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더 개더링/세트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매직 더 개더링/제품




파일:MTG_Primary_logo.png
매직 더 개더링 확장판
[ 기본판 및 확장판 ]
사용 가능 범위:
기본판
Limited Edition Beta
확장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이니스트라드: 핏빛 서약{{{#!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카미가와: 네온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뉴 카펜나의 거리{{{#!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형제 전쟁{{{#!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기계군단의 행진 | 그 이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엘드레인의 야생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befafa;"
익살란의 잃어버린 동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f5f5f5;"
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발매 예정{{{#!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f5f5f5;"
Outlaws of Thunder Junction발매 예정{{{#!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f5f5f5;"
Bloomburrow발매 예정{{{#!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f5f5f5;"
Duskmourn: House of Horror발매 예정

⠀[ 특별 세트 ]⠀
사용 가능 범위:
모던 직행 세트
>

Modern Horizons III발매 예정
다인전 전용 세트
>
Unset
>
Universes Beyond
>

Assassin's Creed발매 예정

Final Fantasy발매 예정
리마스터 세트
Tempest Remastered온라인 전용
>

Dominaria Remastered

Ravnica Remastered발매 예정

Innistrad Remastered발매 예정
기타
Secret Lai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1px solid gray; padding:0 3px; margin:1px 2px; background: #f5f5f5;"
Jumpstart (히스토릭 호라이즌아레나 전용 | 2022)




1. 기본판(Core set)
1.1. 역대 기본판 목록
2. 확장판(Expansion Set)
2.1. 블록
2.2. 역대 확장판 목록
2.2.1. 초기 확장판
2.2.2. 1블록 3세트 체제
2.2.3. 1블록 2세트 체제
2.2.4. 개별 세트 체제


Premier set

매직 더 개더링의 정규 세트는 발매 즉시 스탠다드에서 빈티지까지를 포함한 모든 상/하위 경쟁 포맷에서 사용이 가능한 세트를 의미한다. 특히 스탠다드는 포맷 자체가 정의상 최근 3년간 발매된 정규 세트 카드만 사용이 가능하다.[1] 그런만큼 정규 세트 제품들은 위자드사가 심혈을 기울인 플레이테스트를 통해 파워 밸런스와 재미를 동시에 잡도록 노력하고 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정규 세트 제품은 1년 주기[2]에 4회 발매가 원칙이다[3]. 정규 제품이 발매되지 않은 해는 한 번도 없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발매될 예정인 제품으로, 명실상부 매직 더 개더링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제품군이다.

정규 세트는 기본판(core set)과 확장판(expansion set)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기본판은 2021년 이후로 발매되지 않기에 현재는 정규 세트=확장판 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기본판과 확장판이 무엇인지는 아래 설명 참조.


1. 기본판(Core set)[편집]


이름답게 기본적인 성능의 카드, 익숙한 재판 카드, 에버그린 메커닉[4] 등을 주로 사용하면서 '중간 정도의 복잡성'을 추구하는 세트로, 숙련자도 초보자도 아닌 '보통 수준의 플레이어'들에게 어필하는 제품이다. 코어 세트만 뜯으면서 매직을 즐기는 그런 '보통' 플레이어가 실제로 매직 역사상 존재하긴 했는지는 일단 제쳐두자

컨셉에서 느껴지겠지만 더럽게 재미없는 세트라는 악평이 많었다. 기본적이고 익숙한 카드만을 가지고 리미티드 포맷 게임을 하니 당연히 지루하기 그지 없는 것. 그렇다고 값나가는 카드를 뽑는 재미가 있는 것도 아니었다. Revised 부터 10판까지의 긴 기간 동안 기본판은 재판만을 담당하는 일명 '화이트보더 세트'였기에[5] 기본판에서는 낙원의 새신의 분노 빼고는 아무 것도 없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 이러니 매출도 확장판에 비해 저조한 편이었다. 이러한 비판을 반영하여 Magic 2010부터는 재판 전문이라는 기조를 허물고 새롭고 강한 카드를 포함시키기 시작하여 태초의 거신이나 망자들의 벌판 같이 환경을 황폐화시키는 카드를 배출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메타적으로는 스탠다드 덱들의 속도와 다양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맡는데, 스탠다드 덱을 짜는데 베이스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몇몇 카드들을 줬다 말았다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벼락을 내주느냐 아니면 충격을 대신 내주느냐, 또는 구속이나 마나 유실같은 카드들을 내주느냐 마느냐 등의 선택만으로도 환경에서 자주 쓰이는 몇몇 카드를 완전히 물먹여버릴 수 있고, 반대로 환경에서 외면받던 카드를 흥하게 만들어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기본판의 네이밍은 맨 처음 1~3번째 판까지는 Limited(Alpha, Beta), Unlimited, Revised로 통일성 없이 나오다가 4판에서 10판까진 4th Edition, 5th Edition 등 서수를 붙이는 형태가 나타났다. 그러다가 최종적으로 2009년부터는 Magic 2010 Core Set처럼 출시한 년도의 다음 년도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정착했다.[6] 기본판의 영문 명칭도 Basic set/Base Set 등이 혼용되다가 이 시기에 Core Set으로 확정되었다.

