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하이펑

덤프버전 :

린하이펑 / 린 카이호
林海峰[1] / Rin Kaiho

파일:rinkaiho.jpg
직업
바둑기사
소속
일본기원
생년월일
1942년 5월 6일 (81세)
국적
[[대만|

대만
display: none; display: 대만"
행정구
]]
|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출신지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시
[2]
입단
1955년
단급
九단
누적우승경력
35회

1. 개요
2. 경력
3. 기타
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4.1. 한국 기사



1. 개요[편집]


일본프로 바둑 기사. 상하이 출신이지만(본적저장성.) 국적은 중화민국이다.[3] 한국, 일본에서는 한자를 그대로 읽은 임해봉, 린카이호로 알려져 있다.[4] 여권 영문명칭도 일본어 발음처럼 Rin Kaiho로 되어 있다.[5]

젊었을 때 끈질긴 기풍으로 이중 허리라고 불렸으나, 장년 이후에는 전투적으로 바뀌었다. 동갑내기 라이벌인 오타케 히데오와 함께 죽림(竹林)이라고도 한다.


2. 경력[편집]


1952년 10세 때 대만을 방문한 우칭위안과 6점 접바둑을 둔 다음 그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일본으로 오게 된다. 1956년 12세에 입단했는데 이는 당시 최연소 기록으로 훗날 조치훈이 경신했다.

1965년 사카타 에이오 명인 겸 혼인보를 4-2로 이기고 23세에 당시 최연소 명인, 1968년 혼인보전에서 사카타 혼인보를 4-3으로 이기고 사카타에 이어 사상 2번째 명인 겸 혼인보가 된다.[6]

1988~89년 후지쯔배에서 결승까지 올라갔지만 다케미야 마사키에게 연달아 우승을 내주었고, 1990년 3회 대회에서 녜웨이핑을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1989~93년 천원전 5연패로 명예 천원이 된 것을 포함해 통산 35개의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15년 8월 조치훈에 이어 사상 2번째로 1400승을 달성했다.


3. 기타[편집]


1973년 이시다 요시오 도전자와의 명인전, 1983년 조치훈 혼인보와의 혼인보전에서 3연패 후 4연승으로 역전 우승했다. 일본 기전에서 3연패 후 4연승으로 뒤집은 기록은 6번 밖에 없는데 그 중 3번을 조치훈, 2번을 린하이펑이 달성했다.

1987년 가토 마사오 명인과의 명인전에서 0-2으로 뒤진 제3국, 1집반 정도 우세한 상황에서 두 수를 연거푸 두는 바람에 반칙패하며 도전에 실패했다.

1993년 고마쓰 히데키와의 본인방전에서 바둑에서 굉장히 드물게 나타나는 장생이 연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명인전 타이틀을 딴 직후 “바둑의 신(神)이 있다면 몇 점 정도로 버틸 수 있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3점 정도면 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고 대답하여 화제가 된 바 있다.

이창호가 10대 때 "존경하는 기사가 누구냐"는 질문을 받고 곧바로 린하이펑이라 대답했으며, 린하이펑 본인도 세계 대회인 제3회 동양증권배 결승에서 이창호에게 패한 다음 의연한 모습으로 복기에 임해 팬들의 칭송을 받았다.[7]

소년탐정 김전일 혈류실 살인사건의 등장인물 카이호 마나부(海峰學)가 린하이펑(林海峰)한테서 이름을 따 왔다. 한국에 번역될 때는 한자가 나오지 않고 그냥 '카이호'라고만 적어서 모르는 사람이 있는 듯.


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편집]



4.1. 한국 기사[편집]


  • 서봉수 九단 4:2

  • 양재호 九단 2:2

  • 유창혁 九단 1:3

  • 이세돌 九단 0:1

  • 이창호 九단 4:9

  • 조훈현 九단 1:7

[1] 한국어 독음은 임해봉.[2]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3] 중화인민공화국이 국적 변경을 제안했지만 응하지 않았다고 한다. 대만의 외성인이니만큼 당연하다. 중화민국이 일본으로부터 타이완섬을 돌려받은 후 아버지의 근무지가 타이베이시로 정해져서 건너갔고 국부천대가 되자 눌러 앉게 된 것이다. 한편 그의 출생 전에 아버지는 외교관으로서 타이베이에 근무했다 귀임하였던 적도 있다(타이베이는 당시 일본령이었으므로 일종의 해외 근무다. 현재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타이베이에는 중화민국 영사관이 있었다.)[4] 90년대 한국의 바둑 방송에서는 임해봉, 섭위평, 마효춘이라는 표기를 썼다. 특히 한중수교 이전에는 중국을 중공이라고 읽고 중국 이름, 지역명은 무조건 한국식 한자음이었다.[5] 조치훈 9단도 조치쿤으로 읽고 왕리청 9단은 오리세이, 장쉬 9단은 쵸우로 읽는다. 반면, 같은 중화민국 사람인 왕정치는 일본에서는 이름은 훈독으로 오 사다하루로 읽는다.[6] 명인 겸 혼인보는 이후 이시다 요시오, 조치훈, 장쉬, 다카오 신지, 야마시타 게이고, 이야마 유타가 차지했다.[7] 린하이펑은 이창호와 세계 대회 결승전을 치르기 전에 이창호는 자기 아들보다도 한 살 어리다며 부담감이 굉장히 많다고 한 적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2:39:59에 나무위키 린하이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