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126 (r3판)

편집일시 :

>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10141017102011111112
11131114[a]111511161119
112011221124[a]11261127
11281129[a]1130[a]11311132
113311351136[a]11371138
11391140114111421143
1144115411551162[a]1164[a]
11651167121312181221
12221224122612271711
810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1126번_개선형뉴슈퍼.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강북청소년수련관)종점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안방학동)
종점
첫차04:25기점
첫차04:55
막차23:50막차00:23
평일배차5~9분주말배차토요일 5~9분 / 공휴일 5~10분
운수사명선일교통인가대수20대(예비 1대)[1]
노선강북청소년수련관 - 국립4·19민주묘지 - 수유2동주민센터·우이시장 - 강북구청 - 수유3동우체국 - 창동태영데시앙아파트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 - (→ 창동서울탁주 → 창동·신창시장 → 창동대우아파트 →/← 창동대우아파트 ← 창동·신창시장 ← 창동서울탁주 ←)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 - 창동태영데시앙아파트 - 쌍문역 - 도봉구보건소 - 도깨비시장 - 안방학동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편집]


선일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8.91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432번 지역순환버스(안방학동 - 창동대우아파트)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1126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7년 4월 23일 창동대우아파트 방향으로 창동중앙약국, 창동청구빌라를 경유하던 회차경로[2]를 창동서울탁주, 신창시장 경유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6월 29일부터 공차회송 등의 문제로 기점이 강북청소년수련원으로 변경되었고, '국립4.19묘지입구사거리 - 광산사거리 - 강북구청 - 수유3동우체국' 구간이 연장되어 기존 회차구간을 양방향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1119번에서 4대를 받아왔다.

  • 2020년 8월부터 쌍문역 3번 출구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폐쇄되면서 강북청소년수련관 방향 운행 시 마을버스가 서는 쌍문역 4번 출구 정류장이 아닌 쌍문역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0년 9월 14일을 기해 본해 04:30이던 기점 첫차시각이 04:25로 5분 앞당겨졌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각각 5~7분/5~8분이던 평일/토요일 배차간격이 5~9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안방학동과 신창동 지역에서 쌍문역으로 이어주는 몇 안 되는 노선이기 때문에 쌍문역 수요가 이 노선의 핵심이다. 쌍문역에서 신창동/방학동 승객들이 서로 물갈이되는데, 쌍문역에서 우르르 내리면 다시 다른 동네 승객들이 우르르 타 버리는 식. 그래서 방향 상관 없이 출근 시간대에는 도깨비시장/대우아파트104동부터 쌍문역까지, 퇴근 시간대에는 쌍문역부터 대우아파트104동/도깨비시장까지 앉아 가기 힘들다. 안방학동에서는 심한 경우 종점 바로 다음 정류소부터 앉을 자리가 남지 않기도 한다.

  • 강북구청사거리 이북에서 수유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광산사거리로 꺾는 유일한 노선이다. 덕릉로 일대에서 수유역을 가는 버스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긴 것을 생각하면 이는 굉장히 아쉬운 부분이지만, 오히려 덕릉로-도봉로 연선에서 4.19묘지 쪽으로 바로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라는 점에서 수요가 나름대로 있다. 수유역으로 갈 사람은 대신 '수유3동우체국' 정류소에서 내려 2~3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 보조행선판이 매우 독특하다. 아크릴에 행선지를 적어놓고 그 판을 앞뒤로 돌릴 수 있게 하는 형식[3]으로, 경기도 시내버스의 노선번호 행선판과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행선지 문구는 여러 차례 자잘한 수정이 있었으며, 현재는 2020년 10월부터 사용하는 방식을 쓰고 있다.[4]
안방학동 방향강북청소년수련관 방향
도깨비시장
쌍문역·안방학동
강 북 구 청
4.19국립묘지

  • '창동태영A - 서울탁주 - 신창동 - 창동대우A - 창동태영A' 구간에서는 버스가 안방학동 방향인지 4.19국립묘지 방향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보조행선판을 확인하는 것이 제일 편하고 정확하며, 만약 안 보고 잘못 타면 정 반대 방향이므로 주의.[5] 4.19묘지 방향 버스는 가끔 회차 시 보조행선판을 돌리지 않기도 하기 때문에(...) 현지인들은 중복구간 전 보조행선판이 잘못된 것을 봤다면 꼭 알려드리자.

