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고등학교(전남)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금성고등학교
錦城高等學校
GEUMSEONG HIGH SCHOOL
파일:금성고등학교 로고.png}}}


개교1988년 3월 5일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사립
학교법인금성학원
교장나호연
교감정창현
교훈진취
교목소나무
교화동백꽃
교색
녹색
학생 수359명[기준]
교직원 수58명[기준]
관할 교육청전라남도교육청
주소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41 (대호동 899-1)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금성고등학교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금성고등학교 학교알리미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3.2. 교목
3.3. 교화
3.4. 교색
4. 학교 시설
4.1. 1층
4.1.1. 진로진학실
4.1.2. 교장실
4.1.3. 방송실
4.1.4. 교무센터
4.1.5. 행정실
4.1.6. 천체탐구실
4.1.7. 보건실
4.1.8. 숙직실
4.1.9. 협회의실
4.1.10. 매점
4.1.11. 동아리실
4.1.12. 다용도실
4.2. 2층
4.2.1. 1학년 교실(4~6)
4.2.2. 1학년 교무실
4.2.3. 1학년 교실(1~3)
4.2.4. 학생부실
4.2.5. 평가관리실
4.2.6. 첨단과학실
4.2.7. 탈의실(남)
4.2.8. 홈베이스
4.2.9. 탈의실(여)
4.2.10. 무한상상실
4.2.11. 창의공작실
4.3. 3층
4.3.1. 2학년 교실(4~6)
4.3.2. 2학년 교무실
4.3.3. 2학년 교실(1~3)
4.3.4. 수업분석실
4.3.5. 미술실
4.3.6. 탈의실(남)
4.3.7. 홈베이스
4.3.8. 탈의실(여)
4.3.9. 기가실
4.3.10. 컴퓨터실
4.4. 4층
4.4.1. 3학년 교실(4~6)
4.4.2. 3학년 교무실
4.4.3. 3학년 교실(1~3)
4.4.4. 면학실
4.4.5. 학생 회의실
4.4.6. 음악실
4.4.7. 탈의실(남)
4.4.8. 홈베이스
4.4.9. 탈의실(여)
4.4.10. 도서관
4.5. 수돗가
5. 출신 인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41 대호동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2. 학교 연혁[편집]


시기내용
1954년 9월 22일학교법인 금성학원 이재근 이사장 취임
1988년 3월 5일금성고등학교 개교 (일반계 18학급 인가)
2003년 10월 31일금성관(종합체육관) 신축 준공
2010년 2월 4일제 2대 이익행 이사장 취임
2010년 7월 9일금오관(다목적강당) 신축 준공
2011년 7월 25일남녀공학 개편
2022년 2월 10일제38회 142명 졸업(총 7,679명)
2022년 3월 2일제13대 나호연 교장 취임


3. 교훈 및 상징[편집]



3.1. 교육목표[편집]


파일:page_0322_02.jpg


3.2. 교목[편집]




3.3. 교화[편집]




3.4. 교색[편집]


  • 녹색 - 희망을 의미한다.


3.5. 교가[편집]


파일:upload__3e2618a3_13c47c66c9a__8000_00118634.jpg
[박동수 작사 / 김정수 작곡]


4. 학교 시설[편집]


교지는 32,230m², 운동장은 20,230m²이다.
순서대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배치했다.

현재 진행 중인 공간조성사업으로 인해 몇 년 후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4.1. 1층[편집]



4.1.1. 진로진학실[편집]



4.1.2. 교장실[편집]



4.1.3. 방송실[편집]



4.1.4. 교무센터[편집]



4.1.5. 행정실[편집]



4.1.6. 천체탐구실[편집]



4.1.7. 보건실[편집]



4.1.8. 숙직실[편집]



4.1.9. 협회의실[편집]



4.1.10. 매점[편집]



4.1.11. 동아리실[편집]



4.1.12. 다용도실[편집]




4.2. 2층[편집]



4.2.1. 1학년 교실(4~6)[편집]



4.2.2. 1학년 교무실[편집]



4.2.3. 1학년 교실(1~3)[편집]



4.2.4. 학생부실[편집]



4.2.5. 평가관리실[편집]



4.2.6. 첨단과학실[편집]



4.2.7. 탈의실(남)[편집]



4.2.8. 홈베이스[편집]



4.2.9. 탈의실(여)[편집]



4.2.10. 무한상상실[편집]



4.2.11. 창의공작실[편집]




4.3. 3층[편집]



4.3.1. 2학년 교실(4~6)[편집]



4.3.2. 2학년 교무실[편집]



4.3.3. 2학년 교실(1~3)[편집]



4.3.4. 수업분석실[편집]



4.3.5. 미술실[편집]



4.3.6. 탈의실(남)[편집]



4.3.7. 홈베이스[편집]



4.3.8. 탈의실(여)[편집]



4.3.9. 기가실[편집]



4.3.10. 컴퓨터실[편집]




4.4. 4층[편집]



4.4.1. 3학년 교실(4~6)[편집]



4.4.2. 3학년 교무실[편집]



4.4.3. 3학년 교실(1~3)[편집]



4.4.4. 면학실[편집]



4.4.5. 학생 회의실[편집]



4.4.6. 음악실[편집]



4.4.7. 탈의실(남)[편집]



4.4.8. 홈베이스[편집]



4.4.9. 탈의실(여)[편집]



4.4.10. 도서관[편집]




4.5. 수돗가[편집]




5. 출신 인물[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6.1. 버스[편집]


학교 아래 버스 정류장 그리고 육교 건너편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으로 2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다.



7. 기타[편집]


  • 학교가 산 쪽 중턱에 있어 등하교 할 때마다 약간의 도보가 필요하다.학교를 등하교 할 때마다 운동이 가능하다
  • 학교를 운동장에서 보게 된다면 2층에서 4층까지만 볼 수 있다. 그러나 계단을 타고 내려가면 아래에 있는 1층을 발견할 수 있다.학생들 사이에서는 1층이 지하라고 불리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7:39:55에 나무위키 금성고등학교(전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년 3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