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바메(열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유사한 신칸센 등급 에 대한 내용은 츠바사(신칸센) 문서
츠바사(신칸센)번 문단을
츠바사(신칸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つばめ
Tsubame / 츠바메
제원
운행 국가일본
운행 지역후쿠오카현, 사가현, 구마모토현, 가고시마현(, 야마구치현)
열차 종류신칸센 특급열차
현황운행중
운행개시일2004년 3월 13일 (신야츠시로 이남)
2011년 3월 12일 (신야츠시로 이북)
전신특급 츠바메 (코쿠라-가고시마츄오)
특급 아리아케 (하카타-구마모토)
운영자파일:JR 큐슈 로고.svg
JR 큐슈
노선
기점하카타역(코쿠라역/신시모노세키역)
종점가고시마츄오역
운행거리256.8km
경유노선큐슈 신칸센, 산요 신칸센
차내 서비스
클래스그린샤, 보통차
장애인 배려7호차
좌석그린샤 (6호차)
지정석 (4-8호차)
자유석 (1-3호차)
기술
차량800계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센다이 신칸센 차량센터)
N700계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궤간1435mm
전력 공급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260㎞/h(코쿠라 ~ 가고시마츄오)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04년 3월 큐슈 신칸센 부분 개통으로 신설된 등급으로, 하카타-니시카고시마 간 특급 열차 츠바메를 계승한 것이다. 2011년 3월 큐슈 신칸센 전구간 개통 후에는 큐슈 신칸센 내에서 각역정차로 운행중이며,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코다마에 해당한다.

차종은 주로 800계가 투입되며, 일부 열차가 N700계로 운행한다. 운행 구간은 하카타-구마모토 간이 가장 많으며, 새벽·밤 시간대에는 하카타-가고시마츄오, 구마모토-가고시마츄오 간 열차도 운행한다. 산요 신칸센과 직통운전[1]하는 편성이 생겼다 사라졌다를 반복하고 있다. 2023년 3월 기준 시각표로는 302호(구마모토발 코쿠라행)[2]와 321호(신시모노세키발 구마모토행)[3] 각각 1편씩만 운행하고 있다.

큐슈 신칸센 전구간 개통 전에는 신야츠시로-가고시마츄오 간을 운행했다. 운행 패턴은 크게 신야츠시로, 센다이, 가고시마츄오에만 정차하는 속달형 열차와 각역정차 열차의 2가지가 있었다.

열번은 300번대를 배정받으며, 300호부터 341호까지 일 21회(왕복 42회) 운행한다.


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7:11:14에 나무위키 츠바메(열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상행의 경우 칸몬 터널을 통과하지 않고 코쿠라역까지만 운행한다. 신시모노세키역으로 가는 편성도 있었으나 2012년~2013년으로 1년만에 폐지. 하행의 경우 혼슈의 신시모노세키에서 출발하는 편성이 2023년 부활하였다.[2] N700계로 운행되며 코쿠라에 도착하고 코다마 783호로 하카타에 돌아간다.[3] N700계로 운행되고 하카타미나미발 신시모노세키행 코다마 772호의 복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