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산 고분군

덤프버전 :






함안 말이산 고분군
咸安 末伊山 古墳群


}}}
주소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484 등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면적
783,619.5㎡
지정연도
2011년 7월 28일
건축시기
가야시대
}}}

파일:말이산 고분군 전경.jpg
함안 말이산 고분군의 전경[1]

1. 개요
2. 특징
3. 대표적 무덤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와 말산리에 소재하는 말이산에 형성된 옛 안라국(아라가야)의 왕릉군. 안라국 지배층들의 묘역으로 사적 제515호이고, 2023년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1963년 도항리 고분군(사적 제84호) ᛫ 말산리 고분군(사적 제85호)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같은 산의 능선에 안라국 세력이 순차적으로 조성한 유적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현대의 행정구역이 갈린단 이유로 각각 도항리/말산리 고분군으로 나누었기에 다소 혼란스러웠다. 그리하여 2011년 각 고분군을 사적에서 해제하고 사적 제515호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하여 재등록했다.

파일:도항리 고분군 위치.jpg
함안군 가야읍 일대는 안라국의 중심지로 이 말이산 고분군을 비롯하여 남문외 고분군과 같은 대형의 고분군들이 자리잡았다. 더불어 傳 안라국 궁성지가 이 고분군의 서쪽편에 있으며 이 중심지를 방어하는 산성들이 가야읍의 주변으로 분포한다.

특히 말이산 고분군을 비롯한 안라국의 영역 또는 영향력 아래의 지역이었던 곳의 유적에서는 안라국 특유의 화염문투창고배로 대표되는 안라국 양식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말이산 고분군에서도 화염문투창고배가 많이 나왔다.[2] 그뿐만 아니라 안라국 특유의 오리나 새 모양 장식이 있는 유자이기(有刺利器)[3]가 출토되는 것이 특징이며 말이산 고분군의 대형분들을 비롯한 일대의 상위 신분의 무덤에서만 출토된다. 이 일대의 지명을 비롯해 왕릉급의 고분, 왕성의 존재[4], 양식화된 토기들, 정체성을 표상하는 유물들의 존재로 말미암아 안라국의 중심지로 보는 데에 이견이 없고, 그 중심에 말이산 고분군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경북 고령군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경남 김해시대성동 고분군, 창녕군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군송학동 고분군, 합천군옥전 고분군, 전북 남원시의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함께 가야 고분군(Gaya Tumuli)이란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며 2023년 5월 가야 고분군에 '등재권고' 조치가 내려졌다.# 마침내 2023년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 특징[편집]


해발 60 m 안팎인 작은 봉우리들이 2 km에 걸쳐 늘어선 산등성이 위에 지름 40.2 m에 달하는 가야 최대 고분 등 대형봉분이 줄지었다. 서쪽으로 뻗은 가지능선까지 아름다운 경관이 이어지는데, 능선을 따라 곳곳에서 인생사진을 남기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또한 함안박물관에 들러 안라국의 역사를 알고 오르면 더 큰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다양한 야생화와 들풀을 관찰할 수 있으며, 별자리 덮개돌 발견 이후 별을 관찰하는 행사도 수시로 열린다. 말갑옷, 배모양토기, 집모양토기 등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이 출토된 곳이기도 하다.

3. 대표적 무덤[편집]


  • 마갑총 - 말이산 고분군의 최북단이지만 지금은 개발 때문에 지형이 바뀌었다. 아파트 단지 속에 마갑총 자리라는 표지석이 있다. 말이산 고분군의 고분들 가운데서 비교적 빠른 4세기 후엽에 해당한다. 무덤에서 말갑옷(馬甲)이 나와 '마갑총'이란 이름이 붙었다.
  • 말이산 4호(구 34호)[5] - 말이산 고분군의 최대형분. 이마니시 류(今西 龍 1875-1932)가 조사했기 때문에 '말이산 4호'보다 '구 34호'라는 명칭이 익숙하기도 하다. 이때 처음으로 아라가야 고분에서 확인되는 감실(龕室)[6]이라는 시설이 확인되었다.
  • 말이산 6호[7] - 말이산 4호에서 서쪽으로 나온 구릉에 위치한다. 5세기 왕릉이라고 추정한다.
  • 말이산 8호[8] - 말이산 4호에서 서쪽으로 나온 구릉 상에 위치한다. 5세기 왕릉이라고 추정한다. 조사를 통해 다섯 사람의 순장 인골이 확인되었다.
  • 말이산 13호 - 말이산 구릉의 남단에 위치하며, 2018년 말 무덤의 덮개석 하나에서 별자리판이 발견되어 언론에 보도되었다.[9] 2021년 역사스페셜에서 다루었다. ##
  • 말이산 100호 - 말이산 구릉의 남단에 위치한 5세기 후반 왕릉급 대형분
  • 말이산 101호 - 말이산 구릉의 남단에 위치한 5세기 후반 왕릉급 대형분
  • 암각화고분 - 암각화가 새겨진 돌을 석곽의 뚜껑돌[蓋石]으로 사용하여 '암각화 고분'으로 명명했다.

4. 여담[편집]


과거에는 닭이 헤집어 놓은 듯이 고분 번호가 아주 난잡했다. 지금은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통일된 호칭체계를 부여했지만, 불과 2000년대까지만 해도 말이산 고분군과 관련된 고분을 공부하려면 먼저 고분 번호부터 암기해야 했다. 말이산 고분군 명칭을 난잡하게 붙였다가 정리한 대강의 사정은 다음과 같다.

