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ged in Fire

덤프버전 :

파일:Forged in Fire 001.jpg

1. 개요
2. 기본 포맷 특징
2.1. 1 라운드
2.2. 2 라운드
2.3. 결승전
3. 심사 기준
4. 주요 등장인물
4.1. 사회자
4.2. 심사위원
5. 기타
6. 에피소드
6.1. 시즌 1
6.2. 시즌 2
6.3. 시즌 3
6.4. 시즌 4
6.5. 시즌 5
6.6. 시즌 6
6.7. 시즌 7
6.8. 시즌 8
7. 같이보기


1. 개요[편집]


미국다큐멘터리 전문 방송국인 히스토리 채널에서 방영중인 버라이어티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 2015년 6월 22일 방영을 시작했다. 오디션 형식을 띄는 프로그램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정식으로 수입해서 방영하고 있다. 히스토리 & Genie TV & B tv에선 최강의 검:더 마스터라는 이름으로 방영했다.

미국 전국에서 지원한 4명[1]의 도검 장인들이 단조 기술과 역사적인 무기 제작 능력을 겨루는 대회 프로그램이다.[2] 우승 상금은 기본 1만 달러(약 1,200만원)이다.


2. 기본 포맷 특징[편집]


한 회마다 4명의 도전자가 참가하며 총 3라운드로 진행한다. 각 라운드마다 결점이 많거나 기준에 미달한 1명씩 탈락시키고 최종 라운드인 3라운드 결승전에서는 제시된 역사적 무기를 잘 제작한 사람이 우승한다. 탈락자는 자신이 만든 검을 반납하고 귀가하며 최종 라운드에서 우승한 무기는 방송국 세트장에 전시용으로 보관된다.


2.1. 1 라운드[편집]


주최측이 제공한 장소에서 실시하며 검의 날을 만들어야 한다. 도검에 쓸 강재와 규격, 단조 방식은 주최측에서 임의로 정하는데 일반적인 철괴가 나오기도 하지만 기상천외한 게 나오기도 한다. 스프링강이나 공구는 예사며 폐차된 자동차나 고물상, 착암기에서 철을 빼내서 사용하게 한 적도 있다. 심지어 재료를 랜덤으로 선택하게 하면 양반이고, 지난 시즌에서 2라운드에 진출하지 못하고 탈락한 검이 재료로 나오기도 했다.[3]

정해주는 규격과 단조 방식도 관건이다. 제작 시 규격을 헷갈리거나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요소를 따르지 않아 탈락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생한다. 전자는 슴베를 포함한 칼몸의 길이와 포함하지 않은 날의 길이를 헷갈리는 경우 등이 있으며, 후자는 다마스쿠스 제작 시 재료를 적게 쓰거나 톱니, 무늬가 필요치보다 적어서 탈락하는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단조 방식의 경우 대표적으로 철괴를 주면서 그걸로 다마스쿠스 강으로 변환시킨 뒤 제작하라는 과제[4]가 있으며 그냥 순철괴 등을 줄 경우 검에 가드나 톱니를 반드시 장착하거나 특정 그라인드 방식을 사용해서 단조하라는 조건을 달기도 한다. 그냥 쿠크리나 카람빗처럼 지정된 칼 종류를 제작하라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심사위원들 중 그 칼의 전문가가 있어 평가가 무척 까다롭게 내려진다.

보통 10분 동안 검을 디자인한 이후 3시간 동안 단조 시간이 주어지며, 여기에서 검을 가장 못 만든 1명이 귀가한다. 생각보다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때 완성하지 못하는 참가자들도 심심찮게 나타난다. 또한 프로판 용광로의 뜨거운 열기로 인해 심각한 경우 부상과 열사병으로 시간을 잡아먹거나 기권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5] 물론 무작정 시간을 3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과제 난이도가 높을 경우 1~2시간을 추가로 부여해서 4~5시간으로 제한시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석탄 용광로를 사용하거나, 폐차 자재로 날을 만드는 과제 등에서는 별도의 디자인 시간이 없이 4시간이 주어졌었다.


2.2. 2 라운드[편집]


1라운드와 마찬가지로 주최측이 제공한 장소에서 실시하며 1라운드를 통과한 3명은 자신이 만든 칼날에 자루를 붙이는 작업을 한다. 일반적으로 3시간이 주어지며, 이 2라운드가 매우 중요한데 1라운드에서 실수한 부분을 2라운드에서 만회해서 쓸만한 검으로 환골탈태시키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생한다. 단, 모자이크 핀을 제작하거나 거푸집을 사용한 황동 가드 주조 등 복잡한 손잡이 조건이 주어지는 경우 역시 4시간 이상의 시간이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

검을 제출한 이후 심사위원들이 칼을 휘둘러서 다양한 평가를 한 후 판정을 한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검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하거나 상대적으로 완성도가 낮은 무기를 만든 1명이 귀가한다.


2.3. 결승전[편집]


최종 2인만이 진출한 결승전은 주최측에서 제시한 역사적 무기를 만들면 된다. 도검, 창, 도끼, 둔기 등 무기이기만 하면 뭐든지 가능하기에 뭐가 나올지는 과제가 공개되기 전까지 전혀 알 수 없으며, 심지어는 스파이크가 붙은 방패도 나온 전적이 있다.[6] 그리고 만들어온 무기는 실제로 역사에 나온 대로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즉 기념품이 아니라 진짜를 만들어야 한다.

이 때 사회자는 결승 진출자들에게 정확한 규격과 ~는 꼭 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주는데 사회자가 달아준 조건은 무조건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파이크 방패에는 지름 58 ~ 63cm 범위 안에 들어가야 하며 스파이크는 12~17cm 범위 안에 들어야 하며 오목한 부분은 5.7 ~ 7.6cm 범위 안에 들어가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줬다. 또한 크핑가의 경우 곁날 + 중심날 2개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상단 부분의 날은 양날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당연히 이런 식으로 설명한 조건을 부합하지 못할 경우 탈락하게 된다.

진행 방식은 1라운드나 2라운드와는 달리 주최측에서 제공한 장소에서 실시하지 않으며 각자 귀가해서 자신의 작업장에서 실시한다. 이 '장소'라는 게 알래스카 주부터 하와이를 포함한 플로리다 주까지 정말 미국 전국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도가 엄청나게 높은데다[7] 작업 시간은 1라운드나 2라운드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이 주는데 5일을 준다. 퀘스트를 받고 자기 집으로 귀가해서 5일 동안 과제를 제작한 뒤 5일 후 스튜디오로 복귀하면 되는데, 당연히 재료는 참가자 본인 마음대로 구해다 제작하면 된다.

