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로스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1. 개요
2. 로스터
2.1. LCK (한국)
2.2. LPL (중국)
2.3. LCS NA (북미)
2.4. LCS EU (유럽)
2.5. GPL (대만, 동남아시아)
2.6. IWC (국제 와일드 카드)


1. 개요[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하는 16개 팀들의 멤버를 정리해둔 문서이다. 영역별 순서는 올스타전 2014 인비테이셔널 성적을 따르고, 영역 내 순서는 시드의 순서를 따른다.


2. 로스터[편집]



2.1. LCK (한국)[편집]




2.2. LPL (중국)[편집]


팀명파일:LPLOLDLOGOWHITE.png LPL (중국)
Edward GamingStar Horn Royal ClubOh My God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Royal_Clublogo_square.pn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Coach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Aar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aL파일:중국 국기.svg XiaoFei
파일:Top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Koro1파일:중국 국기.svg cola파일:중국 국기.svg Gogoing
파일:Jungle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Clearlove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nSec파일:중국 국기.svg Loveling
파일:Mid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U파일:중국 국기.svg corn파일:중국 국기.svg cool
파일:Bot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NaMei파일:중국 국기.svg Uzi파일:중국 국기.svg san
파일:Support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Fzz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ro파일:중국 국기.svg DaDa777
파일:Sub_icon.png파일:중국 국기.svg Fireloli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LaoPi파일:중국 국기.svg Cloud


2.3. LCS NA (북미)[편집]


팀명파일:NA_LCS_white.png LCS NA (북미)
Team SoloMidCloud 9 Hyper-XLMQ
파일:external/ud1eby.files.wordpress.com/tsm-logo.png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loud9logo_square.pn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123px-LMQ_logo_150.png
파일:Coach_icon.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codoco파일:미국 국기.svg Charlie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y
파일:Top_icon.png파일:미국 국기.svg Dyrus파일:미국 국기.svg Balls파일:중국 국기.svg ackerman
파일:Jungle_icon.png파일:독일 국기.svg Amazing파일:미국 국기.svg Meteos파일:중국 국기.svg NoName
파일:Mid_icon.png파일:덴마크 국기.svg Bjergsen파일:미국 국기.svg Hai파일:중국 국기.svg XiaoWeiXiao
파일:Bot_icon.png파일:미국 국기.svg WildTurtle파일:미국 국기.svg Sneaky파일:중국 국기.svg Vasilii
파일:Support_icon.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stboy파일:미국 국기.svg LemonNation파일:중국 국기.svg Mor
파일:Sub_icon.png파일:캐나다 국기.svg TheOddOne파일:미국 국기.svg Dan Dinh파일:중국 국기.svg hi im Cho Ah


2.4. LCS EU (유럽)[편집]


팀명파일:LCS Europe_logo_white.png LCS EU (유럽)
AllianceFnaticSK Gami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lliance_logo.png파일:380px-Fnatic_orig_no_text.png파일:external/lide.uhk.cz/sk.png
파일:Coach_icon.png파일:캐나다 국기.svg Leviathan파일:스페인 국기.svg Araneae[S]파일:영국 국기.svg InnerFlame
파일:Top_icon.png파일:덴마크 국기.svg Wickd파일:프랑스 국기.svg sOAZ파일:영국 국기.svg fredy122
파일:Jungle_icon.png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hook파일:핀란드 국기.svg Cyanide파일:덴마크 국기.svg Svenskeren
파일:Mid_icon.png파일:덴마크 국기.svg Froggen파일:스페인 국기.svg xPeke파일:덴마크 국기.svg Jesiz
파일:Bot_icon.png파일:네덜란드 국기.svg Tabzz파일:스웨덴 국기.svg Rekkles파일:독일 국기.svg CandyPanda
파일:Support_icon.png파일:독일 국기.svg Nyph파일:프랑스 국기.svg YellOwStaR파일:독일 국기.svg nRated
파일:Sub_icon.png파일:체코 국기.svg Kazmitch파일:독일 국기.svg Gilius


2.5. GPL (대만, 동남아시아)[편집]


팀명파일:Logo-gpl2014white.png GPL (대만·동남아시아)
Taipei Assassinsahq e-Sports Club
파일:attachment/Taipei_Assassins.jpg파일:attachment/ahq.jpg
파일:Coach_icon.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im파일:대만 국기.svg Backstairs
파일:Top_icon.png파일:대만 국기.svg Achie파일:대만 국기.svg Prydz
파일:Jungle_icon.png파일:대만 국기.svg Winds파일:대만 국기.svg NAZ
파일:Mid_icon.png파일:대만 국기.svg Morning파일:대만 국기.svg westdoor
파일:Bot_icon.png파일:대만 국기.svg BeBe파일:대만 국기.svg GarnetDevil
파일:Support_icon.png파일:대만 국기.svg Jay파일:대만 국기.svg GreenTea
파일:Sub_icon.png파일:싱가포르 국기.svg Chawy파일:대만 국기.svg change


2.6. IWC (국제 와일드 카드)[편집]


팀명파일:CBLOL_white.png CBLOL (브라질)
KaBuM! e-Sports
파일:TCL2014_whitelogo.png TCL (터키)
Dark Passage
파일:KaBuM!_e-Sportslogo_square.png파일:다크페시지.png
파일:Coach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Ziriguidun파일:튀르키예 국기.svg Auspexa
파일:Top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LEP파일:튀르키예 국기.svg fabFabulous
파일:Jungle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Danagorn파일:튀르키예 국기.svg Crystal
파일:Mid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TinOwns파일:튀르키예 국기.svg Naru
파일:Bot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Minerva파일:튀르키예 국기.svg HolyPhoenix
파일:Support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dans파일:노르웨이 국기.svg Touch
파일:Sub_icon.png파일:브라질 국기.svg bit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Holythoth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03:38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로스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S] 로스터에는 서브로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