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버스 98 (r1판)

편집일시 :

>
김해시
{{{#fff,#1f2023
[[틀:김해시의 좌석버스|

{{{#white 좌석
ㆍ[[틀:김해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김해시의 공영버스|

공영
]]ㆍ[[틀:김해시의 도시형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4DC3; font-size: 16px"
도시
]]


파일:98번 7066호(대차).jpg [1]파일:98번 7033호.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일반좌석버스 98번
기점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수안리(선암)종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동(창원대학교)
종점행첫차05:20기점행첫차06:50
막차22:20막차00:00
평일배차출근시 27분, 평시 35~40분주말배차40~45분
운수사명가야IBS인가대수6대
노선선암 - 불암역 - 한일여고 - 삼방시장 - 영운초교 - 인제대학교 - 대우유토피아후문 - 활천고개 - 김해도서관 - 김해한신아파트 - 풍유동 - 내덕마을 - 대동1단지 - 장유초교 - 젤미주공아파트 - 대청초교 - 갑오마을8단지 - 계동 - 관동중학교 - 창원터널 - 창원경상대병원 → 남산버스정류소 → 가음주공1단지 → 상남도서관 → 대동백화점 → 창원시청.한서병원 → 창원종합운동장 → 반송까치아파트 → 봉곡상가입구 → 창원의집입구 → 창원대삼거리 → 창원대학교 → 창원대삼거리 → 경남도청 → 창원축구센터.법원.검찰청 → 안남중학교 → 대방동종점 → 남산중학교 → 가음정레포츠공원환승센터 → 창원경상대병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김해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89.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장유신도시가 성장하면서 2001년 5월에 신설되었다. 당시엔 창원시 시내버스 업체와 '장유신도시 - 창원대' 구간을 공동 배차로 운행했다.

  • 97번과는 창원 시내를 서로 반대로 순환한다.

  • 김해시가 협의 없이 멋대로 노선을 지내동까지 연장하면서 한동안 김해시 소속 차량은 지내동까지, 창원시 소속 차량은 그대로 장유까지만 운행했다. 이에 창원시가 반발하여 97번, 98번에서 철수한 이후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2]

  • 이후로 김해시는 장유신도시 발전에 따라 장유시내 운행 구간을 직선화시켜 창원과의 공동배차 시절과는 서로 다른 노선이 되었다.

  • 2007년 3월 10일에 월산초교, 부영11차, 장유스포츠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9년 9월 7일에 '선암마을 - 불암치안센터 - 양장골 - 지내동삼거리 - 지내동원아파트 - 지내동입구'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5년 9월 14일에 선암 첫차가 5시 30분에서 5시 28분으로 소폭 앞당겨졌다.

  • 자동차전용도로창원터널입석금지로 인해 2018년 5월 19일부로 좌석버스로만 운행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요금도 인상되었다. 성인 기준으로는 현금 1,400원으로 100원밖에 인상이 안되어 큰 불편함은 없는데 문제는 어린이와 청소년 요금이 1,000원대로 대폭 인상되었다.

  • 2022년 6월 13일기준 선암막차 22:20분이다


4. 특징[편집]


  • 김해에서 제일 긴 노선으로 창원시 구간은 58번과 59번에 비해 직선화된 노선을 가지고 있으나, 김해시 구간이 좀 더 길다.

  • 97번과 교대로 운행하며 98번과 창원시 순환구간을 반대로 운행한다.

  • 장유창원시 거주 인제대학교와 김해대학 통학생들이 이 노선을 상당히 선호하고 있는데 다른 노선들을 이용하면 환승이 필수적이나 이 노선은 한 번에 바로 이어주기 때문이다.[3]

  • 김해 시내버스 노선들 중 막차가 가장 늦어 심야버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막차시간대에는 출발지 근처에서 타지 않으면 탑승하지 못하거나 중간 정류장[4]에서 내려야 한다.[5]

  • 부산 원도심에서 123번을 타고 불암역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하면 교통카드 기준 2,000원으로 창원까지 한 번에 바로 갈 수 있다. 소요시간이 문제지만[6] 아니면 하단역에서는 220번이나 221번을 타고 장유까지 가서 이 노선으로 환승해도 된다.


