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락

덤프버전 : r20210301

[ 펼치기 · 접기 ]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황상규
단원
강세우강인수고인덕곽재기
권정필권준김광추김기득
김방우김병현김상옥김상윤
김성숙김시현김익상김지섭
김철호나석주남정각박문희
박자혜박재혁박차정박희광
배동선배중세배치문서상락
송천흠신악신영삼신채호
신철휴오성륜변절유자명윤세주
윤치형이구연이병철이병희
이성우이수택이육사이종암
이태준정이소최수봉황옥불확실
최용덕한봉근한봉인홍가륵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성명서상락(徐相洛)
이명서영윤(徐永潤), 서영림(徐永林)
본관달성 서씨#
생몰1893년 3월 23일 ~ 1923년 5월 28일
출생지경상도 대구도호부 동중면
(현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1]
사망지독일 베를린
추서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서상락은 1893년 3월 23일 경상도 대구도호부 동중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찍이 만주로 이주했고, 1918년 1월 만주 통화현(通化縣)[2]에 있는 신흥강습소를 졸업한 뒤 교관으로 재직하면서 독립군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던 중 같은 학교 학생인 김원봉, 김옥(金玉) 등과 친분을 맺고 1919년 11월 중국 길림성 파호문에서 김원봉, 이종암 등 12명의 동지와 함께 의열단을 조직하고 김원봉을 단장으로 추대했다.

이후 서상락은 조선총독과 일제 고관, 일본군 장교, 친일부역배 등을 주살하고 일제의 주요기관을 파괴하기로 결의하고, 1919년 11월 9일 중국에서 국내로 폭탄을 반입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경성일보사 등을 폭파시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황상규, 곽재기 등과 함께 폭탄 13개, 권총 2정을 반입시키고 1920년 6월 밀양경찰서를 폭파시키기 위해 준비했다. 그러나 이 사실이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자, 그는 급히 중국 동삼성으로 피신했다.

1920년 봄, 서상락은 의열단원 신철휴와 함께 미리 국내에서 모집해 둔 군자금 2,000원을 의열단에 제공했다. 그리고 1922년 4월에 상하이 법계 융파로 수길리에 의열단 본부가 이전되었을 때 재호(沪)단장이 되었으며, 그해 여름 해외에 독립운동기지를 마련하기 위해 독일로 가서 베를린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1923년 5월 28일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3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한편, 1934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편찬한 『국외용의조선인명부(國外容疑朝鮮人名簿)』에 서상락이 등재되어 있는데, 조선총독부에선 그의 사망 사실을 당시까지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서상락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1] 달성 서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서오룡도 이 마을 출신이다. 산격동 산79-1번지에는 산격동 입향조인 서침(徐沈)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구암서원이 있다.[2] 통화현은 지금의 중국 지린성 퉁화시(通化市)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