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대한제국)

덤프버전 :

||



1. 개요
2. 상세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 후기, 대한제국 시기의 군사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 관청.


2. 상세[편집]


1895년 4월 관제 개혁에 따라 병조의 소관 업무를 인계받은 군무 아문을 개칭하여 설치하였는데, 국방에 관한 사무와 군정·군인 감독 등의 직무를 관장하였다. 주요 관원으로 칙임관인 대신 1명과 협판 1명 외에 6국과 7과에 관방장과 부장 각 1명을 두되 모두 군인으로 충원하였으며, 그외에 기사·기수가 1인씩 있었으며 주사 26인을 두었다.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황제가 된 고종에 의해 원수부가 창설, 군부를 포함한 대한 제국군 전반을 통솔하게 되어 그 권한이 약화되다가 1907년 일본의 강제 군대 해산 때 완전 폐지되었고 이름만 남아 있는 상태에서 1909년 폐지되어 군부의 남은 기능들은 친위부로 이관되었다.

아래는 군부에 속해있던 주요 관서들과 그업무들이다.










3.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

조희연
제2대

신기선
제3대

안경수
제4대

조희연
제5대

이도재
제6대

조희연
제7대

이윤용
제8대

민영환
제9대

이종건
제10대

민영기
제11대

심상훈
제12대

민영환
제13대

심상훈
제14대

민병석
제15대

윤웅렬
제16대

민병석
제17대

민영철
제18대

신기선
제19대

이근택
제20대

이봉의
제21대

윤웅렬
제22대

민영철
제23대

이용익
제24대

윤웅렬
제25대

민영기
제26대

이윤용
제27대

이종건
제28대

권중현
제29대

이용익
제30대

심상훈
제31대

권중현
제27대

이근택
제28대

권중현
제29대

이병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2:14:30에 나무위키 군부(대한제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장이나 정령 혹은 부령이 임명됨[2] 영관이 임명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