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0411 (r1판)

편집일시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04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0411 노선도.png
기점[출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서울드래곤시티)
[도착]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용산역3번출구)
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AT센터.양재꽃시장)
종점
첫차04:10기점
첫차-
막차22:30막차-
평일배차11~15분주말배차토요일 13~17분 / 공휴일 14~19분
운수사명대원여객인가대수21대(예비 1대)[1]
노선용산역(용산공영차고지) - 원효로3가 - 용산꿈나무종합타운보건분소 - 효창공원앞 - 대한노인회 - 이촌2동주민센터 - 이촌동한강맨션.이촌역 - 서빙고신동아아파트 - (←서빙고역1번출구 ←) - 동작대교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 고속터미널 - 삼호가든사거리 - 교대역 - 강남역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 AT센터.양재꽃시장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 예정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6.8km이다.


3. 역사[편집]


  • 2016번3012번의 단축에 의한 대책으로, 2022년 6월 27일에 신설될 예정이다. 관련 공문 차량은 01A/B, 5624번, 106번, 370번, 2312번에서 차출하였다.[2]


4. 특징[편집]


  • 이전의 0018번 폐선 이후 새로 개통한 0권역 지선버스이자 0권역발 4권역행 노선으로는 최초의 노선이다.

  • 본래 고속터미널을 거쳐 논현역을 경유하여 강남역으로 향하도록 계획했지만, 용산구 주민들의 민원 제기로 삼호가든사거리와 교대역을 대신 경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강남역~신반포역 구간은 서초10번과 겹친다.

  • 가스차량들의 경우, AT센터 정류소에 정차한 이후 염곡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가스를 충전한다. 도로교통공단까지 가기로 계획됐었으나 실제로는 140번처럼 염곡사거리까지만 운행한다.

  • 효창공원 구간은 양방향 모두 운행하므로, 기사에게 물어서 확인해야 한다.

  • 3012번의 고속터미널 ~ 삼호가든사거리 단독구간 수요를 분담해줄 것으로 보이며, 단축 이후 세화고등학교 하교수요도 대신 맡게된다. 진흥아파트 ~ 교대역 편도 구간의 경우, 740번 외에 노선이 추가되어 조금 더 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 4424번 이후로 14년만에 강남대로 중앙버스차로를 이용하는 지선버스이다.

  • 강남역에서 양재역→교대역 방향으로 좌회전하는 노선 중 하나이다.[3]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04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22년-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A]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교대역, 양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이촌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구반포역,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역[A], 효창공원앞역, 이촌역, 서빙고역[4]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일반 철도역: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A]
[1] 토요일 19대 / 공휴일 18대 운행[2] 01A/B 8대, 5624번 4대, 106번 2대, 370번 4대, 2312B에서 3대를 차출하였다. 01A/B번과 5624번 차량의 경우 폐선분이며, 106번과 542번은 차돌리기 때문에 인가대수 변화가 없고, 370번은 2대감차, 2312번은 3대가 감차된다.[3] 다른 하나는 서초09번. 그러나 바로 GT타워쪽으로 우회전한다.[A] A B C 승차는 서울드래곤시티 정류장에서 해야한다.[4] 용산역 방향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