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문간공)

덤프버전 : r


>
조선 영의정
태종 ~ 성종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서
제2대}}}
이거이
제3대}}}
성석린
제4,5대}}}
조준
제6대}}}
성석린
제7대}}}
이화
제8대}}}
하륜
제9대}}}
이서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성석린
제14대}}}
남재
제15대}}}
유정현
제16대}}}
한상경

제17대}}}
심온
제18대}}}
유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하연

제21대}}}
하연
제22대}}}
황보인
제22대}}}
황보인
제23대}}}
이유
제24대}}}
정인지
제25대}}}
정창손
제26대}}}
강맹경
제27대}}}
정창손
제28대}}}
신숙주
제29대}}}
구치관
제30대}}}
한명회
제31대}}}
황수신
제32대}}}
심회
제33대}}}
최항
제34대}}}
조석문
제35대}}}
이준

제36대}}}
박원형
제37대}}}
한명회
제38대}}}
홍윤성



-
이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wiki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0ad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태조 ~ 성종
{{{#!wiki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좌의정 ]
문하좌시중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문하좌정승 → 좌정승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유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유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wiki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문하우시중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문하우정승 → 우정승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판의정부사 → 우의정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역대 정승
(태조-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종-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남 은1,2남 재배극렴
오몽을1이 제1, 2이지란이 화
장사길정도전1, 3정 총정 탁
정희계조 박4조인옥조 준
김인찬5이방간6, 7이방원6이방의6
협찬개국공신 (2등)
박 포8유 창윤 호이민도
장 담9정용수10조 기조 반
조영규조 온홍길민조 견11
황희석12
익대개국공신 (3등)
고 여김 균김 로손흥종13
심효생1안경공오사충유원정
이 근1이백유이 부이 서
이 직14장지화1함부림황거정13
민여익11임언충11장사정11, 15조영무11
한상경11한 충11
1 1409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421년 태종 때 복권
3 1865년 고종 때 복권
4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5 1392년 9월 16일 태조에 의해 책록
6 1398년 2월 15일 정종에 의해 책록
7 1416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8 1400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9 1422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10 1418년 조사의의 난으로 인한 제명, 1437년 세종 때 복권
11 1392년 9월 27일 태조에 의해 책록
12 1392년 11월 19일 태조에 의해 책록
1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인한 제명
14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15 1417년 회안군의 첩과 간통한 혐의로 인한 제명




조선 영의정
안평부원군(安平府院君) 문간공(文簡公)
이서
李舒
출생1332년(충숙왕 복위 1)
사망1410년(태종 10)
군호안평부원군(安平府院君)
시호문간(文簡)
본관홍주 이씨
양백(陽伯), 맹양(孟陽)
당옹(戇翁), 송강(松岡)
[ 펼치기 · 접기 ]
재임
기간
제1대 영의정
1401년 8월 22일 - 1402년 5월 19일
(음력 태종 1년 7월 13일 - 태종 2년 4월 18일)
제9대 영의정
1409년 9월 18일 - 11월 17일
(음력 태종 9년 8월 10일 - 10월 11일)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이서(李舒)는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정승이다.그리고 조선의 최초의 영의정이다.


2. 생애[편집]


고려 고종문하시중을 지낸 이연수(李延壽)의 6세손이며, 연경궁 제학(延慶宮提學) 이기종(李起宗)의 아들이다. 홍주관향으로 하게 된 것은 아버지 때부터이다.

1357년(공민왕 6)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군부좌랑(軍簿佐郞)에 이르렀으나, 세상이 어지럽고 정치가 문란한 것을 보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둔하였다.

1392년(태조 1) 태조 추대에 참여하여 음력 8월 20일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어 안평군(安平君)에 봉해지고 형조 전서(典書)에 임명되었다. 1394년(태조 3)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고, 1396년(태조 5) 신덕왕후가 죽자 3년간 정릉을 수묘(守墓)하였다. 1398년(태조 7)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올랐다.

태종이 즉위한 후 1401년(태종 1) 문하시랑찬성사에 이어 우정승으로 부원군에 진봉(進封)되고 고명사(誥命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같은 해 영의정이라는 명칭으로는 처음 임명되어 고령으로 치사했다.

태조가 이서를 개인적으로 친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두 번에 걸친 왕자의 난으로 상심하여 전국의 명산대찰을 돌고있던 태조를 중 설오(雪悟)와 함께 안주에 나가 맞아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1404년(태종 4) 다시 우정승이 되어 정계에 복귀하였고 1405년(태종 5) 다시 치사하였다. 1409년(태종 9) 다시 우정승으로 복귀하였다가, 같은 해 완전히 은퇴하고 다시 영의정이 되어 기로소에 들어간 뒤 말년을 향리에서 보내다 1410년(태종 10) 죽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2 00:50:48에 나무위키 이서(문간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