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J. 심슨 (r1판)

편집일시 :

O. J. 심슨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하이즈먼 트로피 재단 로고.svg 하이즈먼 트로피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351936193719381939
제이 베르왱거래리 켈리클린트 프랭크데이비 오브라이언나일스 키닉
19401941194219431944
톰 하몬브루스 스미스프랭크 싱크위치안젤로 베르텔리레스 호바스
19451946194719481949
닥 블랜처드글렌 데이비스조니 루잭도억 워커레온 하트
19501951195219531954
빅 자노윅즈딕 카즈마이어빌리 베셀스조니 래트너앨런 어미시
19551956195719581959
하워드 캐서디폴 호넝존 데이비드 크로우피트 도킨스빌리 캐논
19601961196219631964
조 벨리노어니 데이비스테리 베이커로저 스타우벅존 후아르테
19651966196719681969
마이크 개럿스티브 스퍼리어게리 베번O. J. 심슨스티브 오원스
19701971197219731974
짐 플렁켓팻 설리번조니 로저스존 카팔레티아치 그리핀
19751976197719781979
아치 그리핀토니 도셋얼 캠벨빌리 심스찰스 화이트
19801981198219831984
조지 로저스마커스 앨런허셜 워커마이크 로지어더그 플루티
19851986198719881989
보 잭슨비니 테스타버디팀 브라운배리 샌더스안드레 웨어
19901991199219931994
타이 데트머데스몬드 하워드지노 토레타찰리 워드라샨 살람
19951996199719981999
에디 조지대니 워플찰스 우드슨리키 윌리엄스론 데인
20002001200220032004
크리스 와인키에릭 크라우치카슨 파머제이슨 화이트맷 라이너트
20052006200720082009
레지 부시트로이 스미스팀 티보우샘 브래드퍼드마크 잉그램
20102011201220132014
캠 뉴튼로버트 그리핀 3세조니 맨지엘제이미스 윈스턴마커스 마리오타
20152016201720182019
데릭 헨리라마 잭슨베이커 메이필드카일러 머리조 버로우
20202021202220232024
디본타 스미스브라이스 영케일럽 윌리엄스



[ 펼치기 · 접기 ]
※ 2021년 미국 스포츠 사이트 the Athletic에서 NFL 역사상 최고의 선수 100명을 발표했다.
1위2위3위4위5위
톰 브래디짐 브라운제리 라이스로렌스 테일러레지 화이트
6위7위8위9위10위
조 몬태나페이튼 매닝월터 페이튼조니 유나이타스딕 버커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오토 그레이엄앤서니 무뇨즈돈 허슨조 그린존 엘웨이
16위17위18위19위20위
디콘 존스레이 루이스댄 마리노로니 로트브루스 스미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애런 로저스브렛 파브새미 보애런 도널드존 해나
26위27위28위29위30위
로드 우드슨배리 샌더스디온 샌더스에밋 스미스멜린 올슨
31위32위33위34위35위
밥 릴리앨런 페이지브롱코 나구르스키지노 마체티J.J. 왓
36위37위38위39위40위
포레스트 그렉잭 램버트랜디 모스에드 리드에릭 디커슨
41위42위43위44위45위
O. J. 심슨짐 파커드루 브리스브루스 매튜스래리 앨런
46위47위48위49위50위
토니 곤잘레스랜디 화이트시드 럭맨스티브 영딕 레인
51위52위53위54위55위
르데니언 톰린슨잭 햄게일 세이어스척 베드나릭랜스 알워스
56위57위58위59위60위
롭 그론카우스키마이크 웹스터허브 애덜리주니어 슈조너선 오그덴
61위62위63위64위65위
바트 스타레이 니츠케레이먼드 베리월터 존스조 슈미트
66위67위68위69위70위
얼 캠벨진 업쇼찰스 우드슨테리 브래드쇼마셜 포크
71위72위73위74위75위
멜 블런트아드리안 피터슨매리언 모틀리바비 벨폴 워필드
76위77위78위79위80위
아트 셸테드 헨드릭스로저 스타우벅마이크 헤인스윌리 레니어
81위82위83위84위85위
존 맥키켈렌 윈슬로레오 노멜리니멜 하인불독 터너
86위87위88위89위90위
벅 뷰캐넌챔프 베일리대럴 그린바비 레인윌리 브라운
91위92위93위94위95위
윌리 데이비스레니 무어마이크 싱글티어리엘로이 허시프랜 타킨턴
96위97위98위99위100위
마이크 딧카짐 오토스티브 밴뷰런데르몬티 도슨데릭 브룩스
출처