  • 배차간격은 본래 5분 정도로 꽤나 좁은 편이었는데, 방학동, 쌍문동에서 자주 보였고 쌍문역에서도 틈만 나면 등장했다. 그러나 코로나19와 유상감차의 영향으로 2021년 들어서는 배차간격이 15분까지 벌어지는 등 예전보다 배차간격이 상당히 벌어지고 있다.

  • '대우아파트104동' 정류소는 과거 이 노선의 종점이었던 '창동대우아파트' 정류소였으며, 현재는 안방학동 방면 한정으로 23시 이후에는 지정된 정류장을 벗어나 하차가 가능한 '여성 안심 정류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 2004년 개편 전부터 4.19 연장 전까지는 노선 길이가 짧아 차등요금(성인, 교통카드 기준 850원)을 받았으나, 4.19민주묘지 연장 후에는 일반 시내버스와 같은 성인 교통카드 기준 1050원으로 조정되었다.

  • 주기적인 행사와 장소가 많이 겹치는 노선인 탓에 노선 우회가 많다.
    • 매년 4월 19일에는 4.19 혁명 관련 행진으로 한천로 구간에서 우회를 진행하는데, 이때 수유역을 임시로나마 직접 경유하게 된다.
    • 어린이날에는 방학동 삼익세라믹 ~ 쌍문동 삼익세라믹 삼거리까지 차없는 거리 행사 때문에 노선 우회가 이루어진다. 방학동 삼익세라믹, 쌍문동 청구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며 방학로와 시루봉로로 우회하여 도봉구보건소에 정차한다.
    • 우이천 벛꽃축제 등으로 창동 태영아파트 앞의 우이천로가 통제될 때가 있는데, 기존 구간을 대부분 운행하므로 큰 문제는 없다.
    • 방학동 동네 축제 등으로 안방학동 진입이 제한되는 때에는 시루봉로, 방학중학교 방면으로 빠져서 회차한다.

  • 샘말어린이공원 ~ 방학동 도깨비시장 사이의 각 정류장 간격이 150m 정도로 정말 짧아서 잘 뛰고 운 좋으면 이전 정류장에서 놓친 버스를 바로 다음 정류장에서 탈 수도 있다. 그 전후를 포함한 안방학동 종점 ~ 신우빌라로 쳐도 다섯 정류장 거리에 겨우 1km 밖에 되지 않는다. 버스가 떠났다면 쫓아가면 되지

  • 과거 이 노선의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10587)' 정류장은 정차는 하지만 BIS 정보를 받을 수 없는 비인가 정류소였다. 그러던 2018년 12월 마을버스 측의 민원 제기로 다시 무정차 통과하기 시작했는데, 다행히 동월 21일부터 정식으로 다시 정차하고 있으며 BIS에도 뜨기 시작했다. 다만 전 정류장과의 거리가 110m로 꽤 짧으며, 이 다음 정류소와 명칭이 같고 안내방송 또한 음질을 제외하면 정확히 똑같으므로 외지인이라면 주의.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6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1,892명-
2014년11,021명▽ 871
2015년10,773명▽ 248
2016년10,773명-
2017년10,748명▽ 25
2018년10,582명▽ 166
2019년10,515명▽ 67
2020년8,147명▽ 2,368
2021년8,109명▽ 3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15대 / 공휴일 14대 운행[2] 현재 도봉07번이 경유하는 그 경로다.[3] 이 형식은 같은 선일교통 소속인 1119번에서도 쓰며 개편 전 구 19번도 이런 방식을 썼다.[4] 2013년경부터 사용하던 버전에서 상행에 '쌍문역' 문구를 추가했다.[5] 대체 노선으로 1127번(양방향), 1138번(수유역), 도봉07번(쌍문역)이 있지만 도봉07번을 제외한 다른 노선들은 배차간격이 넓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