이크존 웨슬리
51위52위53위54위55위
아서 왕플로렌스 나이팅게일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로버트 스콧이넉 파월
56위57위58위59위60위
클리프 리처드알렉산더 그레이엄 벨프레디 머큐리줄리 앤드류스에드워드 엘가
61위62위63위64위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조지 해리슨데이비드 애튼버러제임스 코널리조지 스티븐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찰리 채플린토니 블레어윌리엄 캑스턴바비 무어제인 오스틴
71위72위73위74위75위
윌리엄 부스헨리 5세알레이스터 크로울리로버트 1세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76위77위78위79위80위
무명용사로비 윌리엄스에드워드 제너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찰스 배비지
81위82위83위84위85위
제프리 초서리처드 3세J. K. 롤링제임스 와트리처드 브랜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보노 (아일랜드인)존 라이든버나드 로 몽고메리도날드 캠벨헨리 2세
91위92위93위94위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 R. R. 톨킨월터 롤리에드워드 1세반스 월리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리처드 버튼토니 벤데이비드 리빙스턴팀 버너스리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Aleister Crowley
[1]
파일:Aleister Crowley.jfif.jpg
출생명에드워드 알렉산더 크롤리
Edward Alexander Crowley
출생1875년 10월 12일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잉글랜드 워릭셔 주 로열레밍턴스파
사망1947년 12월 1일 (향년 72세)
영국 잉글랜드 이스트서식스 주 헤이스팅스
장례일1947년 12월 5일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직업시인, 화가, 소설가, 산악인, 사탄주의자
서명파일:알레이스터 크로울리 서명.svg
[ 기타 정보 펼치기 · 접기 ]
묘소미국 뉴저지 주 햄튼[1]
신체178cm
학력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소속황금여명회 (1898~99)
동방성당기사단 (1912~47)
부모아버지 에드워드 크로울리
어머니 에밀리 베르타 비숍
배우자로즈 에디스 켈리 (1903년 ~ 1909년, 이혼)
마리아 테레사 산체스 (1929년 결혼)
자녀5명
종교개신교(퀘이커플리머스 형제단) → 텔레마
[1] 그의 정원에 묻힘.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한국어알레이스터 크로울리
일본어アレイスター・クロウリー
중국어阿萊斯特·克勞利
러시아어Алистер Кроули
아랍어آليستر كراولي
조지아어ალისტერ კროული
불가리아어Алистър Кроули
히브리어אליסטר קראולי
아르메니아어Ալիս Քրոուլին

1. 개요
2. 생애
3. 기행
4. 매체에서
4.1. 목록
5. 기타



1. 개요[편집]


파일:크로울리 젊은 시절.jfif.jpg
젊은 시절의 크로울리

19세기에서 20세기영국에서 활동했던 기인(奇人), 사타니즘 신봉자, 오컬티스트, 작가이다. 오컬트 단체 A∴A∴를 만들어 조지 세실 존스(George Cecil Jones), 찰스 스탠스펠드 존스(Charles Stansfeld Jones) 등과 함께 현대 오컬트(신비주의) 문화의 틀을 정립한 인물이다.

오늘날 점복학이나 판타지 매체에서 등장하는 흑마술, 카발라, 신화, 타로, 마도서 등에 대해 찾아보면 적지 않은 내용이 이 사람이 정립한 것이거나 그 흔적이 남아 있다. 특히 타로 카드는 알레이스터 크로울리가 완성한 것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당대 수많은 자칭 '마법 결사'와 '마법사'들에게 조언자 역할을 하며 계몽주의 시대 이후 맥이 끊겼던 오컬트 문화를 부흥시켰다. 하지만 체계 정리가 잘된 것은 아니며, 일부 오컬트는 멋대로 통폐합시키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본인의 타로덱인 Thoth 덱이 있다.


2. 생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eister_Crowley,_Golden_Dawn.jpg
영국 워릭셔(Warwickshire)주에서 1875년에 태어났다. 원래 이름은 에드워드 알렉산더 크로울리(Edward Alexander Crowley). 아버지 에드워드 크로울리는 엔지니어 교육을 받은 사람으로 원래 퀘이커 교도였으나 플리머스 형제단으로 개종했다. 알레이스터의 어머니 에밀리 비숍(Emily Bertha Bishop) 역시 결혼한 뒤 플리머스 형제단으로 개종했다. 1887년, 알레이스터가 만 11살일 때 아버지 에드워드가 설암(舌癌)으로 사망했다. 아버지 에드워드는 플리머스 형제단으로 개종할 정도로 열렬한 개신교인이었지만, 알레이스터는 아버지에 대해서 평생 존경하는 마음을 품었다고 한다. 알레이스터는 훗날 아버지의 죽음이 자기 인생에서 중요한 사건이라고 회고했다.

