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버스 5601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안산 - 여의도/중앙역 - 광명역을 운행하던 버스에 대한 내용은 안산 버스 50 문서
안산 버스 50번 문단을
안산 버스 50#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시흥시 CI_White.svg 시흥시 일반버스 56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경기도 시흥시 능곡동(능곡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
종점행첫차05:20기점행첫차06:30
막차22:20막차23:30
평일배차10~20분주말배차15~25분
운수사명시흥교통인가대수14대[1]
노선능곡공영차고지 - 시흥능곡역 - 시흥가온중사거리 - 시흥경찰서정문 - 진말초등학교.루벤시아1차 - 대동청구아파트 - 시흥시청역 - 물왕삼거리 - 목감호수품애.중흥S클래스 - 목감고등학교 - 퍼스트리움 - 목감도서관 - 율포마을 - 목감IC - 서해안고속도로 - 일직JC - 제2경인고속도로 - 석수IC - 석수역(중) - 시흥사거리(중) →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금천롯데캐슬골드파크1~3차 → 시흥사거리(중)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소
금천구청역 방향목감푸르지오후문 (평일)07:05, 07:20, 07:40
능곡 방향없음


2. 개요[편집]


시흥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1km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편집]


  • 2019년 연말 경, 경기도와 서울시가 능곡차고지~가산디지털단지역 간 시내버스 노선 개설을 두고 협의했으나 서울시의 부동의로 진전이 이뤄지지 못했다. #

  • 2021년 12월 경, 국토교통부에 신청한 노선 조정의 결과로 종점이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금천구청역으로 변경되었다.[2]


  • 2024년 상반기(3~4월)에 본 노선과 5604번을 통합하는 사업계획변경에 대해 관계기관인 서울시와 안양시가 동의하였다.

  • 2024년 4월 24일, 상술한 사업계획변경이 인가되었다.



4. 특징[편집]


  • 과거에는 50번 버스가 '5601'번으로 운행했으나, 2019년에 노선 경로 및 노선번호가 함께 변경되면서 현재 안산/시흥권에 운행 중인 '560X' 시리즈의 시초가 된 5601이라는 노선번호가 15년 만에 사라지게 된 역사가 있다. 본 노선 개통으로 해당 번호는 5년 만에 새로 부활하게 되었다.

  •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이다. 일반시내버스이기 때문에 입석 금지제도 시행 대상은 아니나, 관계법령에 따라 전 차량 전 좌석에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 5602번의 목감~석수역 구간은 출퇴근 시간마다 앞문 계단까지 사람이 낑겨 탈 정도로 극심한 혼잡도를 빚고 있는데[3], 본 노선은 해당 구간 혼잡도 해소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목감동행정복지센터를 기준으로 시흥시청역까지 자동차로는 10~15분 정도면 도달하지만, 버스를 이용하면 중간 경유지가 많기 때문에 가는 데만 30분 가까이 소요되고 배차마저도 그리 좋지 않아 그동안 목감 주민들은 서해선의 개통·연장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었다. 본 노선은 짧은 배차와 최적 경로로 목감 지역과 시흥시청역을 연계해 주기 때문에 그동안 누적되온 주민 불편 해소와 시흥시청역의 이용객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장현지구에서 석수역, 금천구청역 일대로 이동할 때는 본 노선을 이용할 메리트가 거의 없다는 지적이 있다. 일단 앱에서 소요시간을 조회하면 전철과 큰 차이가 없거나 더 빨리 도착 가능하다고 안내하지만 실제로는 목감지구 내부·목감동 구도심 강제 투어 및 고속도로 구간 정체로 인해 전철로 금정역이나 구로역까지 가서 환승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거나 더 오래 걸릴 수 있기 때문. 신설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속단하긴 이르지만 일단은 시간 여유가 있거나 쭉 앉아가고 싶은 승객 정도만 장현에서 서울까지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 기존 5604번 차량 6대에 더해 타 노선[4]에서 운행하다 휴차된 차량 8대가 추가 투입되어 인가대수가 무려 14대이다.[5] 이는 시흥시 일반시내버스 중 일평균 승차량 1위 노선인 23번과 동일한 수준. 덕분에 일부 시간대에는 10분 간격으로 운행하여 시흥에선 매우 보기 드문 짧은 배차의 시내버스가 되었지만 본 노선의 운수업체인 시흥교통이 운수종사자 부족과 코로나19를 이유로 광역버스 노선을 제외하면 무단 감차를 일삼는 상황에서 저 인가대수를 다 굴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동사의 530번처럼 순차적으로 감차하며 운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6]