5일이라는 시간이 널널하므로 참가자들이 좀 더 튼튼한 검을 만들어올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대부분이 "역사적으로 유명한(iconic in history)" 무기로서 참가자들이 거의 만들어 본 적이 없는 것들이다. 더군다나 실제로 살상과 절단에 활용할 수 있어야만 하다 보니 제작과정에서 검에 생긴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간을 다 잡아먹거나, 혹은 베테랑임에도 불구하고 익숙치않은 방법으로 무기를 제작하다가 시행착오를 겪어서 겨우 무기를 완성하는 경우들이 있다.

2라운드와 마찬가지로 무기를 휘둘러서 다양한 평가를 한다. 유명한 테스트로는 통돼지 사체나 탄도학 실험용 인체더미를 무기로 썰어버리는 살상능력 테스트가 있으며, 강도 실험 중에는 실제로 칼날에 총을 쏴서 총알 가르기를 시전하기도 한다. 혹독한 테스트를 거친 뒤,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면 심사위원들이 상금을 받을 우승자를 결정한다.


3. 심사 기준[편집]


  • 검이 부러지면 대부분 탈락이다. 단, 2라운드에서는 부러지는 칼이 여럿일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좀 더 오래 버틴 칼날이 생존한다. 물론 부러진 검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테스트는 거기서 중단하고 동등한 시험 진행 결과에 따라 탈락자를 결정하는 것.
  • 검이 부러진 것 다음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은 칼날이 휘거나 칼날의 이가 나가고 말리는 등 변형이 생기는 것.[8] 아무리 사용해도 멀쩡한 칼이 좋은 점수를 받는다.
  •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내구도이며 그 다음이 절삭력과 사용성이다.[9] 사용성의 경우 실제 사용했던 방식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로, 크루세이더 스워드 편에서는 검 날만 150cm에 달하는 굉장히 큰 검이라서 보병이 아닌 기병으로 평가했다. 따라서 을 탄 채로 돌격해서 검을 평가했다. 검의 무게도 평가한다. 검의 무게는 똑같이 만들었을 때 기준으로 가벼운 쪽이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10]
  • 추가적으로 그립감도 평가하는데 좋은 착용감 > 나쁜 착용감 > 통증 > 부상 순서대로 평가하는데 칼을 쥐었을 때 손을 다치게 만드는 칼[11]은 이 부분에서 0점을 받는다.


4. 주요 등장인물[편집]



4.1. 사회자[편집]


  • 윌 윌리스 (Wil Willis)

시즌 1~7 사회자. 미 육군 제75레인저연대 출신이자 공수부대 강하 훈련 전문가로 활동했던 방송 호스트로 밀리터리 채널에서 군 및 생존술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명확한 발성으로 매 라운드마다 제한시간을 목청껏 외쳐대기 때문에 작중에 성대모사하는 사람[12]도 등장하는 등 인간 알람시계 밈 취급으로 유명.[13] 사회자이긴 하지만 그도 군 출신으로 여러 무기를 훈련했기 때문에 심사에서 실용성을 짚어 질문하는 방식으로 판정에 참여하기도 한다. 외모는 키 180cm에 얼굴이 굉장한 미남이며 장발인데 풀어헤치고 나오거나 묶어서 올백머리처럼 하고 나오기도 한다.

  • 그레이디 파월 (Grady Powell)

시즌 8 이후 사회자.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그린베레) 출신의 밀리터리 방송 호스트로 디스커버리 채널Dual Survival에서 조셉 테타이가 하차한 이후 2개의 시즌에서 그의 포지션으로 출연했던 사람이며,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에서도 여러 방송에 출연했었다. 7 시즌 이후에 개편을 이유로 석연찮게 윌 윌리스가 강판되고[14] 뒤를 이은지라 제작진을 비판하는 여론이 나오기도 했으나 현재는 나름의 진행 방식으로 자리잡은 편. 그러나 윌만큼 시간 알리미 포지션을 찰지게 수행하지는 못하여 아쉬움을 사고 있다.


4.2. 심사위원[편집]


  • J. 닐슨 (J. Neilson)

미국 도검장 협회(American Bladesmith Society) 소속의 도검 명장으로, 20년 이상 칼(Knife)과 검(Sword)을 제작해 온 대장장이이다. 참가자들의 단조 과정의 해설과 평가를 주로 담당하며, 2라운드에서 칼날의 취약점과 강도를 시험하는 파괴력 시험을 전담하기도 한다. 힘주어 칼날을 내리치거나 꽂아넣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을 위험이 크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평가도 중요하게 여기며 실제로도 칼날이 부서져 튕겨나가는 위험한 장면을 가장 많이 겪은 당사자이기도 하다. 부상을 입어 수술을 해야 했던 시즌 3과 4의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대체 심사위원이 등장하기도 했다.

  • 제이슨 나이트 (Jason Knight)

시즌 3–4의 심사위원. 닐슨과 함께 ABS에 소속된 저명한 도검 명장이며 특히 쿠크리 칼 제작의 전문가. 닐슨이 부상으로 잠시 하차했기 때문에 강도 시험 담당으로 대신 활약했으며, 닐슨과 달리 활발한 개드립으로 예능감을 뽐내기도 했다. 닐슨의 복귀 이후 본업으로 돌아갔으나 '역대 심사위원들이 뽑은 기억에 남은 참가자 재도전' 에피소드[15]에서는 닐슨과 함께 출연해 4명의 심사위원들이 함께 나오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 벤 애벗 (Ben Abbott)

최초로 두번 출연해[16] 우승한 1회 왕중왕전 챔피언 출신으로, 시즌 4의 후반 에피소드에서 닐슨의 휴식 기간 중 심사위원으로 데뷔했다. 이후 준레귤러 심사위원으로 시즌 5와 6에서도 출연했으며 '심사위원을 이겨라(Beat the Judges)'특집에서는 도전자로 역할이 바뀐 한명의 심사위원의 빈 자리를 메꾸는 등 활약하고 있다. 최근 심사위원을 이겨라 특집에서 총 8-9전을 치뤘는데 별 다른 어려움없이 승승장구 무패행진을 기록했다.

