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고등학교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코칭스태프

감독
선우준혁 ·

코치
장영윤
가드
09 주찬양
가드-포워드
04 이규 ·

주장
23 최종수
포워드-센터
19 노수민
센터
11 임승대




1. 개요
2. 상세
3. 구성원
3.1. 선우준혁 감독
3.2. 장영윤 코치
3.3. 최종수(☆[1])
3.4. 이규(☆)
4. 경기 전적


1. 개요[편집]


웹툰 가비지타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학교.


2. 상세[편집]


현 시점 고교 최고의 팀. 1~2부에 걸쳐 지상고의 최대 난적이자 고교 정상권 팀으로 묘사된 원중고가 직전 두 대회에서 두번 모두 장도고에게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심지어 그 원중고와의 격차도 확연한지 고등부에서는 거의 적수가 없는 수준인 듯 하다.

이현성의 메모와 경기 내용으로 봤을 때 시카고 불스 왕조를 모티브로 한 팀이라는 게 확실히 보인다.[2] 차이점이 있다면 불스 왕조의 약점이 센터진이었던 것과 달리 센터 포지션에도 뛰어난 선수가 있고[3], 전술 자체는 필 잭슨 감독의 그것보다는 선수들의 개인기량에 맡기는 넬리볼에 더 가까운 인상을 주는 점이다.

특징으로는 스타팅 다섯명이 다 덩크를 할수 있을 정도로 신체조건과 운동신경이 좋다. 주찬양은 고등부 포인트가드치고 준수한 사이즈를 가졌고, 최종수와 이규는 190대 신장에 매우 뛰어난 운동능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며, 키는 포지션 대비 작지만 탄탄해보이는 노수민, 203~4cm의 신장에 엄청난 힘과 뛰어난 주력 및 탄력을 겸비한 임승대 등 주전들의 전반적인 피지컬이 아주 우수하다.

공격에서는 최종수 의존도가 높고, 외곽지원이 비교적 미비하며, 벤치 활용이 떨어진다거나 임승대의 공격력을 그다지 잘 살려주지 못하는 듯한 묘사가 나오는 등 명성만큼이나 약점이 없는 팀은 아니다. 그에 비해 수비 방면에서는 빠지는게 없는 팀. 고등부 최고의 윙디펜더인 최종수와 이규를 보유하였고, 지국민을 1대1로 막아낼 수 있는 노수민 및 이견없는 고교 최고의 피지컬이라는 임승대의 존재로 인사이드 수비 역시 강인석-허창현을 보유한 신유고에게 전혀 밀리지 않을 듯 하다. 거기다 이들 중에선 수비가 가장 쳐진다는 주찬양도 빵꾸는 아닌데다 오히려 꽤 준수한 수비력을 가졌다.

또한 지금까지 높은 비중이 할애된 주요 팀들 중 가장 포인트 가드의 비중이 낮은 점 또한 특징. 진재유가 명실공히 팀의 에이스인 지상고, 탈고교급 가드인 박병찬을 보유한 조형고, 포인트가드 조신우와 센터 강인석의 투맨게임이 최고 옵션인 신유고, 조재석이 핸들러이자 슈터의 롤을 겸하며 백코트 에이스로 활약하는 원중고, 김기정의 속공 전개로 굴러가는 진훈정산 등, 가비지타임의 비중있는 학교들은 전부 포인트 가드의 비중이 높다.

반면 장도고의 경우 포인트 가드인 주찬양이 전형적인 스팟-업 슈터이고, 슈팅가드인 최종수는 스코어러이며 리딩롤은 스몰포워드인 이규가 담당한다. 또한 수비코트에서는 이규가 상대팀 1~3번 에이스를 막으면 주찬양은 1/2번 중 남는 쪽, 최종수는 2/3번 중 남는 쪽을 막다가 이규 선에서 막기 버거운 선수[4]에겐 대인수비가 더 뛰어난 최종수로 매치업을 바꾸는 식. 즉, 작중의 다른 팀들에 비해 공수 양면에서 1~3번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편이다. 역할군에 맞춰 분류한다면 장신 핸들러인 이규를 PG로, 3점 슛 특화 가드인 주찬양을 SG로, 전천후 득점원이며 셋 중 피지컬이 가장 우수한 최종수를 SF로 볼 수도 있는 구성인 셈.

단점으로는 주전과 벤치 멤버의 격차가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장도고 벤치 멤버의 기량이 부족하다기보단 주전들이 너무 막강해서 생기는 넉차라고 한다. 평소에는 그래도 6-7인 로테이션은 돌리는 편이고, 어지간하면 주전 멤버들이 이른 시간에 가비지타임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적당한 때 주전들을 물리고 벤치 멤버들에게 시간을 주는 듯 하나, 쌍용기의 원중고와 지상고 모두 대등한 싸움을 하면서 승리를 장담할 수 없자 주전 멤버들 모두 교체 없이 계속 4쿼터까지 뛰었다. 이 때문에 2경기 연속으로 공수 모두 전담하느라 체력 소모가 심했던 최종수가 지상고 4쿼터 막바지에서는 퍼졌을 정도.