4.1. 노선[편집]


파일:시흥시 CI_White.svg 시흥시 일반버스 5601번
[ 정류소 목록 펼치기 · 접기 ]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
18867
파일:Seoulmetro1_icon.svg
시흥사거리(중)
18010
시흥사거리(중)
18009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중)
18012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중)
18011
시흥유통센터(중)
18014
시흥유통센터(중)
18013
석수역(중)
18776 파일:Seoulmetro1_icon.svg
석수역(중)
09040 파일:Seoulmetro1_icon.svg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중)
09054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중)
09056
석수IC
미정차
석수IC
미정차
광명역IC
미정차
광명역IC
미정차
목감IC출입
미정차
목감IC진입
미정차
율포마을
25627
율포마을
25629
목감사거리.농협
25617
목감사거리.청도아파트
25616
목감도서관.삼호가든아파트
25614
목감도서관.대명아파트
25615
남왕마을
25610
남왕마을
25612
목감동행정복지센터
25668
목감동행정복지센터
25743
-목감시티프라자.한울플러스
25746
퍼스트리움.네이쳐하임
25386
네이쳐하임.퍼스트리움
25212
조남초.조남중
25410
조남초.조남중
25601
새미마을입구
25766
새미마을입구
25735
목감고등학교
25736
목감고등학교
25750
운흥초
25768
운흥초
25769
목감호반5차더숲
25757
목감호반5차더숲
25439
산현초정문
25675
산현초정문
25298
목감호수품애.중흥S클래스
25894
목감호수품애.중흥S클래스
25678
목감푸르지오.중흥S클래스
25581
목감푸르지오.중흥S클래스
25411
목감푸르지오후문
25767
목감푸르지오후문
25778
능골마을
25595
능골마을
25597
물왕삼거리
25731
물왕삼거리
25726
물왕교
25549
물왕교
25550
월미동
25542
월미동
25861
-나분들
25728
나분들교차로
25744
나분들교차로
25500
시흥시청역
25484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시청역
25491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시청.종합일자리센터
25476
시흥시청.종합일자리센터
25474
대동청구아파트
25465
대동청구아파트.장현초교
25464
네이쳐뷰.루벤시아2차
59092
네이쳐뷰.루벤시아2차
59093
진말초등학교.루벤시아1차
25382
진말초등학교.루벤시아1차
25383
장곡어울림센터
59029
장곡어울림센터
59030
시흥경찰서정문
59097
시흥경찰서정문
59096
황고개.더포레마제
25397
황고개약수터
25398
시흥가온중사거리
59033
시흥가온중사거리
59034
장현4단지
59031
장현4단지
59032
시흥능곡역3번출구
59027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능곡역4번출구
59028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능곡역
25497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능곡역2번출구
25498 파일:SeohaeLine_icon.svg
능곡공영차고지
25898ㆍ25899


4.2. 시간표[편집]


평일 시간표(2024년 5월 13일 기준)
토요일/공휴일 시간표(2024년 5월 15일 기준)

  • 기·종점 출발시각은 차량, 기사 사정 및 서울 시내 교통정체로 인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수 있어 경기버스정보 앱이나 카카오, 네이버 앱 등을 통해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 빨간색 글씨로 '목감'이라 표시된 부분은 해당 시간에 목감푸르지오후문 정류소에서 중간 출발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간 버스
시흥시 면허>
안산시 면허>
기타 면허>





[1] 토요일/공휴일은 10대 운행.[2] 가산디지털단지역→금천구청역이 아닌 이유는 이전에 몇 차례 있었던 서울시와의 실무협의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1차 변경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3] 더군다나 해당 노선은 중간에 고속도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사고라도 나면 곧장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4] 16번, 25번, 97번, 99-2번[5] 시흥시 내부 자료에 "일부 운송개시", 인가대수 란에 "20"이란 문구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장기적으로는 무려 20대까지 증차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 해당 노선도 능곡차고지 연장 당시 대량 증차된 덕분에 평시에도 15~25분 간격으로 운행할 만큼 배차가 개선되었으나, 이후 지속적인 감차를 통해 현재는 평일 기준 최대 40분대까지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