  • 데이비드 베이커 (David Baker)

희귀 무기 재현 전문가이자 도검 명장으로 시즌 1부터 출연한 레귤러. 할리우드 무기 소품의 고증 전문가로서도 활동 중이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사에서 만든 무기들을 재현해내는 무기 역사 분야의 권위자이다. 처음 할리우드에는 배우를 직업으로 삼아 연기를 하다가, 무대 소품 제작과 연이 닿아 전업으로 일을 시작한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어 스튜디오 내에서 독보적 패션 센스를 자랑한다.
역사적 무기를 제작하는 최종 라운드에서 역사적 고증과 미학적 완성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간혹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독특한 강도 시험용 기계[17]를 들고 나와 참가자들을 숨막히게 만드는 역할이다. 전문가답게 무기의 사용법에 맞게 사용하기 위해 어느 정도 무술 실력도 지니고 있어 완력을 자랑하는 노익장 장면도 많은 편.
전당포 사나이들에서도 콜라보 개념으로 등장한 적 있다. 해당 작품에서 감정의뢰를 받은 물건은 토막 크리스 단창(Tomac Chris Karis Spear)이였다.

  • 더그 마카이다 (Doug Marcaida)

필리핀계 미국인으로 칼리 무술가이자 냉병기류 전문가. 직접 무기를 디자인하기도 하며 특히 카람빗 칼과 같은 소형 검의 전문가이다. 물론 장창류나 장검과 같은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는 데에도 능숙하며 이를 통해 무기의 무게 균형이나 절삭력과 같은 실전 사용성 측면을 위주로 평가한다. 특히 이 프로그램의 최대 명장면인 살상 능력 검증 테스트(Kill Test)를 전담하다시피 하고 있으며 여기서 그의 명대사인 "이 무기는 죽여줍니다(it will KEAL)[18] "가 나온다. 시즌 1부터 레귤러로 도중에 부상을 당해 팔을 쓰지 못했던 시기가 있는데, 닐슨과는 달리 대신할 사람이 마땅히 없어 더그가 운영하는 단체의 동료나 제자 혹은 동생[19]이 무기를 대신 테스트하고 이를 더그가 종합해 평가하는 등[20] 사실상 없으면 안되는 프로그램의 마스코트가 되어버렸다. 한국에서도 히스토리 채널 유튜브로 인기를 얻어 잇윌낄좌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이를 본사와 더그 본인도 아는지 한국 유튜브 시청자를 위한 감사 인사에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5. 기타[편집]


  • 패자부활전의 경우 이미 한 번 탈락했던 사람이 나오기 때문에 이를 갈고 노력해서 자신이 탈락했을 당시와는 비교가 안되는 고품질의 검을 뽑아내기도 한다.
  • 왕중왕전은 우승자들끼리의 대결이기 때문에 상당히 고품질 검이 자주 나온다.
  • 철저한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우승이라고 해서 다 같은 우승은 아니다. 물론 본인이 잘 해서 우승하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 본인이 못 했음에도 상대가 그보다 더욱 못 한 덕분에 어쩔 수 없이 우승 당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 히스토리코리아 채널 유튜브 자료 중 군데군데 결승경연 자료(내지는 해당회차 전체 경연자료)가 업로드 되지 않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 공지 같은 것도 없이 생략해버렸기 때문에 해당 에피소드를 유튜브에 자막으로 보고 싶었던 유저들은, 이 때문에 해당회차 전후 영상들의 댓글들에 "왜 이거 안 올라옴?" 하는 반응과 함께 혼선이 벌어지기까지 하고 있다.
  • 기존 히스토리코리아 채널에서는 1~3라운드를 세 편으로 나눠 각각 업로드 하고 있었는데, 최근 편집 스타일이 많이 달라져 편집자가 바뀐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기존 세 편 짜리 분량이 짧은 선공개 예고편으로 바뀐것으로 보인데다 예고편 선공 개 후 TV 본방 시청을 유도 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당연히 시청자 여론은 좋지 않았으며 많은 질타를 받은 탓인지 일주일만에 기존의 편집 방식으로 돌아왔다.
  • 시즌이 길어지는 만큼 한국계 미국인 우승자도 배출하고 있다. 시즌 7 에피소드 14에서는 한국계 미국인 보이드 리터(Boyd Ritter)가 우승했으며[21], 보이드 리터는 한국 헌정 에피소드[22]로 제작된 시즌 8 에피소드 23의 1~2라운드 과제 환도의 실물 견본과 무기 해설 나레이션을 맡았다. 시즌 8 에피소드 27에서는 역시 한국계인 조슈아 킴(Joshua Kim)이 22세의 나이로 우승자가 되었다.[23]
  • 최종 라운드에서 탈락 플래그가 있는데 첫번째는 무기의 무게가 쓸데없이 무거운 경우[24], 두번째는 다마스쿠스 강을 이용해 제작할 때[25]다.
  • 또 하나의 변수가 더위인데,다른 대장간과 달리 넓긴 하지만 패쇄된 스튜디오에서 진행하고 4명이서 동시에 칼을 만들기 때문에 스튜디오 안은 굉장히 더운편, 그래서 열사병에 걸려서 중도 포기하는 인원이 있다. 물론 이상황에 대비하여 항시 응급요원이 배치되어있다.


6. 에피소드[편집]


미국 방영판 기준을 따르며 한국판 방영순서나 히스토리코리아 유튜브에 업로드되는 순서는 일치하지 않는다.
단 표에 달린 라운드별 영상 링크는 히스토리코리아 유튜브 계정의 업로드본을 따른다.[26]


6.1. 시즌 1[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카타나맷 파킨슨
(Matthew Parkinson)
1R / 2R / 결승
2회차크람크리스 패럴
(Chris Farrell)
1R / 2R / 결승
3회바이킹 도끼류 림
(Ryu Lim)[27]
1R / 2R / 결승
4회카타르데이비드 골드버그
(David Goldberg)
전체영상(ENG)전체 [영상누락]
5회크루세이더 소드피터 버트
(Peter Swarz-Burt)
전체영상
6회레이피어가이 해리스
(Guy Harris)
1R / 2R / 결승
7회글라디우스제이미 룬델
(Jamie Lundell)
1R / 2R / 결승
8회모로 크리스메이스 비텔
(Mace Vitale)
1R / 2R / 결승