스포츠 만화에서 흔히 등장하는 '선수들의 기량은 압도적이지만 무능한 감독과 선수들 사이의 팀워크 부족으로 인해 주인공 팀에게 고전하는 최종보스 팀'이기도 하다. 결승전 2쿼터 종료시점에 20점 차이가 났을 때 공격시 임승대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면 승패를 쉽게 굳혔을 가능성이 크지만[5] 선우준혁은 태업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별다른 지시 없이 경기 막바지까지 시종일관 방관하기만 했다. 거기다가 경기 중에 임승대와 최종수의 갈등이 심화되어 결국 임승대가 폭발하기도 하는 등 여러 악재가 겹친 끝에 지상고에게 추격을 허용했고 결국 패배했다.

작가피셜 남녀공학이라고 한다. 바뀔수도 있다고.[6]

용산고등학교가 모티브인 듯하다. 은퇴한 유명 농구 선수의 아들이 선수로 뛰고 있다는 점도 있고, 2012년 부산중앙고가 결승에서 맞붙은 상대팀이 용산고였기 때문이다.[7]

3. 구성원[편집]



3.1. 선우준혁 감독[편집]


장도고 감독. 박병찬의 등장에 최종수와 박병찬 중 누가 우위인지 묻는 팀원들에게 당연히 박병찬이 한수 위라고 발언하며 등장.이 말은 박병찬의 우위를 인정하는 걸 수도 있지만, 최종수의 승부욕을 돋우기 위한 말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원중고전에서 "전영중이 저번 대회 이후 최종수를 20점대로 막은 녀석으로 유명해졌다"는 말을 해 최종수를 자극했고, 이후 최종수는 곧바로 보란듯이 앵클브레이커로 전영중을 녹여버린다. 최종수를 도발하기 시작한 것은 최종수가 주용상고전에서 평소와 다르게 흥분한 것을 보고 내막을 코치에게 물어본 이후인 것으로 보인다.

작중 모습은 농구 만화의 전통아닌 전통인 '최종보스팀 감독은 무능하다.'라는 클리셰를 아주 충실히 따라가는 인물. 실제로 앉아서 최종수에게 아이솔 지시하다가 가끔씩 도발해주는 것 말곤 마땅히 하는 게 없으며, 최종수와 임승대가 멱살잡이 할 때도 멀뚱멀뚱 보고만 있는 게 전부이다. 이전에 성준수와 공태성의 주먹다짐을 막기 위해 본인이 대신 죽빵맞고 기절했던 이현성과 굉장히 대조적인 모습. 사실 전력을 보나 상성을 보나 지상고를 찍어눌러야 정상인 장도고가 후반에 그 많은 리드를 거의 따라잡힌 것은 감독의 책임이 절대적이다.

우선 지상고는 벤치 멤버가 정희찬 하나 뿐이라 주전들의 체력 안배가 거의 불가능하고 파울 누적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어[8] 페이스가 빠른 팀에게는 구조적으로 약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원중고는 지상고와의 2차전에서 4쿼터 페이스를 급격히 끌어올려 4파울에 체력이 바닥난 공태성을 노골적으로 공략했고, 전형적인 속공 원툴 팀인 진훈정산은 1쿼터부터 죽어라 달리며 공태성을 기어이 코트 밖으로 쫓아내버렸다. 즉, 작중의 그 어느 팀보다도 평균 사이즈와 운동능력이 뛰어나며 우수한 피니셔들이 많은 장도고라면 업템포 농구를 구사할 시 지상고에겐 최악의 상성이 된다. 그런데 정작 감독은 상성이고 뭐고 하던대로 하프코트 오펜스만 주문하니 4쿼터에도 공태성이 쌩쌩하다 못해 덩크 네 개 꽂으며 날아다니는 상황이 벌어졌다. 장도고 주전 라인업을 보면 속공에 약한 지상고에게 템포푸쉬를 하지 않을 이유가 상식적으로 전혀 없는데도.

사실 하프코트 오펜스 위주로 가더라도 임승대에게 볼을 좀 많이 쥐어주었더라면 후반에 굉장히 쉽게 갈 수 있었다. 비록 지상고전에서 자유투 슛감이 워낙 안 좋아 득점 효율이 생각만큼은 안 나온다는 문제는 있었지만, 빅맨을 볼 수 있는 선수가 김다은과 공태성 뿐이라 하나라도 파울 트러블에 걸리거나 코트 밖으로 쫓겨난다면 사실상 게임 끝인 지상고에게는 공룡센터 임승대가 그야말로 천적이나 다름 없으니까. 그런데도 장도고는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최종수의 히어로볼을 고집했으며, 덕분에 지상고 선수들은 4쿼터 중반까지 아무도 파울 트러블에 걸리지 않았다.

