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덤프버전 : (♥ 0)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i_logo.png
제주(祭主)
[ 펼치기 · 접기 ]
>>>>>
세습 제주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환임)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大中臣毛人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大中臣奥生
제25대
제26대
제27대
大中臣公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환임)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환임)
제53대(환임)
제54대
제55대(환임)
제56대(환임)
제57대(환임)
제58대(환임)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환임)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환임)
제67대(환임)
제68대(환임)
제69대
제70대
제71대(환임)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환임)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환임)
제82대(환임)
제83대(환임)
제84대
제85대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친임 제주
초대
제2대
제3대
대리
제4대
제5대
제6대
임시
임시
여성 제주
초대
제2대
제3대
임시
임시
}}}
제4대


[ 펼치기 · 접기 ]
덴표 8년(736년) 강하
덴표 11년(739년) 강하
덴표 11년(739년) 강하
덴표칸포 3년(751년) 강하
덴표칸포 4년(752년) 9월 12일 강하
덴표칸포 7년(755년) 강하
덴표칸포 9년(757년) 강하
덴표칸포 9년(757년) 강하
덴표호지 3년(759년) 복귀
덴표호지 8년(764년) 강하
덴표진고 원년(765년) 강하
덴표진고 원년(765년) 강하
진고케이운 3년(769년) 5월 강하
호키 2년(771년) 복귀
호키 2년(771년) 복귀
호키 2년(771년) 7월 복귀
호키 2년(771년) 9월 강하
호키 3년(772년) 12월 복귀
호키 5년(774년) 12월 복귀
엔랴쿠 6년(787년) 2월 5일 강하
엔랴쿠 21년(802년) 12월 27일 강하
엔랴쿠 23년(804년) 6월 21일 강하
엔랴쿠 25년(806년) 4월 16일 강하
고닌 5년(814년) 5월 8일 강하
고닌 5년(814년) 5월 8일 강하
덴초 2년(825년) 7월 6일 강하
덴초 3년(826년) 강하
강하
덴초 5년(828년) 강하
강하
강하
강하
조와(承和) 2년(835년) 강하
강하
강하
조와(承和) 11년(844년) 강하
닌주 3년(853년) 강하
조간 4년(862년) 강하
조간 12년(870년) 2월 14일 강하
조간 12년(870년) 2월 14일 강하
간교 4년(880년) 강하
간교 6년(882년) 강하
간교 6년(882년) 강하
겐나 8년(884년) 6월 강하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복귀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취득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취득
간표 원년(889년) 5월 13일 강하
간표 3년(891년) 12월 27일 복귀
강하
강하
강하
강하
엔기 20년(920년) 12월 28일 강하
강하
강하
강하
엔기 20년(920년) 12월 28일 강하
강하
조헤이 6년(936년) 강하
강하
강하
강하
강하
강하
강하
강하
강하
강하
덴랴쿠 4년(950년) 강하
덴토쿠 4년(960년) 10월 2일 강하
강하
고호 4년(967년) 복귀
조겐 2년(977년) 4월 17일 복귀
강하
강하
조와(貞和) 5년(1016년) 강하
간닌 2년(1020년) 12월 26일 강하
만주 2년(1025년) 12월 29일 강하
겐에이 2년(1119년) 8월 14일 강하
지쇼 4년(1180년) 강하
분에이 7년(1270년) 12월 20일 강하
고안 10년(1287년) 10월 4일 복귀
에이닌 2년(1294년) 강하
분포 3년(1319년) 2월 18일 취득
가랴쿠 3년(1326년) 6월 13일 강하
겐토쿠 2년(1330년) 2월 11일 복귀
랴쿠오 원년(1338년) 8월 11일 강하
분나 5년(1356년) 1월 6일 강하
게이초 10년(1605년) 강하
게이초 14년(1609년) 강하
간분 3년(1663년) 11월 강하
간포 3년(1743년) 10월 27일 강하
분세이 9년(1826년) 강하
게이오 2년(1866년) 강하
메이지 21년(1888년) 6월 28일 복귀
메이지 21년(1888년) 6월 28일 강하
메이지 23년(1890년) 12월 24일 강하
메이지 25년(1892년) 12월 26일 강하
메이지 26년(1893년) 11월 15일 강하
메이지 32년(1899년) 9월 26일 강하
메이지 34년(1901년) 4월 6일 강하
메이지 34년(1901년) 11월 27일 강하
메이지 36년(1903년) 2월 6일 강하
메이지 37년(1904년) 11월 14일 강하
메이지 39년(1906년) 10월 28일 강하
메이지 41년(1908년) 11월 8일 강하
메이지 43년(1910년) 7월 20일 강하
메이지 44년(1911년) 4월 17일 강하
다이쇼 3년(1914년) 1월 21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4월 30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7월 20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9월 3일 강하
다이쇼 7년(1918년) 5월 29일 강하
다이쇼 9년(1920년) 7월 24일 강하
다이쇼 9년(1920년) 11월 9일 강하
다이쇼 12년(1923년) 12월 7일 강하
다이쇼 13년(1924년) 5월 3일 강하
다이쇼 13년(1924년) 12월 9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0월 27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2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7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13일 강하
쇼와 3년(1928년) 7월 20일 강하
쇼와 3년(1928년) 7월 20일 강하
쇼와 4년(1929년) 12월 24일 강하
쇼와 6년(1931년) 4월 4일 강하
쇼와 6년(1931년) 5월 12일 강하
쇼와 8년(1933년) 1월 17일 강하
쇼와 9년(1934년) 3월 26일 강하
쇼와 10년(1935년) 1월 7일 강하
쇼와 11년(1936년) 4월 1일 강하
쇼와 11년(1936년) 4월 1일 강하
쇼와 14년(1939년) 4월 2일 강하
쇼와 15년(1940년) 10월 25일 강하
쇼와 16년(1941년) 4월 15일 강하
쇼와 16년(1941년) 11월 7일 강하
쇼와 17년(1942년) 10월 5일 강하
쇼와 18년(1943년) 6월 7일 강하
쇼와 18년(1943년) 12월 29일 강하
쇼와 20년(1945년) 4월 22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5년(1950년) 5월 20일 강하
쇼와 27년(1952년) 10월 10일 강하
쇼와 35년(1960년) 3월 10일 강하
쇼와 41년(1966년) 12월 28일 강하
쇼와 58년(1983년) 10월 14일 강하
헤이세이 17년(2005년) 11월 15일 강하
헤이세이 26년(2014년) 10월 5일 강하
헤이세이 30년(2018년) 10월 29일 강하
레이와 3년(2021년) 10월 26일 강하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333e5aff-s.jpg