6.2. 시즌 2[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워해머크레이그 카메럴
(Craig Camerer)
1R / 2R / 결승
2회코피스살렘 스트라우브
(Salem Straub)
1R / 2R / 결승
3회스코틀랜드 클레이모어스콧 토마스
(Scott Thomas)
1R / 2R / 결승
4회가시방패일리야 알렉세예프
(Ilya Alekseyev)[28]
1R / 2R / 결승
5회바이킹 소드트래비스 워츠
(Travis Wuertz)[29]
1R / 2R / 결승
6회쿠크리제이슨 레딕
(Jason Redick)
1R / 2R / 결승
7회쇼텔버트 포스터
(Burt Foster)[30]
1R / 2R / 결승
8회커틀러스토빈 니에토
(Tobin Nieto)
1R / 2R / 결승
9회칸다벤 애벗
(Ben Abbott)
1R / 2R / 결승
10회타바르 도끼테드 톰슨
(Ted Thompson)
1R / 2R / 결승


6.3. 시즌 3[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스코틀랜드 클레이모어[31]벤 애벗
(Ben Abbott)[32]
1R / 2R / 결승제 1회 [왕중왕전]
2회호수쌍구데이브 로더
(Dave Roeder)[33]
1R / 2R / 결승제 1회 [팬선정]
3회팔참도
(Butterfly sword)
셰인 카터
(Shanyne Carter)
1R / 2R / 결승[34]
4회팔카타켈리 버미어 벨라
(Kelly Vermeer-Vella)
1R / 2R / 결승[35]
5회코라리암 호프만
(Liam Hoffman)
1R / 2R / 결승[(구)최연소]
6회헝가 멍가재러드 윌리엄스
(Jared Williams)
1R / 2R / 결승
7회보어 스피어앨런 뉴베리
(Allen Newberry)
1R / 2R / 결승
8회사이포스키스 힐
(Keith Hill)[36]
1R / 2R / 결승
9회판닷피트 윙클러
(Pete Winkler)
1R / 2R / 결승
10회줄루 이클와맷 몰린
(Matthew Moline)
1R / 2R / 결승
11회파타트래비스 워츠
(Travis Wuertz)[37]
1R / 2R / 결승제 2회 [왕중왕전]
12회츠바이헨더제이 레플로글
(Jay Replogle)
1R / 2R / 결승
13회기병 사브르데이비드 무니햄
(David Mooneyham)
1R / 2R / 결승
14회치도테오 내즈
(Theo Nazz)
1R / 2R / 결승
15회할라디레이 스미스
(Raymond Smith)
1R / 2R / 결승2R 비공개
16회바이킹 소드게이브리얼 벨
(Gabriel Bell)[38]
1R / 2R / 결승제 1회 [명예회복]


6.4. 시즌 4[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아이다 칼마레코 마우마시
(Mareko Maumasi)[39]
1R / 2R / 결승[심사위원]
2회자오원앙월니콜라스 마르셀리아
(Nicholas Marcelja)
1R / 2R / 결승(ENG)전체 [영상누락]
3회카츠발게르제임스 헬름
(James Helm)
1R[40] / 2R / 결승
4회마크라카크레이그 바
(Craig Barr)
1R / 2R / 결승
5회파나바스조쉬 웨스턴
(Josh Weston)[41]
1R / 2R / 결승제 2회 [팬선정]
6회아크라페나페이지 스타인하트
(Page Steinhardt)
1R / 2R / 결승
7회탈와르조던 라모트
(Jordan LaMothe)
1R / 2R / 결승(ENG)결승 [영상누락]
8회친퀘디아닐 카미무라
(Neil Kamimura)
1R / 2R / 결승[42]
9회추라 소드스티브 그로버너
(Steve Grosvenor)
1R / 2R / 결승
10회소드 브레이커제임스 휴스
(James Huse)[43]
1R / 2R / 결승제 2회 [명예회복]
11회재퍼 잽프랭크 앨런 렌 II(스승)
(Frank Allen Wren II)
네어마이아 루소(제자)
(Nehemiah Brousseau)[44]
1R / 2R / 결승스승/제자 [팀전]
12회응옴베 응그루스티븐 브라이언
(Steven Bryan)
1R / 2R / 결승
13회샴시르앤드류 테이카치
(Andrew Takach)
1R / 2R / 결승
14회카친 소드(카친 다운)숀 엘리스
(Shawn Ellis)[45]
1R / 2R / 결승
15회글래디에이터 시저[46]던 홀터
(Don Halter)
1R / 2R / 결승
16회캄피란마이클 크로스
(Michael Cross)
1R / 2R / 결승
17회크핑가네이트 서머스
(Nate Summers)
1R / 2R / 결승
18회야타간게이브 마브리
(Gabe Mabry)
1R / 2R / 결승
19회스패드룬J.W.랜들(USA)
(J.W. Randall)[47]
1R /2R / 결승[국제경연]
20회타바르 쉬시파르[48]마크 스틸 냅
(Mark Steele Knapp)
1R / 2R / 결승
21회태극권테오 내즈
(Theo Nazz)[49]
예선 / 1R / 2R/ 결승제 3회 [왕중왕전]
5인 [얼티밋] [50]
22회크루세이더 소드데이비드 미라빌
(David Mirabile)
1R / 2R / 결승
23회바이킹 전투 도끼제러마이아 바크하우스
(Jeremiah Backhaus)
1R / 2R / 결승1R, 2R 비공개


