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게타이

덤프버전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우즈베키스탄
관련 문서
<^|1><height=34><color=#fff><bgcolor=#1eb53a,#1f2023>
[ 펼치기 · 접기 ]

}}}




Massagetae

1. 개요
2.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카스피해의 동북부와 트란스옥시아나의 서부에 살던 민족. 기원전 7세기부터 기록이 존재하며 기원전 4세기에 사라졌다. 스키타이계 민족이며, 헤로도토스의 《역사》 4권 11장에 따르면 스키타이는 마사게타이족에게 밀려 아락세스강을 건너 킴메리아로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다.[1]

기원전 500여년경에 이들은 아락세스강으로부터 먼 동쪽, 그리고 이세도네스 부족[2]의 맞은 편에 거주했으며, 인구도 많고 호전적인 부족으로 기록되었다.

이들의 풍습은 요즘 관점에서 이해하기 힘들지만 스키타이를 야만인으로 평가한 헤로도토스의 과장일 수도 있다. 일처 제도를 유지했지만 공처제를 하기도 한다고 헤로도토스는 주장했다.

마사게타이족 남자가 어떤 여자와 결혼하는 경우, 여자가 사는 말 수레 앞에 화살통을 걸며 청혼했다고 한다.

또한 이들은 부모가 죽은 경우, 장례 의식을 위해 부모의 유해를 일부 섭취하는 풍습도 있었다고 하나 이는 스키타이 북부의 타이가 지대의 일부 수렵채집민 이야기가 잘못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부모가 죽으면 친족들이 모여 양, 염소와 함께 죽은 유해를 삶아 먹었다고 하며, 그들은 이런 풍습을 큰 행복과 효도로 여겼다고 한다. 이런 이유는 조상의 지혜, 혹은 능력을 이어받는다는 의미를 포함하기도 하며 죽은 부모가 묻힐 곳은 땅이 아닌 자식의 몸이라는 개념을 현대와 다르게 효도로 여긴 것으로 보인다. 이와 반대로 병으로 죽으면 먹지 않고 땅에 묻었는데 자식의 몸에 묻지 못한 것을 불효로 여겼다고 한다.

농사는 짓지 않고 가축을 기르며 물고기를 잡아먹었다고 한다. 또한 가축의 젖도 먹었다. 이런 생활방식은 스키타이와 유사했다고 한다.

무기는 활과 창도 썼지만 주로 양날도끼를 썼고, 재질은 구리와 청동을 사용했다고 한다. 말에는 청동 흉갑, 재갈과 고삐 그리고 면갑은 금을 사용했다고 한다. 화살촉은 구리를 사용했는데 활의 위력이 대단했다고 했다. 또한 사람의 장신구로는 머리와 허리, 어깨에는 띠를 하고 금 장식을 주로 했다. 철과 은은 사용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금과 구리 및 주석은 풍부하게 나왔지만 철과 은은 나지 않았다고 한다.

종교는 태양신만 믿었고, 말을 제물로 바쳤다.


2.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2:26:45에 나무위키 마사게타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키타이에는 사카, 다하에, 이세도네스(Issedones) 등 여러 부족들이 존재했다. 헤로도토스도 그의 책 《역사》에서 마사게타이족을 스키타이의 일파로 서술했다. 《역사》 1권 201장[2] 위치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대체로 카스피해 동쪽 중앙아시아에 있었던 부족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