  • 현재는 이 고분군이 위치한 산을 끝 말(末) 자를 써서 말산(末山)이라 부른다. 그러나 말산은 옛날에 말이산으로 불렸다. 말이산(末伊山), 또는 마리산은 '머리산'을 뜻한다. 원래는 안라국의 시조가 등장하고, 역대 왕들이 묻혔던 우두머리의 산이었다.

  •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사학자 이마니시 류(今西 龍)가 처음 조사하면서 말이산 고분군의 대형분에 처음으로 호수를 지정하였다. 舊 0호로 부른다.
  • 해방 이후 1981년에 함안군이 이마니시 류가 정한 번호의 역순으로 대형분에 새롭게 호수를 지정하였다. 現 0호로 부른다.
  • 1984, 86년 창원대학교 박물관이 말이산 북쪽 능선의 일부를 조사하고 새로운 고분이 일부 추가하여 昌 0호[10]라고 이름을 매겼다.
  • 90년대 들어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이 대형분들을 발굴조사하며 文 0호[11]라고 이름을 매겼는데, 現 자 명칭과 혼용되었다.
  • 위의 거론된 시간들 사이사이에 주변의 필지 개발 및 정비사업이 이루어지면서 크고 작은 발굴들이 있었다. 경남고고학연구소, 경남발전연구원, 경상문화재연구원,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등이 현재까지 말이산 고분군 일대의 발굴에 참여하였다. 물론 대부분 각 기관의 발굴범위 안에서 나온 중소형분들은 1호부터 번호를 매겼으므로 구분이 필요했다. 경남고고학연구소는 , 경남발전연구원은 경발연,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12] 등으로 구분했다.
  • 물론 現 6호분이 발굴되는 시점까지도 도항리와 말산리로 나뉘었기 때문에 도항리 0호말산리 0호는 다른 고분이었고 관련분야 사람들 사이에서도 사용하는 명칭이 갈렸다. 눈치껏 알아듣는 수밖에 없었다.(...)

말이산 고분군 발굴은 이후 말이산 100호와 101호 부근으로 말이산의 남단까지 내려갔는데[13] 명칭 문제를 어느 정도 정리하였기 때문에 이후의 고분에는 호칭 문제가 거의 없다.

  • 남문외고분군과의 사적 통합지정
    • 2021년 4월 27일 문화재청이 말이산고분군과 남문외고분군 간 문화재 통합지정을 예고하였다. 남문외고분군 발굴조사로 두 고분군 사이 역사적 연관성이 확인되어 25만 1596 ㎡ 지정구역 추가를 예고했다.문화재청공고제2021-187호
    • 확대여부가 최종결정되면 사적지정면적이 77만 8820 ㎡로 늘어나 규모로는 경남에서 최대, 전국에서는 두 번째인 고대무덤유적이 된다.관련기사

고고사학 외적인 사항으로는 함안군 가야읍, 특히 아라초등학교를 나온 학생이라면 높은 확률로 이 곳에서 비료푸대 깔고 천연 썰매를 즐기다가 함안군청 직원에게 혼난 경험이 있거나, 혹은 그런 학생이 주변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나는 안 탔어도 우리 반에 그렇게 혼난 놈은 있었지"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거 풍납초등학교 나온 사람들도 그러던데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8:22:36에 나무위키 말이산 고분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왼쪽의 가장 큰 무덤이 구 34호, 현재는 4호분으로 불리는 무덤이고 그 오른쪽 능선으로 8, 6, 6-1호가 위치한다.[2] 사실 화염문투창고배보다 다른 안라국 양식 토기들이 훨씬 많이 출토되었다. 다만 화염문투창고배 그 자체만으로도 안라국의 정체성을 나타낸다고 할 만큼 대표성이 있다.[3] 정확한 기능을 몰라서 '찌르기 용이한 철기'라는 뜻으로 한자를 조합해 명칭을 만들었지만, 지금은 한자의 의미를 무시하고 관용적으로 이러한 유물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한다. 순우리말 용어로는 '미늘쇠'라고 하는데, 아마 태극기의 국기봉 같은 기능을 했으리라 추정한다. 참고로 옥전 고분군에도 특유의 유자이기가 출토된다.[4] 실제로 왕성인지는 다소 재론의 여지가 있다. 토성이라고 여긴 흙무더기를 조사해보았더니 일제강점기에 만든 제방이었다.[5] 가장 위쪽 사진 왼쪽에 있는 대형분이다.[6] 원래 '감실'은 유교에서 위패를 모셔두는 작은 나무장을 말한다. 한국 천주교도 성체를 모시는 작은 시설을 감실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정말로 위패는 아니겠지만, 뭔가 작은 것을 올려놓거나 보관하기 딱 좋은 어떤 공간을 현대의 학자들이 임의로 감실이라 부를 뿐이다. 실제로는 개석을 받치는 시설을 위한 공간이라는 견해가 많다.[7] 가장 위쪽 사진 4호분 오른쪽 산등성이 가운데에 있는 고분이다.[8] 가장 위쪽 사진 4호분 오른쪽 산등성이 좌측 고분이다.[9] 함안군은 이를 계기로 2019년부터 말이산 별축제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10] 창원대의 昌[11] 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했다는 의미[12] 現 6호분은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했는데 대형분이므로 굳이 동 6호로 부르진 않았다. 다만 현 6호분 앞에 또 작은 무덤들(...)이 있는데 그런 고분을 말할 때 동 0호라는 식으로 부른다.[13] 어쩌다 보니 말이산 고분군의 발굴조사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