6.5. 시즌 5[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0회롬파이아빌리 밥 소얼
(Billy Bob Sowell)
1R / 2R / 결승1R 비공개
1회필리핀 워 골록브라이언 슈밋
(Brian Schmidt)
예선(ENG) / 1R
2R/ 결승
[얼티밋][51]
2회스키아보냐제프 왜거너
(Jeff Wagenaar)
1R / 2R+결승[52]
3회시카 소드토니 펜루스
(Tony Fetters)
1R / 2R / 결승
4회주몬지 야리제이컵 게이튼
(Jacob Gayton)[53]
1R / 2R / 결승[(구)최연소][54]
5회카빌 플리사콜린 세이지
(Collin Sage)
1R / 2R / 결승
6회중국 다오마크 J. 호퍼(스승)
(Mark J. Hopper)
제시카 D. 콜린스(제자)
(Jessica D. Collins)
1R / 2R / 결승[55]
7회카라벨라이선 켐프
(Ethan Kempf)
1R / 2R / 결승
8회잔데 스피어드류 굿슨
(Drew Goodson)
1R / 2R / 결승[최연소]
9회스페인 나바하매튜 크리스티아누
(Matthew Christiano)
1R / 2R / 결승
10회독일 할버드필립 볼드윈
(Phillip Baldwin)
1R / 2R / 결승
11회인도 양날 대검조너선 앨런
(Jonathan Allen)
1R / 2R / 결승
12회M1917 해군 커틀러스존 네이글
(Jon Nagel)
1R / 2R / 결승[56]
13회기병용 도끼알렉스 리스
(J. Alex Ruiz)
1R / 2R/ 결승
14회마사이 라이언 스피어존 그래디 히파드
(John Grady Hippard)
1R / 2R / 결승
15회클레왕팀 라우
(Tim Louk)
1R / 2R / 결승
16회바그 낙채드 해드필드
(Chad Hatfield)
1R / 2R / 결승
17회글레이브 귀사르메닉 젠텔라
(Nick Santella)
1R / 2R / 결승
18회러시아 파이오니어 소드마크 스페리
(Mark Sperry)
1R / 2R / 결승
19회풍화륜러벨 로드리게스
(Rebel Rodriguez)
1R / 2R / 결승
20회스몰소드데릭 멜턴
(Derek Melton)
1R / 2R / 결승
21회켈트족 인간형상검
(Celtic Anthropomorphic Sword)
빌 벤키
(Bill Behnke)
1R / 2R / 결승
22회킬리지코너 J. 마이어스-노턴
(Connor J. Myers-Norton)
1R / 2R / 결승
23회소우백 헌팅 소드트레버 라이델
(Trevor Rideout)
1R / 2R / 결승
24회아밍 소드존 스토크스
(John Stokes)
1R / 2R / 결승[57]
25회센기지애쉬 크레베녹
(Ashe Cravenock)
1R / 2R / 결승[최연소][58]
26회청룡극마이클 컬리
(Michael Kerley)
1R / 2R / 결승
27회핫토리 한조 카타나마이크 데이버트
(Mike Deibert)
1R / 2R / 결승
28회중세 사냥용 석궁JD 헝거포드
(JD Hungerford)
1R / 2R / 결승
29회란츠크네히트 소드토드 앤드류스
(Todd Andrews)
1R / 2R / 결승
30회모추어리 소드커크 앳킨스
(Kirk Adkins)
1R / 2R / 결승[토너먼트][1R_장제사]
31회후드 카타르니콜라스 코치올라
(Nicholas Cochiolo)
1R / 2R / 결승[토너먼트] [2R_갑옷제작자]
32회폴 엑스데릭 켐퍼
(Derick Kemper)
1R / 2R / 결승[토너먼트] [3R_대장장이]
33회플랑베르주 레이피어데이브 파스모어
(Dave Parthemore)
1R / 2R / 결승[토너먼트] [4R_금속공]
34회노다치데이브 파스모어
(Dave Parthemore)
1R / 2R / 결승[토너먼트] [파이널챔피언쉽]
35회저승사자의 대낫브랜든 윌리엄스
(Brandon Williams)
1R / 2R / 결승
36회테이크다운 보우토미 매튜스
(Tommy Matthews)
1R / 2R / 결승
37회바디시존 위거
(John Wigger)
1R / 2R / 결승
38회파이프 토마호크마이크 롤리
(Mike Rowley)
1R / 2R / 결승
39회아이리쉬 링 힐티드 소드숀 슈롭셔
(Shawn Shropshire)
1R / 2R / 결승


6.6. 시즌 6[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차퍼 검1R / 2R / 결승
2회결승 진출자의 선택맷 베리
(Matt Berry)[59]
1R / 2R / 결승사상 최다인원 참가 명예회복전
3회조지 워싱턴콜리슈마르드조쉬 니콜라이디스
(Josh Nicolaides)
1R / 2R / 결승
4회타치미키 톰슨
(Mickey Thompson)
1R / 2R / 결승[100회특집]
5회후사르 세이버디크 파커
(Deke Parker)
1R / 2R / 결승
6회바바리안 소드이선 리
(Ethan Lee)
1R / 2R / 결승
7회자바니스 크리스스티브 코스터
(Steve Koster)
1R / 2R / 결승
8회야마시타 도모유키의 군도엘라이야 윌리엄스
(Elijah Williams)
1R / 2R / 결승
9회그리스 코피스존 서머힐
(John Summerhill)
1R / 2R / 결승
10회미 육군 장교 검 M1902 세이버
(M1902 US ARMY saber)
타일러 핵바스
(Tyler Hackbarth)
1R / 2R / 결승
11회미 공군 장교 검
(USAF NCO Sword)
마이크 안드리아코
(Mike Andriacco)
1R / 2R / 결승
12회미 해병대 장교 검
(USMC Mameluke Sword)
진 기디업 호지스
(Gene "Giddyup" Hodges)
1R / 2R / 결승
13회미 해군 장교 검
(US NAVAL Officer's Sword)
리 크로포드
(Lee Crawford)
1R / 2R / 결승
14회조지 워싱턴사자머리 커토타일러 핵바스
(Tyler Hackbarth)
1R / 2R / 결승
15회나가마키브랙스턴 콕스
(Braxton Cox)
1R / 2R / 결승
16회아틸라의 검랜디 캐스턴
(Randy Caston)
1R / 2R / 결승
17회파르티잔필립 슈레이
(Philip Schrei)
1R / 2R / 결승
18회메서제프 피터스
(Jeff Peters)
1R / 2R / 결승
19회람 다오[60]조시 나바렛
(Josh Navarrete)
1R / 2R / 결승
20회미 육군 포병 검
(M1832 foot artillery sword)
존 필립스
(John Phillips)
1R / 2R / 결승
21회모닝스타제이슨 앤더슨
(Jason Anderson)
1R / 2R / 결승
22회로카버 액스조슈아 프로스트
(Joshua Frost)
1R / 2R / 결승
23회소드 스틱더그 버츠
(Doug Butts)
1R / 2R / 결승
24회보어 스피어 소드조너선 카루소
(Jonathan Caruso)
1R / 2R / 결승
25회펄션웨인 멜리건
(Wayne Meligan)
1R / 2R / 결승
26회나폴레옹 보나파르트세이버세스 보리에스
(Seth Borries)
1R / 2R / 결승
27회부지[61]Joe Vachon1R / 2R / 결승
28회검은 수염의 커틀러스제이슨 크럼
(Jason Crum)
1R / 2R / 결승
29회구환도[62]마이크 웨튼
(Mike Whetten)
1R / 2R / 결승
30회칭기즈칸의 검에버렛 스톤
(Everett Stone)
1R / 2R / 결승

