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명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명 전 이름이 '조현명'인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조현우(야구선수) 문서
조현우(야구선수)번 문단을
조현우(야구선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 영의정

영조 ~ 정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31px; color: #ffffff"
[ 펼치기 · 접기 ]


제156대

최규서

제157대

이광좌

제158대

정호

제159대

이광좌

제160대

홍치중

제161대

심수현

제162대

이의현

제163대

김흥경

제164대

이광좌

제165대

김재로

제166대

조현명

제167대

김재로

제168대

이종성

제169대

김재로

제170대

이천보

제171대

유척기

제172대

이천보

제173대

김상로

제174대

이천보

제175대

홍봉한

제176대

신만

제177대

홍봉한

제178대

윤동도

제179대

서지수

제180대

김치인

제181대

홍봉한

제182대

김치인

제183대

김상복

제184대

신회

제185대

김상복

제186대

한익모

제187대

김상복

제188대

신회

제189대

한익모

제190대

김상복

제191대

한익모

제192대

김상복

제193대

한익모

제194대

신회

제195대

한익모

제196대

김상철

제197대

김양택



제197대

김양택

제198대

김상철

제199대

서명선

제200대

김상철

제201대

서명선

제202대

정존겸

제203대

서명선

제204대

정존겸

제205대

김치인

제206대

김익

제207대

이재협

제208대

김익

제209대

채제공

제210대

홍낙성

제211대

이병모





조현명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영조 ~ 정조


[ 좌의정 ]


제225대

이광좌

제226대

류봉휘

제227대

조태억

제228대

정호

제229대

민진원

제230대

이관명

제231·232대

홍치중

제233대

조태억

제234대

홍치중

제235대

이태좌

제236대

이집

제237대

조문명

제238·239대

서명균

제240·241대

김재로

제242대

송인명

제243대

정석오

제244대

조현명

제245대

김약로

제246대

조현명

제247대

이종성

제248·249대

이천보

제250대

김상로

제251대

신만

제252대

김상로

제253대

신만

제254대

이후

제255대

홍봉한

제256대

정휘량

제257대

홍봉한

제258·259대

윤동도

제260대

김상복

제261대

김치인

제262대

윤동도

제263대

김치인

제264대

한익모

제265대

김양택

제266대

한익모

제267대

김양택

제268대

김상복

제269대

한익모

제270대

신회

제271대

이은

제272대

김상철

제273대

이은

제274대

김상철

제275대

이은

제276대

김상철

제277대

이은

제278대

이사관

제279대

홍인한


제280대

이사관

제281대

이은

제282대

신회



제283대

김상철

제284대

정존겸

제285대

서명선

제286대

홍낙순

제287대

이은

제288대

서명선

제289대

홍낙성

제290대

이복원

제291대

홍낙성

제292대

이복원

제293대

홍낙성

제294대

이복원

제295대

이재협

제296대

이성원

제297대

이재협

제298대

채제공

제299대

김종수

제300·301대

김이소

제302대

유언호

제303대

채제공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258대

류봉휘

제259대

조태억

제260대

정호

제261대

민진원

제262대

이관명

제263대

홍치중

제264대

조도빈

제265대

이의현

제266대

홍치중

제267대

심수현

제268대

오명항

제269대

이태좌

제270대

이집

제271대

조문명

제272대

서명균

제273대

김흥경

제274대

송인명

제275대

유척기

제276대

송인명

제277·278대

조현명

제279대

정석오

제280대

민응수

제281대

김약로

제282대

정우량

제283대

이천보

제284대

김상로

제285대

조재호

제286대

신만

제287대

이후

제288대

신만

제289대

이후

제290대

민백상

제291대

홍봉한

제292대

정휘량

제293대

윤동도

제294대

김상복

제295대

김치인

제296대

서지수

제297대

김치인

제298대

김양택

제299대

김상철

제300대

이창의

제301대

김상철

제302대

이은

제303대

신회

제304대

이사관

제305대

원인손

제306대

이사관

제307대

원인손

제308대

이사관

제309대

원인손

제310대

이사관

제311대

홍인한

제312대

이사관

제313대

이은



제314대

정존겸

제315대

서명선

제316대

정홍순

제317대

홍낙순

제318·319대

이휘지

제320대

이복원

제321대

김익

제322대

이복원

제323·324대

김익

제325대

조경

제326대

유언호

제327대

이성원

제328대

채제공

제329·330대

김종수

제331대

박종악

제332대

김이소

제333대

김희

제334대

이병모

제335대

채제공

제336대

윤시동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분무공신
[ 펼치기 · 접기 ]
1728년 4월 26일 영조에 의해 책록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 (1등)
오명항
수충갈성결기분무공신 (2등)
김중만
박문수
박찬선
박필건
이만빈
이 삼
조문명

수충갈성분무공신 (3등)
권희학
김 협
박동형
이보혁
이수량
이익필
조현명










조선 영의정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충효공(忠孝公)
조현명
趙顯命

출생
1691년 11월 ~ 12월
(음력 숙종 17년 10월)[1]
사망
1752년 6월 8일 (향년 60세)
(음력 영조 28년 4월 26일)
봉호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시호
충효(忠孝)
본관
풍양 조씨