파일:NFL 로고.svg 1973년 NFL 정규시즌 MVP
래리 브라운
(워싱턴 레드스킨스)
O. J. 심슨
(버팔로 빌스)
켄 스테이블러
(오클랜드 레이더스)

O. J. Simpson
O. J. 심슨
파일:O.J._Simpson_1990_·_DN-ST-91-03444_crop.jpeg.jpg
이름오렌설 제임스 심슨
(Orenthal James Simpson)
출생 1947년 7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사망 2024년 4월 10일 (향년 76세)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배우자 마거리트 휘틀리 (1967년 결혼 / 1979년 이혼)
니콜 심슨 (1985년 결혼 / 1992년 이혼)[1]
자녀 1남 4녀
학력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신체 185cm, 96kg
포지션러닝백
프로 입단1969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버팔로 빌스)
소속 팀버팔로 빌스 (1969~1977)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1978~1979)
링크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1. 개요
2. 생애
2.1. 선수 경력
2.3. 이후
3. 기타



1. 개요[편집]


미국의 전 미식축구 선수. 별명은 전류를 뜻하는 'Juice'이다.[2]


2. 생애[편집]



2.1. 선수 경력[편집]


미식축구 명문인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 입학하기 전부터 미식축구의 러닝백과 단거리 육상 선수로서 최고의 유망주로 손꼽혔고, 폭발적인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대학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하는 하이즈먼 트로피를 1968년 수상했고, NFL 버펄로 빌스에서 9시즌,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에서 2시즌 도합 11년 동안 뛰었다. 프로 커리어의 중요 타이틀은 버펄로에서 주로 이뤄냈다. 최전성기인 72~76년 5년동안 4번의 리그 러싱야드 1위, 2번의 러싱 TD 1위를 기록했고, 5년 연속 프로보울과 AP 퍼스트팀 선정 1973년 AP 선정 시즌 MVP, OPOY포함 top 5 투표에 들어가는 등 70년대 최고의 러닝백이자 최고의 미식축구 슈퍼스타였다. 당시만 해도 그가 은퇴할 때 올타임 러싱야드에서 그 위에 있던 선수는 역대 최고의 러닝백으로 칭송받는 짐 브라운뿐이었으며, 당시 정규리그는 14경기만 치뤘음에도 처음으로 시즌 2,000 야드를 돌파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심지어 그 누구도 14게임 2000야드는 다시 깨지 못했다. 1973년도의 게임당 143.7 야드 기록은 아직도 누구도 깨지 못한 기록이다. 또한 미식축구 PER에 따르면 심슨의 1975년 시즌은 모든 프로 미식축구선수 역사상 최고 시즌으로 꼽힌다. 운동선수로의 위상만 놓고 본다면 OJ 심슨은 분명히 NFL 한 시대를 대표할 역대 최고의 러닝백들에 거론될 수준의 레전드이고, 하술할 사건과 추문이 없었다면 사실 버펄로 빌스의 역사에 남을 프랜차이즈 스타로 손색이 없는 선수였다.

