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가시발새우

덤프버전 :


노르웨이가시발새우
Norway lobster


파일:nephrops_norvegicus.webp

학명
Nephrops norvegic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연갑강 Malacostraca

십각목 Decapoda

가시발새우과 Nephropidae

노르웨이가시발새우속 Nephrops

노르웨이가시발새우 N. norvegicus

언어별 명칭
한국어
노르웨이가시발새우, 랑고스틴, 스캄피
영어
Norway lobster[1], langoustine[2], scampi[3]
노르웨이어
Sjøkreps[4]



1. 개요
2. 상세
3. 식재료


1. 개요[편집]


집게다리를 비롯해 전체적으로 날씬한 외모가 특징인 가시발새우과가재. 노르웨이가시발새우속의 현생 유일종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네점발빨간새우라고 표기했다. 같은 가시발새우상과의 다른 속은 가시발새우과이며, 여기에 속하는 종 중 문서명이 존재하는 생물은 가시발새우이다.

속명은 콩팥의 눈(Nephro + ops), 종명은 노르웨이를 의미한다.


2. 상세[편집]


갑각길이 60 mm, 몸길이 180 - 200 mm. 갑각 색상은 주황색 혹은 붉은색이다. 이마뿔은 짧고 평행하며 2 - 3쌍의 가시가 2열로 위를 향해 나있다. 눈은 병안이며 콩팥 모양이다. 집게다리는 세 쌍이다. 제1집게다리는 길이가 몸길이에 가깝고, 가시가 열을 지어 잘 발달해있으며, 발목마디가 선명하게 붉다.

은신처로 사용할 굴을 파는데, 굴은 보통 깊이 20 - 30 cm에 U자 모양으로 큰 입구 하나와 작은 입구 하나가 있는 구조지만, 간혹 입구가 하나 뿐이거나 수직 통로가 있거나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진 등 다양한 형태일 수도 있다. 매일 짧은 시간 은신처를 나와 사냥과 청소부 활동을 하는데, 서식 깊이에 따라 이런 외출 시간대와 횟수가 달라진다. 주로 연체동물, 극피동물, 갑각류, 다모류를 사냥한다. 해파리 사체의 주요 청소부이기도 하다.

수심 20 - 800 m의 대륙붕대륙사면에서 서식하며, 미사와 점토가 풍부한 진흙질 바닥에서만 생활하므로 이들의 서식지는 30개 이상으로 흩어져 있다. 아이슬랜드, 브리튼 제도, 이베리아 반도의 근해, 노르웨이 해북해를 포함한 대서양, 아드리아 해, 에게 해를 포함한 지중해에 분포한다.

이 종의 구기로부터 공생체인 Symbion pandora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기존의 동물과 구분되는 점이 많아 구륜동물이라는 독립된 문으로 분류되었다.


3. 식재료[편집]


파일:langoustines.webp


  • 빠르게 요리를 보여주는 쇼츠.



유럽 수산업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는 갑각류이다. 아이슬란드프랑스에서는 주로 랑고스틴이라 하며,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스캄피라고 한다. 다양한 요리법이 존재하는데, 머리와 꼬리를 분리해 머리로는 비스크를 만들고 꼬리는 구이를 할 수도 있고, 통째로 반으로 갈라 버터를 올리고 구울 수도 있다.

풍미가 섬세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졌지만 일반적인 아메리카바다가재 등에 비하면 먹을 것이 25% 정도 뿐이다. 유럽에서라면 비교적 싼 값에 살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최고급 새우와 비슷한 가격에 구매해야 하며, 주로 냉동으로 유통되는데 해동하면 단맛이 사라지므로 추천되지 않는다.

요리로서 스캄피라고 하면 이 노르웨이가시발새우를 비롯하여 여러 갑각류를 사용한 음식을 의미한다. 미국에서 스캄피는 보통 조리 형태를 의미하며, 슈림프 스캄피나 치킨 스캄피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영국에서는 스캄피가 식품표시법에 의해 노르웨이가시발새우를 의미하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새우 요리를 대접 받기도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15:16:58에 나무위키 노르웨이가시발새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노르웨이바닷가재".[2] 노르웨이가시발새우를 포함한 여러 갑각류를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3] 가시발새우를 비롯한 가시발새우속의 종들 혹은 큰징거미새우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탈리아어 scampo에서 유래.[4] "바다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