치회(稚晦) 또는 시회(時晦)

귀록(歸鹿), 녹옹(鹿翁)
부모
부친 - 조인수(趙仁壽)
모친 - 광산 김씨 김만균(金萬均, 1631 ~ ?)의 딸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도사 조인수(趙仁壽)이며, 어머니는 김장생의 증손자인 김만균[2]의 딸이다. 집안의 당색은 서인이었고, 뒤에는 소론에 속했다. 또한 그의 외가는 전통적인 노론 가문으로서 그는 노론과도 일정한 연계를 맺을 수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박세채의 문인이었으며, 그도 박세채의 파붕당설의 영향을 받아 탕평을 지향하는 정치적 입장을 지니게 되었다.


2. 생애[편집]


1713년(숙종 39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9년 증광 문과에 급제, 검열을 지냈다. 1721년(경종 1년) 연잉군(뒤의 영조)이 왕세제로 책봉되자, 이를 둘러싸고 노론과 소론이 격심하게 대립한 신임사화가 일어났다. 이때 그는 겸설서로서 송인명(宋寅明)과 함께 세제보호론을 주창, 소론의 핍박으로 곤경에 처해 있던 왕세제 보호에 힘썼다. 영조 즉위 후 용강현령·지평 등을 지냈으며 이때 탕평을 주장하는 만언소를 올렸다. 1728년(영조 4년) 이인좌의 난 당시에 오명항을 따라 종사했으며 오명항이 군율을 어긴 자들을 용서해주자 "군은 위엄으로 엄하게 다스려야 하는 것이 아닙니까?"라고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3]

1740년 이광좌 사후에 송인명과 더불어 소론의 영수였다. 송인명이 삼수의 옥을 임인국안으로 후퇴시키는 타협안을 제시하자 말도 안된다고 항의하는 것을 보아 송인명보단 강경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조현명이 그렇게 항의하는 논리가 탄탄했기에[4] 삼수역옥이 완벽하게 복권 되는 건 늦출 수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영조는 조현명의 동의를 얻기 위해 1741년(영조 17년) 9월에야 김용택 등 5인을 역안에 두는 걸 전제로 삼수역안을 불사를 수 있었다.[5]

1742년 양역사정청을 다시 설치하게 했고, 문란한 양역 행정의 체계화를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군액 및 군역 부담자의 실상을 파악해 이를 1748년〈양역실총 良役實總〉으로 간행하게 했다.

1750년 영의정에 올라 균역법의 재정을 총괄하고 감필에 따른 재정 손실을 보충하는 대책을 마련했다. "민폐의 근본이 양역에 있다" 하여 군문·군액의 감축, 양역재정의 통일, 어염세의 국고 환수, 결포제 실시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렇게 군액을 줄이고, 진보를 없애며, 재용을 절약한다는 안을 계속 추진했으나 왕과 여러 신하들의 반대로 채택되지 못했다. 결국 조세 감소를 메꾸는 것이 좌절되자, 감필에 따른 재정 손실의 책임을 묻는 대사간 민백상의 탄핵을 받아 영돈녕부사로 물러났다.

1751년 좌의정에 전임, 균역청 당상으로서 박문수와 함께 그 구체적 절목을 결정하여 양역의 합리적 개혁을 보게 했다. 그러나 곧 병을 이유로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하여 부친의 묘를 지키다가 1751년 조카딸인 현빈 조씨가 죽고 난 다음 해(1752년) 죽었다. 그의 사망 후 중량감 있는 인사를 배출하지 못한 소론은 노론의 공세로 정계에서 서서히 밀려났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07:35에 나무위키 조현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전에는 1690년생으로 되어 있으나 신도비에 따르면 숙종 신미(1691)년생으로, 임신(1752)년 사망 당시 나이가 세는나이로 62세[壽六十二\]라고 하므로, 문집인 귀록집(歸鹿集)의 서지정보에 따라 1691년(숙종 17) 출생으로 서술함.[2] 서필원의 공의, 사의 논쟁을 유발한 문신으로 이일상의 사위이다. 이일상은 연안 이씨로 노론계이다.[3] 그러자 오명항은 "그 말이 맞으나 전란이 없었는지가 어언 100년이라 군율이 해이해진 것은 당연한데 무작정 가혹하게 몰아붙히면 병사들은 이해하지 못하고 원망만 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4] "자신도 처음엔 무고로 의심했으나 체결한 정상이 낭자하며, 숙종 조의 일로 모역의 정절을 알 수 있다(= 경종이 세자로 있는데 연잉군을 앞세운 건 모반이 맞다)"[5] 물론 영조는 "경자년(경종 즉위년) 이전에라도 삼종의 혈맥(= 영조)을 위한 것이라면 충이라고 여긴다"라고 내심 불쾌해 했다. 그러나 김용택의 신원은 영조 말년인 1776년(영조 42년)에야 이뤄졌다. 조현명의 결사적인 저항이 노론의 소론 토역 명분을 25년이나 늦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