이렇게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방치하는 무능한 모습을 보여주다 37화에서 동점이 되자 드디어 자신의 지도 철학에 대한 회상과 함께 타임아웃을 하면서 수비에 대한 지시를 한다. 당장의 실적에 도움이 되는 정해진 포지션의 분업식 플레이[9]를 싫어하고, 선수들의 실력 향상이 도움이 되는 스스로 생각해서 게임하기를 고수해왔기에 그랬던 것으로 그동안 별다른 지시가 없던 것도 선수들이 스스로 생각하게 만들기 위함이었다고 했다. 즉, 종수를 부추긴 것도, 승대와 종수의 기싸움을 하게 한 것도 전부 경쟁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 탓이였다.

하지만 아직 보호가 필요한 어린 아이라는 것을 뒤늦게 인지하며, 타임 아웃을 불러 수비에 대해 피드백을 하면서 진재유의 마크를 이규로 바꾸어 최종수의 체력을 안배하고 기상호가 3점슛을 코너에서밖에 쏠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해준다.[10]

하지만 이 과거회상에는 상당히 의견이 갈리는데, 결국 대부분의 의견을 합쳐보면 나오는 의견은 의도는 좋았다.[11] 특히 최종수의 지도방향을 보면 슬램덩크의 황태산을 잘못 파악한 유명호 감독이 연상된다.

키는 이규와 비교하면 180 중후반 정도로 보인다.

독자 사이에서는 사실 이규가 감독이고 선우준혁은 30학년 식스맨이었다는 말이 나왔다.

3.2. 장영윤 코치[편집]


장도고의 코치. 특별한 행적은 없다. 다른 선수를 들먹이며 교묘하게 최종수를 도발하는 선우준혁과 달리 최종수에게 단순히 점수를 내보라고 하는 정도. 다만 선우준혁이 계속 무능한 모습만 보여주면서 독자들의 평가가 올라갔다.

노수민을 뛰어넘은 공태성의 덩크를 보고 당황한 장도고 선수들에게 덩크 했다고 점수를 더 안준다고 다독여보지만 속으로는 점수차가 그대로면 큰일이라며 불안해한다.

최종수의 변화에 대해 걱정과 고민을 많이 하며 선생님으로서의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3.3. 최종수(☆[12])[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종수(가비지타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이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규(가비지타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5. 임승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임승대(가비지타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6. 노수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노수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7. 주찬양[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찬양(가비지타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경기 전적[편집]


경기
상대팀
결과
스코어
회차

지상고



협회장기
D조
무준고



주용상고



진훈정산



쌍용기
C조
(1위)
주용상고



방용고



도진고



8강
조형고

101 : 59
시즌3 8~12
4강
원중고

89 : 85
시즌3 29~38
결승
지상고

90 : 91
시즌4 1~50

[1] 탈고교급 선수답게 별이 무려 다섯 개나 쳐져있다.[2] 최종수 - 마이클 조던, 이규 - 스카티 피펜, 노수민 - 데니스 로드맨 정도로 추측 가능하다.[3] 불스의 경우 2차 쓰리핏 시절에는 룩 롱리라는 후보급 센터가 주전이라 트라이앵글 오펜스에서 빅맨의 포스트업을 조던이 맡았다.[4] 박병찬, 슛감 터진 조재석 등[5] 임승대는 자유투가 약하지만 지상고는 선수 자체가 부족해서 해킹 작전을 실행할 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6] 시즌4 2화에서 관중들 중 장도고 여학생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등장했다.[7] 또한 지상고를 다니다 장도고로 전학간 임승대는 부산중앙고 진학 직전 용산고로 가게 된 박세진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8] 김다은과 공태성 둘 중 하나라도 아웃된다면 188cm에 운동능력도 높지 않은 성준수가 4번을 봐야한다.[9] 이는 지상고가 고수해왔던 플레이 방식으로, 그동안 이런 방식을 구닥다리라고 싫어했던 이유다.[10] 이 지시의 영향으로 최종수가 연속 앤드원 플레이를 통하여 공태성과 기상호를 4파울 상태로 몰아넣을 수 있었다. 감독으로서 선우준혁의 역량 자체는 꽤나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11] 선우준혁이 그동안 바래왔던 스스로 생각하고 예상치 못한 팀이 지상고와 더 가까운 것이 상당히 묘하다.[12] 탈고교급 선수답게 별이 무려 다섯 개나 쳐져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3:05:36에 나무위키 장도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