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규

덤프버전 :




파일:곽민규.jpg
출생1987년 10월 1일 (36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75cm, 72kg
학력건국대학교 영화과
소속사프레인TPC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활동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드라마
3.3. 뮤직비디오
3.4. 기타
4. 수상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2. 활동[편집]


2017년 제43회 서울독립영화제, 제18회 대구단편영화제, 제19회 부산독립영화제, 제22회 인디포럼 등 다수의 영화제에 초청된 <당신도 주성치를 좋아하시나요?>에서 주인공 민규 역을 맡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장편과 단편, 독립영화와 상업영화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첫 장편 주연작 <내가 사는 세상>을 연출한 최창환 감독의 2020년 개봉작 <파도를 걷는 소년>을 통해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한국경쟁 부문 배우상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해 개봉한 <이장>에서 집안의 막내 승락 역을 인상깊게 소화하며 제4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남우상을 수상하였다.


3. 출연 작품[편집]



3.1.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비고
2023년컨버세이션필재
2022년젠틀맨도준호파일:wavve 로고.svg
콘크리트 유토피아고시생
창밖은 겨울석우
달이 지는 밤이태규
소피의 세계종구
2021년혼자 사는 사람들타임머신 남 역 (목소리)
메이드 인 루프탑민호
장르만 로맨스성경 담임
생각의 여름민구[1]
당신의 좌석은 어디인가요?단편영화
남남현진
딩크족
2020년이장백승락[2] [3]
파도를 걷는 소년김수[4]
달이 지는 밤태규
마운틴 뷰양승근단편영화
도와줘이종수
무협은 이제 관뒀어진영영
귀를 기울이면민규
정오에서민규
2019년내가 사는 세상민규[5][6]
생일사촌동생
마음 울적한 날엔민규옴니버스 영화 [7]
엑시트CBA 방송국 직원
은미병태
이무기여도 괜찮아민규단편영화
자리명호
완벽한 내일정훈
980g호현
한낮의 피크닉동원옴니버스 영화 [8]
돌아오는 길엔동원단편영화
오늘, 우리승준옴니버스 영화 [9]
환불승준단편영화
2018년오래달리기민규
눈물홍민단편영화 [10]
홍콩멜로민규단편영화 [11]
너 같은 사람단편영화
협상공군 상황실요원 3
신과함께-인과 연교도관
2017년장기왕: 가락시장 레볼루션기자 2
당신도 주성치를 좋아하시나요?민규씨단편영화
갈퀴기철
백 프롬 더 비트민규
2016년승부조작DOPS #07
그녀의 이별법
뿡빵삥뽕인형극장호랑이
2015년검은 돼지민철
더 폰청계천 경찰 3
2014년18: 우리들의 성장 느와르부천고 패거리 3
족구왕해병순찰대
현 선배단편영화
2013년젊은 예술가들영태


3.2.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배역비고
2021년파일:넷플릭스 로고.svg킹덤: 아신전
D.P.[12]
파일:SBS 로고.svg모범택시전진원
2022년파일:TVING 로고.svg괴이
파일:SBS 로고.svg왜 오수재인가소영의 변호사특별출연
파일:ENA 로고.svg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배성민
2023년파일:왓챠 로고.svg신입사원광고 조감독우정출연


3.3. 뮤직비디오[편집]


발표 연도가수곡명비고
2015년프라이머리, 오혁공드리 (Feat. Lim Kim(김예림))#


3.4. 기타[편집]




4.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작품
2021년제8회 들꽃영화상남우주연상파도를 걷는 소년
2020년제4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남자 신인상이장
2019년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배우상파도를 걷는 소년
2018년제18회 전북독립영화제배우상눈물
2016년제4회 박카스 29초 영화제일반부 장려상


5. 여담[편집]


  • 한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은 꿈은 코미디언이었음을 밝혔다. 그러다 고등학교 때 <올드보이>를 관람한 후 배우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고 한다. # #



  • 2020년 마리끌레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가장 좋아하는 독립영화로 조민재 감독의 <작은 빛>을 꼽았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6:52:42에 나무위키 곽민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장 연출부로도 참여했다.[2] 제4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자 신인상 수상[3] 제26회 춘사영화제 신인남우상 후보[4]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우상, 제8회 들꽃영화상 남우주연상 수상[5] 첫 장편 주연작[6] 제7회 들꽃영화상 남우주연상 후보, 제28회 부일영화상 신인 남자 연기상 후보[7] <이무기여도 괜찮아> 포함 3편의 단편으로 구성[8] <돌아오는 길엔> 포함 3편의 단편으로 구성[9] <환불> 포함 4편의 단편으로 구성[10] 제18회 전북독립영화제 배우상 수상[11] 주연은 물론 연출, 각본까지 맡았다.[12] 4화에서 허치도 병장의 후임으로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