1. 개요
2. 구황족 가계도
3. 생애
3.1. 일본 제국
3.2. 패전 이후


1. 개요[편집]


梨本宮 守正王

나시모토노미야 궁가의 당주이자 구황족으로, 한국에서는 영친왕비 이방자의 부친이자 영친왕의 장인으로 알려져 있다.


2. 구황족 가계도[편집]


쇼와 22년(1947년) 직전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왕자)
  ╟─
  ╟─
  ╟─
  ╟─
  ╟─
  ╟─
  ╟─
  ╟─
  ╟─
  ╟─
  ╟─
  ╟─
(비묘인)
  ╟─
(보다이인)
  ╟─
  ╟─
  ╟─
  ╟─
  ╟─
  ╟─
  ╟─
  ╟─
  ╟─
  ╟─
  ╟─
  ╟─
  ╟─
         
         
         
         
         
(간라쿠인)
  ╟─




3. 생애[편집]




3.1. 일본 제국[편집]


1874년 3월 9일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4남으로 태어났는데 본래 이름은 구니노미야 다다(久邇宮多田)였으나 메이지 덴노의 명에 의해 작은할아버지 모리오사(守脩) 친왕이 창설한 나시모토노미야 가문에 양자로 입적되면서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으로 개명했다. 모리마사 왕의 형제로는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久邇宮邦彦)[1] 왕,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 등이 있다.

메이지 유신 이전의 남성 황족들은 유명한 사찰에서 대처승으로 있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승려 대신 군인이 되어야 했다. 아버지인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밀교(천태종) 사찰인 쇼렌인(青蓮院)의 주지승었으나 환속했고 모리마사 본인도 군인이 되었으며 육군 대장자 원수까지 진급했다. 사실 나시모토미야 가문 자체가 교토 산젠인(三千院)의 별칭 중 하나였던 '나시모토보(梨本坊)'에서 따 온 것으로, 히에이산 엔랴쿠지(延暦寺) 근처에 있던 커다란 배나무 옆에 암자를 지었다는 일화에서 유래했다.

이후 모리마사 왕은 이세 신궁의 신주도 맡았는데 그것 때문에 패전 후 일본 황족으로서는 유일하게 전범으로 극동국제군사재판에 회부되었고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이세 신궁 항목을 읽어 보면 알겠지만 일본 황실의 조상신을 모시는 신토의 핵심을 이루는 장소이므로 국가신토에 대한 처벌을 이유로 상징적으로 기소·처벌된 것이다. 모리마사 왕은 스가모 형무소에서 6개월간 복역했다.


3.2. 패전 이후[편집]


패전 후인 1947년 다이쇼 덴노의 직계 후손을 제외한 모든 방계 황족들과 화족들은 평민 신분으로 강등(박탈)당했다(신적강하). 황족이었던 나시모토노미야 가문도 이때부터 평민 나시모토 가문이 되었고 신분과 재산을 잃고 어려움을 겪었다.

큰딸인 이방자 여사의 회고록에는 이런 일화도 나온다. 연합군 최고사령부가 옛 황족들의 면세 혜택을 폐지하자 일자리가 없던 옛 황족들은 당연히 저택과 별장 등을 팔아서 겨우 생계를 이었다. 그러던 중 누군가가 집에 침입해서 옷가지까지 모조리 쓸어가는 초유의 사태까지 발생했는데 이를 알고 불쌍히 여긴 황실에서 옷을 하사해서 한동안 그 옷을 입고 다녀야만 했다고 한다.

그는 아들을 낳지 못한 채 1951년 1월 1일 만 76세로 사망했기 때문에 외손자(차녀 노리코의 3남) 요시미쓰(儀光)가 양자로 들어왔으나 관계가 악화되어 파양했다. 모리마사 사후 부인 이츠코는 1966년 모리마사의 이복동생 다카 왕의 막내아들인 다츠타 노리히코를 새로이 양자로 들였다. 참고로 현재도 그렇지만 황실전범에서는 황족의 양자 입양을 허락하지 않는데 역설적으로 신적강하로 평민이 되었기 때문에 양자를 들일 수 있었다.
[1] 고준 황후(나가코)의 아버지이자 쇼와 덴노의 장인. 훗날 조명하 의사의 타이중 의거에 피습당해 암살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방자 문서의 r76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방자 문서의 r7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18:34:27에 나무위키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