4.1. 시간표[편집]


#


4.2. 노선[편집]


파일:김해시 CI_White.svg 김해시 좌석버스 98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창원대학로
창원대학교입구 ▼▲ 창원대학교종점
퇴촌로
창원대삼거리 ▼▲ 우영프라자
사림로
성심유치원 ▼▲ 창원대삼거리
원이대로
대방동종점 ▼▲ 대동그린코아
가음로충혼로
남산고등학교 ▼▲ 운동장사거리
가음로92번길창이대로
남산중학교 ▼▲ 한림아파트
가음정로가음로
▲ 피오르빌아파트
가양로
남산버스정류소 ▼▲ 남산중학교
창원대로
▲ 삼정자내리마을
금관대로
율하로
신안마을 ▼
덕정로
덕정사거리 ▼▲ 관동중학교
계동로
갑오마을 ▼▲ 계동
대청로
대청고등학교 ▼▲ 갑오마을
반룡로
장유푸르지오8차 ▼▲ 대청초등학교
번화2로
월산초등학교 ▼▲ 주공아파트
능동로
▲ 장유석봉마을
내덕로
대동1단지 ▼
금관대로599번길
남명더라우 ▼▲ 대동1단지
금관대로
한신아파트 ▼▲ 일동한신아파트
분성로
약수터 ▼▲ 활천고개
활천로
인제대학교 ▼▲ 대우유토피아후문
인제로
영운초등학교 ▼▲ 삼방동장애인복지관
삼안로
안동육거리 ▼▲ 한일여고
분성로
지내역 ▼▲ 지내동입구
김해대로
불암장어마을 ▼▲ 불암역
대동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김해시 CI.svg 장유신도시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좌석5859914
일반212324
김해관광유통단지 경유 노선
좌석220
일반3-1222526
율하신도시 미경유 노선
좌석9797-198770창원
일반131521-144
[a] 김해관광유통단지 경유. / [b] 율하신도시 미경유.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 김해시 시내버스 파일:김해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좌석>

770창원
일반
35창원
>

45창원
마을3창원


파일:창원시 CI.svg | 파일:창원대.png 창원대학교 경유버스
창원대학교 종점 (120505), 창원대학교입구(120503, 120504)
직행704752
간선100101
110122
150[정문]170[정문]
지선214
김해58[정문]59[정문]
97[정문]98[정문]
창원대동문 (108920), 창원중앙역(종점) (108913)
직행752
지선210211
220[중앙역]221[중앙역]
222[중앙역]
[정문] 창원대학교종점에서 정차 후 출발 / [중앙역] 창원중앙역에서 정차 후 출발
}}}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좌석9798
일반상동공영1상동공영2
11-12-1[a]7[b]
88-1100912
[a] 대유유토피아 방면 운행 시 경유. / [b] 삼방동 방면 운행 시 경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4 18:45:41에 나무위키 김해 버스 9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3:10:45에 나무위키 김해 버스 9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의 차량은 2018년 11월 중순 대우 NEW BS106 대차되어서 58번 운행하다가 예비차로 격하되었다.[2] 참고로 이 당시 철수했던 창원시는 창원시내 순환노선인 58, 59번을 각각 장유로 연장시켰지만, 이 마저도 김해시가 숟가락을 얹으면서 창원시내버스 개편과 함께 김해시 단독으로 삼계동까지 연장해버렸다. 개편과 함께 창원 58번은 171번으로, 59번은 170번이 되었다가 이후 170번으로 통합되었다.[3] 인제대학교에서는 부산 북구로 나가는 시간이나 장유로 가는 시간이나 거의 엇비슷하여 장유나 창원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통학 수요가 폭발적이다.[4] 주로 남산터미널[5] 98번 불암동 방면은 대방동을 거쳐가는데 대방동은 아시다시피 주거지역이며 야심한밤에 사람이 탈일이 거의 없다. 상업지구인 상남동이면 그렇다쳐도[6] 평시 기준 3시간 정도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