6.7. 시즌 7[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페르세우스의 검자레드 볼
(Jarred Ball)
1R / 2R / 결승
2회조지 S. 패튼세이버John McNerney1R / 2R / 결승
3회중국검[63]케이시 클리브랜드
(Casey Cleveland)
1R / 2R / 결승
4회투석 석궁콜튼 아리아스
(Colton Arias)
1R / 2R / 결승
5회워 사이드트레버 젠킨슨
(Trevor Jenkinson)
1R / 2R / 결승
6회보아-잔데 소드Justin Chenault1R / 2R / 결승
7회머스킷티어 레이피어Jesse Ewing1R / 2R / 결승
8회엘 시드의 검브렌트 스미스
(Brent Smith)
1R / 2R / 결승
9회잭 처칠의 스코틀랜드 백소드Billy Salyers1R / 2R / 결승
10회미국 독립전쟁 장교의 스폰툰크리스 헤드버그
(Chris Hedberg)
1R / 2R / 결승
11회바바리안 스파타알렉스 혼
(Alex Horn)
1R / 2R / 결승
12회이니고 몬토야레이피어론 하드먼
(Ron Hardman)
1R / 2R / 결승
13회프랑시스카닉 오버튼
(Nic Overton)
1R / 2R / 결승
14회영국 경기병 검보이드 리터
(Boyd Ritter)
1R / 2R / 결승
15회중국 검바비 워커
(Bobby Walker)
1R / 2R / 결승
16회중세 브로드소드스캇 스웨더
(Scott Sweder)
1R / 2R / 결승
17회샤를마뉴주와이외즈페이튼 람
(Peyton Ramm)
1R / 2R / 결승
18회콩키스타도르의 검Cody Hofsommer1R / 2R / 결승
19회피라[64]Kevin Burgess1R / 2R / 결승
20회프랑스 검
(Rooster-head French pioneer sword)
케이드 데이비드 젠킨스
(Cade David Jenkins)
1R / 2R / 결승
21회다릅스리건차이[65]폴 핀토
(Paul Pinto)
1R / 2R / 결승
22회줄루 전투 도끼웨스톤 파스
(Weston Paas)
1R / 2R / 결승
23회참마도Josh Wisor1R / 2R / 결승
24회독일 두사크(German Dussage Sword)스캇 파워스
(Scott Powers)
1R / 2R / 결승
25회할리건 바Britt Barnes1R / 2R / 결승
26회아리아 스타크의 검(Épée de Combat)Trevor Crowell1R / 2R / 결승
27회이카카라카(Ikakalaka)Ricardo Vilar1R / 2R / 결승
28회소데가라미(Sodegarami)Rita Thurman1R / 2R / 결승
29회월왕구천검포레스트 케트너
(Forrest Ketner)
1R / 2R / 결승
30회님차[66]라이언 데못
(Ryan Demott)
1R / 2R / 결승
31회기병 타바르(Tabar)와 내장형 단검Jarrod Fiscus1R / 2R / 결승
32회토마호크보위 나이프브라이언 이스터링
(Brian Easterling)
1R / 2R / 결승
33회일본 도끼키튼 고다드
(Keaton Goddard)
1R / 2R / 결승
34회제2차 세계대전 카자크 샤쉬카콜린 세이지
(Collin Sage)
1R / 2R / 결승
35회보아텡 세이버글레이든 카니
(Glayden Carney)
1R / 2R / 결승
36회1R / 2R / 결승
37회1R / 2R / 결승

6.8. 시즌 8[편집]


회차결승전 무기우승자영상비고
1회1R / 2R / 결승
2회1R / 2R / 결승
3회살라딘의 검1R / 2R / 결승
4회M1905 스프링필드 총검1R / 2R / 결승
5회윌리엄 월레스의 검1R / 2R / 결승
6회조지 워싱턴의 검1R / 2R / 결승
7회마구로보초1R / 2R / 결승
8회1R / 2R / 결승
9회1R / 2R / 결승
10회스페츠나츠 야전삽1R / 2R / 결승
11회다호메이 왕국 마체테1R / 2R / 결승
12회피라[67]1R / 2R / 결승
13회1R / 2R / 결승
14회1R / 2R / 결승
15회플리사1R / 2R / 결승
16회전투 코끼리용 검1R / 2R / 결승
17회바스타드 소드1R / 2R / 결승
18회1R / 2R / 결승
19회1R / 2R / 결승
20회1R / 2R / 결승
20회1R / 2R / 결승
21회1R / 2R / 결승
22회월도에릭 켄커
(Eric Himker)
1R / 2R / 결승[한국]
23회1R / 2R / 결승
24회1R / 2R / 결승
25회1R / 2R / 결승
26회1R / 2R / 결승
27회투아레그 타코바조슈아 킴
(Joshua Kim)
1R / 2R / 결승
28회브로드 소드[68]앤드루 홀
(Andrew Hall)
1R / 2R / 결승
29회1R / 2R / 결승
30회1R / 2R / 결승
31회1R / 2R / 결승
32회1R / 2R / 결승
33회1R / 2R / 결승
34회1R / 2R / 결승
35회1R / 2R / 결승
36회1R / 2R / 결승
37회1R / 2R / 결승
38회1R / 2R / 결승
39회1R / 2R / 결승
40회1R / 2R / 결승
41회1R / 2R / 결승
42회1R / 2R / 결승
43회1R / 2R / 결승
44회1R / 2R / 결승
45회1R / 2R / 결승

