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리그

역대 K리그
1995 시즌1996 시즌1997 시즌


1. 시즌 개관
2. 외국인 선수
3. 드래프트
4. 리그 및 컵 대회 방식
4.1. 아디다스 컵
5. 클럽 순위
6. 다른 시즌 보기



1. 시즌 개관[편집]


96년 시즌은 아디다스컵과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로 구성되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창단 및 참가로 인해 리그가 9개팀인 홀수로 구성되었고 리그 스폰서는 삼성그룹의 스포츠 브랜드인 라피도가 지원했다. 월드컵 개최결정을 앞두고 축구열기를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는 판단 아래 프로축구연맹은 완전지역연고제를 시행하고 클럽명을 지역+기업으로 일원화함으로써 지역연고 정착을 노렸다. 또한 각 언론사에 클럽명을 표기할때 지역명을 우선으로 표기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사실상 프로화의 기틀이 이 시기에 확립된 것으로, 이 시기에 비로소 유럽 클럽의 핵심이라 할수 있는 '연고지+스폰서+팬'의 개념이 제도화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외국인 선수[편집]


  • 신생 구단 창단과 더불어 보유 외국인 수도 최대 5명으로 늘어났다. 거기에 외국인 골키퍼 금지 룰 1단계가 도입되어 외국인 키퍼는 한 시즌 전체 경기의 2/3까지만 뛸 수 있었다.
외국인선수 1외국인선수 2외국인선수 3외국인선수 4외국인선수 5
부천 유공파일:헝가리 국기.svg 조셉파일:러시아 국기.svg 샤샤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마[1]
파일:몰도바 국기.svg 보리스
포항 아톰즈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라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드라간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시모파일:자이르 국기.svg 마말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코놀
부산 대우 로얄즈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아미르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일리치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샤샤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마니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뚜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드라젠[2]
안양 LG 치타스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캄포스파일:이라크 국기.svg 자심파일:이라크 국기.svg 사디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스카첸코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사브첸코
울산 현대 호랑이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지마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마니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조란[3]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브랑코[4]-
천안 일화 천마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사리체프파일:러시아 국기.svg 겐나디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란코비치[5]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논코비치[6]-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발레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아그보[7]
전북 현대 다이노스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비탈리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잔코파일:카메룬 국기.svg 발랑가-
전남 드래곤즈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안드레이파일:러시아 국기.svg 슈마로프파일:러시아 국기.svg 구즈노프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페트로[8]-
파일:기니 국기.svg 살람쇼[9]
수원 삼성 블루윙즈파일:덴마크 국기.svg 헨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바데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데니스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아디-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알라올

3. 드래프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리그/드래프트/1996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리그 및 컵 대회 방식[편집]


아디다스 컵(컵대회)과 라피도컵(정규리그)으로 나뉘어 시즌이 개최되었다. 정규리그는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전후기 1위가 챔피언 결정전을 치르는 방식이었다.


4.1. 아디다스 컵[편집]


아디다스 컵은 1라운드 풀리그로 펼쳐졌다.



5. 클럽 순위[편집]


96 프로축구대회 전기리그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1996 시즌 컵 대회[10]
ACCFA컵
1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울산 현대 호랑이1611323217+16364강
2파일:포항제철 아톰즈 엠블럼 (1985~1995).png포항 아톰즈1610512412+1235우승우승
3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1996~1997).svg수원 삼성 블루윙즈169342818+1030준우승
4파일:유공축구단 엠블럼.png부천 유공165562829-1204강
5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전북 다이노스165471829-11198강
6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1995~2001).png전남 드래곤즈165382125-4188강
7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부산 대우 로얄즈164392328-5158강
8파일:LG 치타스 엠블럼 (1991~1996).png안양 LG 치타스164392128-71516강
9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천안 일화 천마162591726-910준우승8강

  •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을 획득한다.
  • K리그 1996 시즌 챔피언 결정전 진출 또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시즌 진출
  • 아시안 컵 위너스컵 1997-98 시즌 진출
  • 천안 일화 천마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 자격으로 아시안 슈퍼컵에 출전해 우승하였다.
  • 울산 현대 호랑이는 리그컵 우승팀 자격으로 아시안 컵 위너스컵 대회에 출전해 3위로 대회를 마감하였다.
  • 부천 유공은 리그컵(아디다스컵) 5회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 포항 아톰즈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 자격으로 차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대회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96 프로축구대회 후기리그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1996 시즌 컵 대회[11]
ACCFA컵
1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1996~1997).svg수원 삼성 블루윙즈169612915+1433준우승
2파일:유공축구단 엠블럼.png부천 유공168442722+5284강
3파일:포항제철 아톰즈 엠블럼 (1985~1995).png포항 아톰즈167543026+426우승우승
4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부산 대우 로얄즈165652223-1218강
5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천안 일화 천마166373537-221준우승8강
6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1995~2001).png전남 드래곤즈164662224-2188강
7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전북 다이노스165382024-4188강
8파일:LG 치타스 엠블럼 (1991~1996).png안양 LG 치타스164572328-51716강
9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울산 현대 호랑이1650112837-9154강

  •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을 획득한다.
  • K리그 1996 시즌 챔피언 결정전 진출 또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시즌 진출
  • 천안 일화 천마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 자격으로 아시안 슈퍼컵에 출전해 우승하였다.
  • 울산 현대 호랑이는 리그컵 우승팀 자격으로 아시안 컵 위너스컵 대회에 출전해 3위로 대회를 마감하였다.
  • 부천 유공은 리그컵(아디다스컵) 5회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 포항 아톰즈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 자격으로 차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대회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96 프로축구대회 챔피언 결정전
1차전, 11월 9일(토), 울산종합운동장
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울산 현대 호랑이01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1996~1997).svg수원 삼성 블루윙즈
2차전, 11월 16일(일), 수원종합운동장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1996~1997).svg수원 삼성 블루윙즈13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울산 현대 호랑이

  • K리그 1996 시즌 우승팀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시즌 진출


챔피언 결정전이 TV에 생중계되었고, 경기 특성상 워낙 언론에 큰 주목을 받다보니 선수들도 플레이가 거칠어졌다. 이 경기 때문에 지나치게 경기가 과열된다는 이유로 다음 시즌에 챔피언 결정전은 폐지되고 단일리그로 환원되었다.

1996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우승
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
울산 현대 호랑이
첫 번째 우승


6. 다른 시즌 보기[편집]





[1] 풀 네임 드미트리 카르자코프[2] 풀 네임 드라젠 포두나바치[3] 풀 네임 조란 주리시치[4] 풀 네임 브랑코 보조비치[5] 풀 네임 류비자 란코비치[6] 풀 네임 네나드 논코비치[7] 풀 네임 알렉스 아그보[8] 풀 네임 사샤 페트로비치[9] 풀 네임 압둘 살람 소우[10] 볼드체는 우승팀이다.[11] 볼드체는 우승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6 15:58:41에 나무위키 1996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