프리메이슨 지파 중 하나라는 말이 있는 황금여명회에 가입했었다. 사실 황금여명회는 프리메이슨의 지파가 아니다. 다만, 회원 대부분이 프리메이슨 회원이기도 했기 때문에 프리메이슨 지파가 아닐까 하고 사람들이 추측했을 뿐이다. 하지만 동성애자로 여겨지던 크로울리는 황금 여명회의 입단 후 그의 스승인 매더스와 분란을 빚고 탈퇴했다. 오컬트 계통에서는 알레이스터가 스승인 매더스를 주술로 죽였다는 카더라 통신이 전해진다. 이후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오컬트&마법의 다양한 지식을 쌓고 이집트에서는 전설 속의 성수호천사 에이와스와 접촉하여 '법의서'를 쓰게 되었다 한다. 이후 동방성당기사단(OTO) 영국지부를 결성하고 그랜드 마스터(지도자)가 된다.
파일:aleister-crowley-1.jpg
노년의 크로울리.

크로울리는 말년에 여러 법적 소송에 휘말린 끝에 크게 패소하여 전 재산을 잃었다. 1947년에 만 72세 나이로 사망했는데 사인은 기도 감염이었다. 죽기 전에 헤로인에 중독된 상태였다.


3. 기행[편집]


저서로는 법의 서(Liber AL vel Legis)가 유명하지만, 마술적인 내용은 별로 없다고 한다. 마법적인 내용으로 가장 유명한 크로울리의 저서는 <에퀴녹스>라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대항하는 의미로 윈스턴 처칠에게 V 사인을 권유한 사람으로도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부 기독교인들이 V 사인을 깐다.

근대인이면서 워낙 벌인 일이 많아 마법에 관련된 현대 판타지물엔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한다.

이 외에도 난교, 약물 복용 등을 통해 얻는 무아지경의 감각을 통해 진리에 다다른다는 주장을 하고 일정수준에 달한 사람들에게 권하였다. 무아지경의 감각을 얻는 방식은 고대로부터 내려온 의식들의 재현이었을 뿐, 그가 만들어낸 방식은 아니다. 상당히 많은 비의 종교나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오르가슴, 그러니까 강력한 성적 에너지가 깨달음과 통하는 길이라 본다.[2]

알레이스터는 종종 실수를 저지른 사람에게 죄를 사하는 대신 면도날로 자해하게 만들거나 새끼 고양이를 잡아 죽여 제물로 바치게 하는 등, 현대에는 물론 당시에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엽기적인 행각을 자주 행하곤 했다.

2011년에 그에 관한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투탕카멘의 저주에 연루되었다는 사람 중 적어도 6명은 그가 살해했다라는 것이다. 이 주장으로는 크로울리는 고대 이집트 종교에 빠져 있었는데, 카터와 카나본이 투탕카멘의 묘를 발굴하자 격분해서 자신의 손길이 닿는 곳의 관련자들을 살해했다는 것이다. 물론 스승을 척살했다는 의혹을 받는 크로울리이긴 하지만 주장일 뿐 그가 그 일을 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4. 매체에서[편집]


워낙에 오컬트적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보니, 마법, 오컬트, 마도서, 속성같은 것들을 다루는 각종 매체에서 이미 모티브가 되었다.

야애니 바이블 블랙에도 나온 악마를 소환하는 주문인 '자자스, 자자스, 나사타나다 자자스'도 이 사람이 원조다. 원문은 Zazas, zazas, nasatanada zazas. 일설에 따르면 코론존이라는 악마를 소환하여 자기 자신에게 빙의시킬 때 썼던 주문이라고 한다. 참고로 '열려라, 열려라, 지옥의 문이여, 열려라'라는 의미라고 알려져 있는 듯 한데, 애초에 어떤 언어에 기반한 주문인지 알려진 바가 없어 저 설명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4.1. 목록[편집]




5. 기타[편집]