7.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6 06:21:47에 나무위키 Forged in Fir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 B 시즌이 진행되면서 변화를 주고자 테마에 따라서 스승과 제자 2인 1조로 4팀이 경쟁하거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등 기존 포맷에서 벗어난 경우도 있다.[2] A B 한국명이 최강의 검:더 마스터이지만데, 원제는 Forged in Fire(불에 단조하다)로 그냥 불에 단조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무기류를 다루는 프로그램이다. 무기류중에서도 검이 가장 접근성이 좋아서 자주 등장하는것 뿐이며, 과제로 주어지는 무기는 검 말고도 도끼, 해머, 석궁 등등 다양한 무기류가 나온다.[3] A B 사실 이게 가장 어렵다. 왜냐 하면 이미 실패한 검이 재료인데 실패한 이유에 따라 난이도가 천차만별이고 또한 어떻게 실패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며 그 중에서도 내구도 문제로 실패한 검을 고르면 승률은 천문학적으로 낮아진다.[4] A B 이게 시간 잡아먹는 괴물이다. 특히 젤리 롤 다마스쿠스 강 주조방식의 경우는 그냥 포개는 일반적인 다마스쿠스 강 주조방식과는 긴 재료를 말아야 하는데 돌돌 말때마다 생기는 빈 공간을 계속 좁혀서 없애줘야 한다. 그런 즉 말고 좁히고 말고 좁히고 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5] 기권한다고 해서 부전승 그런 거 일절 없으며 평가는 무조건 제대로 한다. 따라서 기권자가 발생하더라도 최소한의 기준에 부합되지 못한 참가자가 발생하면 2라운드 없이 바로 결승전이 된다.[6] 방패 편의 우승자가 바로 Man at Arms에 출연진으로 활동했던 일리야.[7] 첫 국제전 결승 때는 프랑스도 포함됐는데 해당지역은 생시지스몽으로 번역되었다. 그런데 미국 지도와는 달리 유럽 지도 쪽은 정말로 대충 만들어놓은 수준이어서인지 이 지역의 생시지스몽이 좌표로 찍혔다.[8] 칼이 부러지는 경우와 휘는 경우가 같은 시험에서 발생한 적이 있었는데, 휘어버린 검을 펴서 다음 시험을 버텨내자 바로 휘었던 검이 우승했다.[9] 쉽게 말해 칼날 유지력보다는 인성을 중시한다는 뜻이다. 도검용 강재 문서 참조.[10] 일반적으론 그렇지만, 무기의 종류에 따라서 어느정도 이상의 무게가 필요한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가벼운 것만이 능사가 아닐 때도 있다.[11] 팔카타에서 첫번째 여성우승자인 켈리와 맞붙었던 참가자 저스틴이 이 문제 때문에 결승전에서 탈락했다. 이 칼은 칼자루에 갈고리를 달았는데 심사위원 데이비드 베이커의 말에 의하면 "칼이 안으로 돌아가면 엄지 손가락 아래의 손바닥을 찌르고 칼이 바깥으로 돌아가면 손등에 있는 힘줄을 찌른다."라 했다. 예시로, 가드를 만들어놓는 도중 자체 손잡이의 곡선이 약하게 제작되거나, 손잡이는 만들었는데 가드를 안 달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12] 대표적으로 샴시르 편에 등장한 '채드 홀러'[13] 물론 경연 중간중간에 계속 외쳐대는, 일명 "윌람시계"에 불쾌감을 드러낸 참가자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야타간 편 1회전 때의 데이브 카토 등[14] 이후 윌이 인터뷰로 아내가 셋째를 출산했고, covid-19 상황으로 가족을 돌볼 시간이 필요해 하차를 결정했다고 해명했다.[15] 아이다 칼 편[16] 시즌2 칸다 편과 왕중왕전 스코틀랜드 클레이모어 편[17] 지정된 타겟에 정확한 각도로 무기를 부딪히게 한다던가, 일정한 각도로 서 있는 타겟에 무기를 투척하고, 검을 꽂고서는 정해진 각도로 휘었다가 돌아오는지 테스트하는 등.[18] 본래 살상 능력이 충분하다(it will kill)는 말이지만 더그의 특유의 미소와 낄~이라고 발음하며 강조하는 억양의 조화로 밈으로 등극하고 말았다. 더그의 말로는 방송에서 "kill"이라는 단어를 쓰기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해서 Keep Everyone ALive라는 뜻으로 "keal"을 쓴다고 한다. 발음은 kill과 거의 유사한 동시에 '이 정도로 잘 만든 무기를 쓴 다면 우리 모두 살아남을 것이다'란 칭찬의 언어유희.[19] 이름은 R.J.마카이다. 형인 더그와 마찬가지로 칼리무술가이다.[20] 히스토리코리아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된, 해당 상황이 발생한 편들 중 기병용 도끼편에서는 제자가 출연했는데, 제자가 처음 휘둘렀을 때 빗맞는 실수를 해서 "역시 더그좌"라는 반응이 많았다.[21] 우승했을때 재현한 검은 1796년 영국식 라이트 기마세이버.[22] 한국의 검 제작 방식(수랭)을 모티브로 한국의 환도와 월도를 제작한 에피소드였지만 수랭 방식으로 제작한 건 환도만 해당되었는데, 1라운드와 2라운드에서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참가자들이 수랭 제작 방식에 대해 엄청 낯설어하거나 어려워하는 상황을 보인 것 때문인지, 결승 제작 무기가 된 월도를 제작할 때는 수랭 방식으로 만들지 않아도 됨을 밝혔다.[23] 우승당시의 무기는 투아레그 타코바. 상대의 칼이 내구성테스트에서 총 5회의 충격에서 4번까지 잘 버티다가 다섯번째에서 칼날이 빠지고 조슈아의 칼은 5번 버텨내면서 승리.[24] 무기에 따라서 무거운 쪽이 오히려 득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럴 필요가 없는 경우는 사소하다. ㅤㅤ
ㅤ+p.a. 위의 3문단 심사 기준에 의거하여 매우 사소한 1-2mm 날 한 군데 변형 또는 손상, 칼자루의 허점, 무게는 낫지만 엉망인 칼의 균형 즉, 본래 무기의 고증 소홀한 정도가 발생하면 미미한 경우라도 상대의 무게가 덜나가는 칼보다 실점을 안받은 무거운 칼로도 우승을 한다. 다만 보통은 무기를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완성도마저 좋은 실력자와 반비례 하여 무겁게 만드는 참가자는 완성도가 낮을 경우가 더 잦다 그렇기에 플래그가 꽤 통하는 편