그때만 해도 NBA가 전국적인 스포츠가 아니었기 때문에 야구와 미식축구 위주로 즐기던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NFL 미식축구의 아이콘이었다. 마이클 조던이 등장하기 전 70년대 미국 최고의 흑인 스포츠 스타 중 1명이었다. 1985년에는 NFL 명예의 전당 입당 자격이 생기자 마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 끼가 넘쳐서 쇼호스트나 예능, 버라이어티 쇼도 많이 출연했음은 당연지사다. 대학 시절인 1968년부터 배우로 활동했고 프로선수로 활동할 때도 비시즌엔 배우로 TV나 영화에 출연했다. 1977년엔 아예 영화사를 차리고 자기가 직접 주연한 TV 영화까지 찍게된다. 타워링이나 카산드라 크로싱에서는 소방관이라든지 수사관 같은 정의로운 인물로 나와 영화상에서 많은 사람을 구하는 활약을 하기도 했다. 특히 그가 주연 중 하나로 활약한 1988년작 총알탄 사나이는 당해 북미 최고 히트작이자 역대 최고의 코미디 영화 중 하나로 극찬을 받았고 북미의 가장 저명한 필름 전문가인 로저 이버트가 꼽은 1988년 최고의 영화로까지 꼽혔다. 이후 이 영화의 속편에도 계속 개근출연하여 1994년에 마지막 시리즈인 3탄까지 등장했다. 때문에 미식축구에 관심이 없어도 총알탄 사나이를 재밌게 봐서 그의 얼굴을 아는 사람도 많다.

심슨은 대학교 2학년 때 이미 결혼해 3명의 아이를 두었는데, 이중 셋째 딸이었던 아렌이 두 살 생일 때 자기 집 수영장에서 사고로 익사하는 불행이 찾아온다. 이미 이혼과정에 있었지만 이 충격으로 심슨은 첫 부인과 사이가 완전히 갈라지면서 이혼하게 되었고, 이 사건 이후로 2년 뒤 나이트클럽 웨이트리스로 일하던 당시 18세였던 니콜 브라운과 만나 두 번째 결혼을 하고, 2명의 아이를 낳게 된다. 이후 심슨은 두 번째 부인인 니콜 브라운과도 1992년에 이혼한다.

2.2. O. J. 심슨 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O. J. 심슨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94년 니콜 브라운이 식당의 종업원이었던 론 골드만과 함께 살해된 채로 발견되었다. O.J 심슨은 사건의 범인으로 지목되어 체포되고 재판에 기소되었지만,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은 인종차별 문제, 대스타의 범행 혐의, 확률통계의 함정 및 미국 배심원제도에 대한 논쟁 등 여러 분야에서 큰 의미를 갖게 된 판결이 되었다.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법정판결로 손꼽힐 정도로 파급력이 엄청났다.


2.3. 이후[편집]


비록 무죄 판결을 받고 풀려났지만 재판 과정에서 변호사들에게 엄청난 수임료를 준 탓에 출소 후 그는 알거지가 되었고, 명성에도 큰 타격을 받았다. 사실상 선수 시절의 명예는 거의 잃어버린지 오래다.[3]

출소 직후 1995년에는 자신의 재판 과정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힌 《I Want to Tell You: My Responses to Your Letters, Your messages, Your Questions》라는 책을 출간했다.

1997년 피해자 니콜과 론 골드만의 유가족들이 제기한 민사소송에서는 패소 판결을 받고 배상금으로 총 3,350만 달러(한화 약 370억 원)를 유가족에게 지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 하지만 회사를 설립하고, 온갖 재산을 빼돌리는 등 법의 함정들을 이용하여서 O.J. 심슨으로부터 2017년 8월까지 유가족들은 100만 달러조차 받아내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O.J. 심슨은 진짜로 돈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수백 달러 규모의 세금도 못내서 탈세혐의로 수감되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2007년 O.J. 심슨은 자신의 재판 과정에 대해 《만약 내가 했다면》(If I Did It)이라는 책을 고스트라이터를 통해 출판한다. 이 책은 언론 재벌 루퍼트 머독의 작업으로 출판되었으나, 이 책이 출판된다는 사실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극도의 반발로 출판이 중단된 적이 있다. 이 때 이미 찍혔던 40만부의 책이 파기되었고, 사업계획들도 무산됐다.