  • 육성을 녹음한 테이프를 아마존과 몇몇 오컬트샵에서 판매하며, MP3 파일로도 들을 수 있다. 녹음된 내용은 의식 중 스펠을 발성하는 내용.
  • 레드 제플린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와 보컬리스트 로버트 플랜트는 이 사람의 추종자였다. 지미 페이지는 크로울리의 저택을 사기도 하고, 크로울리가 의식때 입었던 옷을 구입했었다고 한다.
  • 오지 오스본의 노래 "Mr. Crowley"는 이 사람에 대한 노래. 우리나라에는 짧은 영어실력으로 노래를 소개해주던 과거 인플루언서들이나,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의 왜곡된 내용이 방영된 것 때문에 크로울리 숭배곡으로 알려져있지만 사실 까는 곡이다.[6] 곡의 전반적인 아이디어는 오지가 냈고 그에 맞춰서 베이시스트인 밥 데이즐리가 구체적인 가사를 썼다고 한다.)
  • 페르소나3에서 마법에 대해 가르치는 양호교사의 수업 중에 언급된다. 수호천사를 소환했다고.[7]
  • 2003년 8월 5일에 '금기진'이라는 사람이 '모자이크'라는 출판사를 통해 『미스터 크롤리』라는 평전을 출판한 적이 있다. 가격은 9500원. 덤으로 금기진이라는 사람은 황금여명회 회원이라고 한다.
  • 세계 13대 마경 중에 11위인 시칠리아 텔레마 사원(Abbey of Thelema, Cefalu, Sicily, Italy)이 바로 이 사람이 오컬트 의식을 행한 곳이다.
  • 크툴루 신화의 세계관에서는 크로울리가 수호천사 에이워스의 신탁을 적었다는 법의 서를 네크로노미콘과 같은 마도서로 취급하기도 한다. 그의 제자인 케네스 그랜트에 따르면 표현만 다를 뿐 내용이 같다는 것.[8] '다른 마술 결사와 접촉하려 했다'는 설정도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해 크툴루 신화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 도시야월기담에서는 그가 소환한 천사 에이워스가 주역 인물로 등장한다. 영혼뿐인 존재인지라 인간의 몸에 빙의해서 살아왔는데, 이연에게 홀딱 반해서 케이에게 빙의해 있을 때에는 이연을 납치해 강간, 제이에게 빙의한 후부터는 각종 화려한 BDSM 플레이와 음모로 이연을 손에 넣으려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1:46:13에 나무위키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크로울리가 아니라 크롤리가 맞다. o 장모음을 오우가 아니라 오로 표시하기 때문이다. 크라울리로 알고있는 사람도 많은데, 아마도 오지 오스본의 Mr. Crowley 탓이겠지만 이건 오지의 발음이 틀린거다. 또 Aleister는 외래어 표기안에 상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영문 위키백과에 따르면 앨리스터가 실제 발음이라고 한다.[2] 정신분석학, 신학, 역사에서 성교라는 행위는 종종 죽음과 생명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키워드로 해석된다. 성교-절정-임신-출산은 생명의 순환 고리를 이루며, 또한 남성기의 발기=생명, 사정=죽음, 불응기=죽은 상태, 발기=부활이라는 식의 해석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성교를 하나의 생명 순환 주기로 본다면 오르가슴이 임시적이나마 삶과 죽음을 경계 짓는 단계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오르가슴을 깨달음으로 해석하는 것은 그 외의 영역이지만. [3] 동일인물이다.[4] 2000년대에 국내의 개신교 복음주의 일각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음해가 만연했을때 카드캡터 사쿠라역시 이들의 먹잇감에 포함됐었는데, 크로우 리드가 이 사람에서 따왔고 크로울리는 '기독교의 적'인 '프리메이슨 33도'의 일원인 고로 카드캡터 사쿠라는 사탄의 만화라는 주장도 제기된 바 있다.[5] 추측. 제작진이 공식적으로 모티브가 맞다고 인정하지는 않았다.[6] 당장 가사가 "크로울리씨. 머리가 어떻게 된거에요?" "사람들을 다 마법으로 속였죠" "당신의 삶은 제겐 항상 비극적으로 보였어요" 등 대놓고 씹는 가사다.[7] 최초로 소환한 수호천사의 이름은 '에이워스(Aiwass)'라고 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수메르에서 숭배받은 도사의 이름이라고. 참고로 수메르 문명의 해독은 그의 테마 중 하나였다고 한다.[8] 예를 들어, 에이워스의 다른 이름인 '스토토트'가 아자토스를 가리킨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