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드라고슈사스보그단 1세페트루라슈쿠
페트루 1세로만 1세슈테판 1세이우가알렉산드루 1세
일리아슈슈테판 2세일리아슈슈테판 2세페트루 2세
로만 2세페트루 2세로만 2세페트루 2세치우바르 보다
알렉산드루 2세보그단 2세페트루 3세 아론알렉산드루 2세페트루 3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페트루 3세 아론슈테판 3세보그단 3세슈테판 4세
페트루 4세 라레슈슈테판 5세알렉산드루 3세 코르네아페트루 4세 라레슈일리에 2세 라레슈
슈테판 6세 라레슈이오안 1세 졸데아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이오안 2세 야콥 헤라클리드슈테판 7세 톰샤
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보그단 4세이오안 3세 첼 비테아즈페트루 6세 슈체아풀이오안 4세 피드코프
이오안 5세 사술페트루 6세 슈체아풀아론 트리아눌알렉산드루 5세 첼 라우페트루 7세 카자쿨
아론 트리아눌슈테판 8세 라즈반이에레미아 모빌라미하이 1세이에레미아 모빌라
시미온 모빌라미하이 2세 모빌라콘스탄틴 모빌라미하이 2세 모빌라콘스탄틴 모빌라
슈테판 9세 톰샤알렉산드루 6세 모빌라라두 미네아가슈파르 그라치아니알렉산드루 7세 일리아슈
슈테판 9세 톰샤라두 미네아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알렉산드루 8세 코코눌모이세 모빌라
알렉산드루 7세 일리아슈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모이세 모빌라바실레 루푸게오르게 슈테판
바실레 루푸게오르게 슈테판게오르게 기카콘스탄틴 셰르반슈테판 루푸
콘스탄틴 셰르반슈테판 루푸유스트라티에 다비자게오르게 두카일리아슈 알렉산드루
게오르게 두카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안토니에 루세트게오르게 두카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콘스탄틴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콘스탄틴 두카안티오 칸테미르콘스탄틴 두카미하이 라코비차
안티오 칸테미르미하이 라코비차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디미트리에 칸테미르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미하이 라코비차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이오안 마브로코르다트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요르다케 스타브리치콘스탄틴 라코비차
마테이 기카콘스탄틴 라코비차스카를라트 기카이오안 테오도르 칼리마치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그리고레 칼리마치그리고레 2세 기카콘스탄틴 모루지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델리베이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피라리스알렉산드루 입실란티마놀레 지아니 루세트알렉산드루 모루지미하이 수추
알렉산드루 칼리마치콘스탄틴 입실란티알렉산드루 수추알렉산드루 모루지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알렉산드루 모루지알렉산드루 한제ㅂ를리스카를라트 칼리마치베냐민 코스타체스카를라트 칼리마치
미하이 수추베냐민 코스타체슈테판 보고리디이오안 스투르다미하이 스투르다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테오도르 발슈니콜라에 보고리데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Dimitrie Cantemir
파일:칸테미르.jpg
출생1674년 10월 26일
불명
사망1723년 8월 21일 (향년 49세)
드미트롭스크
국적파일:몰다비아 공국 국기.png 몰다비아 공국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1. 개요
2. 생애
3. 학자로서의 업적




1. 개요[편집]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는 몰다비아 공국 출신의 문인이자 학자이다. 특히 철학, 역사학, 음악학, 언어학, 민족학에 대한 정통한 연구와 저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아들인 안티오쿠스 칸테미르 또한 러시아의 대표적인 시인이다.


2. 생애[편집]


몰다비아 출신이며, 크림 칸국타타르족 계열 귀족 가문인 칸테미르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서양고전학을 익히기 위해 이아시에서 그리스어라틴어 및 문학, 역사학 교육을 받았으며, 1687년부터 1710년까지 코스탄티니예의 궁전에 거주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지도를 받아 오스만어, 오스만 제국의 역사, 터키의 음악 등을 학습하였다.

이후 1693년 몰다비아 공국의 공작이었던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가 사망하자 형인 안티오흐 칸테미르가 뒤를 이었으며,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는 계속 오스만 제국에 머무르며 군인으로 활동했다. 그 뒤 1710년 형의 뒤를 이어 몰다비아 공국의 공작이 되었으며, 루츠크에서 루스 차르국과 비밀 협정을 맺은 뒤 1711년 프루트 강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을 배신하고 루스 차르국의 표트르 1세를 지원하였다. 하지만 전쟁은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오스만 제국은 몰다비아 공국의 지배권을 그리스계파나리오테스에게 넘긴 뒤 칸테미르 가문이 루스 차르국으로 망명하도록 압박하였다.

그 뒤 칸테미르는 러시아 제국오룔에서 거주하였으며, 러시아 제국의 표트르 1세 및 신성 로마 제국카를 6세로부터 각각 크냐즈와 대공 작위를 부여받았다. 이후 1723년 하르코프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1935년 시신이 이아시로 옮겨져 안장되었다.


3. 학자로서의 업적[편집]


칸테미르는 생전에 루마니아어, 라틴어, 그리스어, 오스만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독일어, 슬로베니아어, 헝가리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 약 10종의 언어를 완전히 습득했으며, 루마니아 지역과 동양에 대한 다양한 역사서, 지리서, 철학서 등을 저술하였다.

또한 《오스만 제국의 흥망에 관한 역사》[1]를 편찬해 당시 유럽에서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오스만 제국 역사에 대한 기록물을 남겼으며, 이는 라틴어로 쓰여진 뒤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으로 번역된 사본이 서유럽에 전파되었다. 이외에 몰다비아 지역에 대한 최초의 지리서인 《몰다비아에 관한 서술》(Descriptio Moldaviae)을 집필했으며, 약 40여곡의 오스만 고전 음악을 작곡하거나 350여가지의 기악곡을 오스만어로 채보를 제작해 아흐메트 3세에게 헌정하는 등 음악 분야에서도 깊은 조예를 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9:44:46에 나무위키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istoria incrementorum atque decrementorum Aulae Othomanic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