[25] 다마스쿠스 강을 써서 우승을 했던 기록이 있었다고는 하나, 그 이후에 그 방식으로 제작하고도 패배하는 사례가 너무 많아졌기 때문이다.[26] 단 해당 계정에 자료가 없을시 미국판 자료를 따른다. 참고로 히스토리 본사 계정의 경우는 이 문서에서 다루는 작품의 업로드본을 시즌별로 구분해놔서 찾기가 쉬운 편.[27] 전동공구 사용을 최소화해 수작업으로만 작업하는 상남자. 헤어드라이기로 화덕을 달구고,화덕 크기가 작으니 안테나 위성 접시를 활용해 새로 화덕을 만드는 등 갖춰진 설비 거의 없이 작업하는 모습을 보인다. 정점은 "보호안경과 인공호흡기를 착용해야합니다" 하면서 선글라스에 시가를 무는 모습.[영상누락] A B C 히스토리코리아 유튜브에 전체 혹은 일부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음[28] 맨앳암즈에서 주요 대장장이로 등장했던 인물. 때문에 일리야가 등장한 에피소드의 댓글창에는 그를 알아보고 맨앳암즈 관련 댓글이 많이 달렸다.[29] 최강의 검: 끝까지 벤다에서 참가자의 검을 점검하는 사회자로 등장하는 사람[30] J.닐슨과 인연이 깊은데 J.닐슨의 도검명장 시험때 심사위원이었고 이런 인연덕분인지 심사위원을 이겨라에서 J.닐슨과 대결을 한다.[31] 시즌 2에서 한 번 다뤘던 검이지만 결승 진출자들이 제출한 검이 신통치 않아서 다시 시도했다.[32] 시즌2 칸다편 우승자[왕중왕전] A B C 전원 기존 우승자들로 이루어진 재도전 특집[33] 시즌1 크루세이더 스워드 편 준우승자[팬선정] A B 팬들이 선정한 다시 보고 싶은 참가자 재도전 특집[34] 제이 닐슨 치료차원으로 잠정하차. 심사위원으로 제이슨 나이트 임시합류.[35] 여성 겸 편자공 최초 우승[(구)최연소] A B 19살 참가자 우승[36] '최강의 검: 끝까지 벤다'에도 참가자로 출연해 우승했다.[37] 시즌2 바이킹 소드 우승자[38] 시즌1 1회전 탈락자[명예회복] A B 우승 경험이 없는 기존 출연자들의 재도전 특집[39] 시즌1 참가자, 더그 마카이다의 선택[심사위원] 심사위원 4인이 선정한 참가자 재경연[40] 1회전에서 참가자들 중 응급실에 실려가는 사태가 벌어졌었다.[41] 시즌2 쿠크리편 참가자[42] 최서단(알래스카 제외)인 하와이 지역 우승자이자 최단기 경력(8개월) 우승자[43] 시즌1 바이킹 도끼편 탈락. 당시에는 (시간이 얼마 없는 시점에서)금이 간 것이 확인된 칼을 모루에 치는 바람에 깨지면서 탈락했었다.[44] 결승상대인 잭 루이스는 스승인 제시 로즈가 1회전 종료 후 가족에게 일이 생겨 급히 기권하며 나오지 않았고, 단독으로 도전을 이어가 준우승까지 했다.[팀전] 2명 이상의 참가자가 함께 교대로 무기를 제작[45] 여성참가자인 레이철 올리버와 결승에서 맞붙었다.[46] 히스토리코리아 유튜브 업로드본에서는 이걸 복수형인 가위(Scissors)로 번역하고 말았다.[47] 결승 상대는 프랑스의 쥘리앵 마니글리에였고, 나머지 참가한 선수의 국적은 탈락 순서대로 폴란드와 아르헨티나였다.[국제경연] 각 나라에서 온 참가자들이 출연. 결승전 무기 제작도 본국으로 귀국해서 본인의 대장간에서 진행한다.[48] 시즌2의 타바르 도끼의 반대편에 철퇴(쉬시파르)가 결합된 것[49] 시즌3 치도 편 우승자. 출연우승자 중 경력이 가장 짧았던 닐 카미무라는 이 회차에서 준우승을 거뒀다.[얼티밋] A B 참가자가 5인 이상[50] 초대 왕중왕 벤 애벗이 첫 심사위원으로 참가.[51] 한국판 방영본에서는 참가자 소개 도중 탈락자가 소개되는 부분부터 예선 라운드 진행까지 편집해버리고 4명의 참가자만 나오는 1라운드를 이어붙여버렸다. [52] 문제는 히스토리코리아 유튜브 업로드본이 유튜브로 보던 사람들로부터 내가 중간에 뭐 빼놓고 안 본 게 있는줄 알았네로 요약가능할 정도로 초반 생략이 무더기로 발생해서 말이 많아지게 된데다가, 우승소감 때 '시즌을 4번 기다렸다'는 의미의 발언을 한 거 같은데, 자막은 "시즌 4까지 기다렸어요"라는 내용이 있다. 한국판 방영순서상 시즌 4는 맞는데, 미국판 방영순서상 시즌 5라서.[53] 최강의 검:끝까지 벤다 에도 나온 적 있다.[54] 종종 번역에서 실수를 하는 경우를 보여왔지만, 이 회차의 결승에서 번역실수가 크게 나왔는데, 해당 원문부분인 "this rake company makes their poles out of ash"가 그것이다.(번역문 : 이 갈퀴회사는 갈퀴 막대를 로 만들거든요.) 문제는 해당 부분 내용에서 말하는 ash는 물푸레나무의 영어명칭이다.(!)[55] 스승/제자 팀전 [최연소] A B 18세 참가자 우승[56] 전현직 군인출신 참가자들이 경연 [57] 시즌 처음으로 참가자들에게 단검 3자루를 만드는 과제가 나오고 칼자루까지 만들고 난후 심사에서는 기존에 제이 닐슨이 시험하던 일반적인 진행이 아닌 데이빗 베이커, 더그 마카이다도 같이 시험에 참가해 심사위원 전원모두 단검 테스트를 진행했다. [58] 시즌5-8회 우승자 드류 굿슨과 동일연령[토너먼트] A B C D E 5회에 걸쳐 펼쳐지는 대회로, 각 금속 분야의 종사자 4명 1조로 총 4조를 구성해 각 조에서 진출한 최후의 한명이 챔피언쉽에서 승부를 가린다.[파이널챔피언쉽] [59] 결승전 제출 무기는 아밍 소드[100회특집] 1회부터 99회까지 사용한 모든소재들을 준비해서 참가자들이 2가지 소재를 택해 단검제작하는 과제 경연[60] Ram-dao. 힌두교 의식에 사용하는 검[61] Bhuj. 손잡이가 길고 끝 부분에 도끼날이 붙은 전투 도끼[62] 九環刀. 칼등에 9개의 고리가 달려있는 검[63] 剑, Jian[64] Pirah. 필리핀의 볼로 나이프[65] Darb Sri Gun Chai. 태국 란나왕국의 검.[66] 북아프리카의 한손검[67] Pirah. 시즌 7 19회에서 다뤘던 검[한국] 헌정 에피소드[68] 바스켓힐트 클레이모어(Basket-hilted Claymor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