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장애/통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우울장애

1. 개요
2. 지역별 우울증 통계
2.1. 우울감 경험률(조율)
3. OECD 국가별 우울증 통계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7년 ~ 2011년 까지 20대 남성의 우울증 환자가 연평균 5.1%씩 증가했다고 한다. 이는 전체 평균인 2.2%에 비하면 2배 이상의 수치이다. 이에 비하여 20대 여성은 -0.6%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다.[1] 연합뉴스는 전체 평균에서는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의 2배라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20대 남성과 70대 이상의 노인층도 우울증이 증가했다고 한다. 연합뉴스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7 ~ 2011년 우울증 진료 통계를 인용하여 4년새 우울증 환자가 47만6천명에서 53만5천명로 12.4%로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전체 여성 환자는 34만6천명이며 전체 남성환자는 15만2천명이다. 전체 환자에서는 여성환자가 남성환자에 비하여 2.3배 많은 수치이다. 다만 '4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에서 20대 남성환자는 377명에서 481명으로 22% 증가하였다. 이것은 70대 여성에 이어 세대별 증가율 4위에 달하는 수치이다. 세대별 증가율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차지한 것은 80세 이상 여성이였다. 80세 이상 여성은 '4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가 2천179명에서 2천990명으로 증가하여 37.2%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위는 80세 이상 남성으로 30.1%를 기록했다.

2. 지역별 우울증 통계[편집]



2.1. 우울감 경험률(조율)[편집]



2.1.1. 특별시광역시[편집]


특별시, 광역시의 우울감 경험률(조율) (단위: %)[2]
연도서울시부산시대구시인천시광주시대전시울산시
2008년8.26.97.48.78.86.95.4
2009년7.96.38.39.97.07.65.3
2010년6.84.95.56.05.06.15.4
2011년7.05.54.25.25.44.23.6


2.1.2. 9개제주도[편집]


9개제주도의 우울감 경험률(조율) (단위: %)[3]
연도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도
2008년9.29.38.58.26.07.99.37.47.7
2009년8.29.36.06.95.55.77.56.69.9
2010년5.86.54.04.75.34.15.74.06.4
2011년6.24.74.14.73.33.35.04.16.7


3. OECD 국가별 우울증 통계[편집]


파일:우울증통계.jpg
  • 2020년 기준 한국의 우울증 유병률은 36.8%로, OECD 국가 중 우울증 유병률 1위이며 대략 2.5명에 1명 꼴로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우울증 치료율은 OECD 국가중 최저치를 기록하여 세계의 신경과학계에서 이를 심각하게 전망하고 있으며 비판의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

4.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3:27:54에 나무위키 우울장애/통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