파일:IFITDIDIT.jpg

이 책은 나중에는 《만약 내가 했다면: 살인자의 고백》(If I Did It: Confessions of the Killer)으로 제목을 바꾸어 발행됐다. 그런데 이 책의 출판 과정에서, O.J. 심슨의 가장 큰 채권자인 론 골드만의 유가족은 사전에 책을 검토한 후, 'If'를 아주 작게 만들도록 해서 언뜻 보면 책의 제목이 《I Did It》처럼 보인다.

2007년에는 강도질을 하다가 경찰에게 체포되어 33년형을 선고받았다. 네바다 교정청에서 복역하다 2017년 10월 2일 가석방되어 출소했다. 기사

2019년 6월 15일 트위터를 개설했다. 주로 NFL 관련 영상을 올리고 있다.

2024년 2월 9일에 전립선암을 진단 받았고, 2달여만인 4월 10일 네바다주 라스 베이거스에서 사망하였다.

3. 기타[편집]


  • 제임스 카메론은 원래 아놀드 슈워제네거 대신 이 사람을 <터미네이터>의 주연으로 캐스팅하려고 했다. 그러나 고사하게된 이유는 O.J. 심슨이 사람을 냉정하게 죽이는 살인 기계를 맡기에는 너무나 부드러워 보였다고 한다.

  • O.J 심슨의 소속팀이었던 버팔로 빌스는 심슨의 은퇴 이후 유니폼 넘버인 32번을 다른 선수에게 부여하지 않았다. 사실상 영구결번이었던 셈. 그러다가, 2019년에 빌스와 계약한 러닝백인 서노리스 페리(Senorise Perry)에게 32번을 부여하면서 42년만에 암묵의 룰을 깼다.

  • 킴 카다시안의 친 아버지인 로버트 카다시안이 이 사람과 절친으로 유명하다.[6] 사건이 터졌을 당시 로버트는 O.J.의 변호인단에 합류해 무죄 판결을 이끌어냈다. 킴이 자신을 처음 소개할때 아버지가 O.J.를 담당한 변호사이고 삼촌으로 여겼다고 언급할 정도. 하지만 이후 로버트가 O.J.의 무죄에 의혹을 가진 발언들을 하기 시작하면서 관계에는 금이 가기 시작했고, 소송까지 주고받는 사이로 악화되었다.

  • 헐크 호건이 과거 전처와 그녀의 내연남 때문에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여러차례 입은 후 한 인터뷰에서 O. J. 심슨이 이해가 되고도 남는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심슨이 살인을 저지른게 맞다는 가정하에 그의 심정이 이해가 되고도 남을 만큼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상당히 크게 입었다는것이다.

  • 이름 때문에 심슨 가족의 심슨 일가와 엮인 적이 있다. 작중의 심슨 일가와는 '전주 이씨와 경주 이씨' 정도의 남이나 다름없는 수준의 촌수로 묘사되었다.

  • 디즈니+에 《O.J.: 메이드 인 아메리카》 시리즈로 스트리밍중이다.

[1] 1994년 6월 12일 사망.[2] 또한 미국 영어에선 오렌지 쥬스를 OJ(Orange Juice)라고 줄여부른다.[3] 언론에서는 이를 '상처뿐인 승리' 라고 표현하기도 했다.[4] 민사와 형사 재판 결과가 달라진 것은 민사에서는 대립하는 당사자 중 더 우세한 쪽이 승소하지만 형사에서는 합리적 의심의 여지없을 정도의 증거가 있어야 유죄가 되기 때문이다. 두 재판의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부분으로 심슨이 아내를 죽였다는 게 의심할 여지없이 확실하진 않지만 그래도 죽였을 가능성이 아닐 가능성보다는 높다는 걸로 정리된다.[5] 현 케이틀린 제너[6] 공교롭게도 로버트의 전처인 크리스 제너는 사망한 니콜과 절친한 사이였다. 이 때문에 크리스는 남편이 O.J.의 변호를 맡았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크리스는 O.J.를 범인으로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 다만 O.J.의 재판 당시 두 사람은 이미 이혼한 상태였고 크리스는 육상 선수인 브루스 제너[5]와 재혼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O. J. 심슨 사건 문서의 r33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O. J. 심슨 사건 문서의 r3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