발매 주기는 년도 표기 세트부터 1년 주기에 1회 발매 주기로 발매되었지만 10th Edition 이전까진 2년 주기에 1회 발매였다. 그래서 기본판이 출시되지 않는 해엔 세트 하나 분량이 비었고 이를 땜빵하기 위해 Unset(공식대회와는 관련 없는 개그세트), 콜드스냅(과거 블럭 이야기), 로윈-셰도우무어(1블럭이 4세트) 등의 기획이 나왔었다.

기본판은 두 번 단종되었는데, 단종의 원인은 확장판 발매 주기의 변경이었다. 2015년에 1블록 2세트를 연 2회 발매하는 것으로 블록 구조와 스케줄을 변경하면서 기본판을 낼 여유가 없어지면서 매직의 기원 기본판을 끝으로 한번 단종되었다. 2018년에는 블록 개념이 폐지되고 1년에 기본판을 1회, 확장판을 3회를 발매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다시 기본판이 부활했다. 2021년부터는 그냥 확장판만을 연 4회 발매하는 것으로 또 한번 스케줄을 변경하면서 코어세트 2021를 마지막으로 두번째로 단종을 맞았다. 개발 중이던 코어세트 2022는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이라는 확장판 세트로 개조되었다.


1.1. 역대 기본판 목록[편집]


이름약자발매년도카드개수
아래로 빈티지·레거시 포맷
Limited Edition AlphaAlpha1993년295장
최초로 나온 기본판.
Limited Edition Beta (한정판 베타)Beta1993년302장
알파에서 실수로 빠진 Volcanic Island 등 2장과 5종의 기본 대지가 포함된 것을 제외하면 알파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본판.
Unlimited Edition(언리미티드; 2nd)UL1993년302장
베타와 같은 구성, 화이트 보더.
Revised Edition (개정판; 3rd Edition)3rd1994년306장
확장판의 카드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영어말고 다른 언어로도 나오기 시작한다. 화이트 보더.
4판(4th Edition)4th1995년378장
화이트 보더. 최초의 한글판도 출시(블랙 보더).
5판(5th Edition)5th1997년449장
가장 카드 장수가 많은 기본 셋이다. 한글판으로 출시. 화이트 보더
6th Edition(6th Edition, Classic)6th1999년350장
기존의 batch 룰을 대체하는 스택 룰이 생겼으며, 그 외에도 조잡하고 예외가 많았던 규칙들을 일신해서 현대 매직 룰의 기초를 세웠다. 기본판에도 세트 마크가 생기기 시작했다.
7th Edition (7th Edition, "Coreset")7th2001년350장
매직 온라인에서 처음 출시된 기본판. 모든 카드의 일러스트를 새로 그렸다. 기본판 포일(블랙보더)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아래로 모던 포맷
8th Edition (8th Edition, "Coreset")8th2003년357장
카드 프레임 레이아웃이 바뀌었다. 모던 포멧 사용 가능 범위 시작. 매직 더 개더링의 10주년을 기념하여 모든 세트에서 한 번도 재판되지 않은 카드들을 하나씩 뽑아 재판했다.
9th Edition (9th Edition, "Coreset")9th2005년359장
러시아어판이 처음 나온 판이기도 하다, 마법진 유형으로 개편
10th Edition (10판, "Coreset")10th2007년383장
기본판도 검정 테두리(블랙 보더)로 출시하기 시작, 기본판에서 전설카드가 등장.
Magic 2010 Core SetM102009년249장
기본판이 매년 나오기 시작. 재판카드가 아닌 새로운 카드가 수록되기 시작. 추방(Exile), 발동(Cast), 전장(Battlefield) 등의 용어 개정. 마나풀에 대한 규칙 변경과 마나번 규칙의 삭제. 전투대미지 스택이 사라짐.
Magic 2011 Core SetM112010년249장
돌아온 키워드 : 점술(Scry)
매직 2012 코어세트(Magic 2012)M122011년249장
한글판 재출시가 시작된 세트. 돌아온 키워드 : 피굶주림(Bloodthirst) 새로운 키워드 방호(Hexproof) 등장.
매직 2013 코어세트(Magic 2013)M132012년249장
돌아온 키워드 : 고귀(Exalted) 기본판 최초로 다색 카드 등장.
아래로 파이어니어 포맷
매직 2014 코어세트(Magic 2014)M142013년249장
슬리버 재등장. '플레인즈워커 유일성 규칙'과 '전설 규칙'에 변경이 생김. '파괴될 수 없다.'가 무적(Indestructble)이라는 키워드로 변경. 파이어니어 포맷 사용 가능 범위 시작.
매직 2015 코어세트(Magic 2015)M152014년270장
카드 프레임 변경. 다른 게임 디자이너 초청해서 만든 카드들이 존재.
매직의 기원(Magic Origins)ORI2015년272장
블럭 구조 개편 이전 마지막 기본판


2. 확장판(Expansion Set)[편집]


새로운 메카닉, 새로운 등장인물과 세계관, 복잡하지만 강한 성능의 신카드 등이 도입되는, 기본판과는 대비되는 세트. 공식적으로는 가장 '숙련된' 플레이어 그룹을 대상으로 발매되는 제품이라지만, 실제로는 뉴비건 올드비건 무슨 포맷을 즐기건 간에 모든 매직 더 개더링 플레이어는 가장 최신의 확장판에 영향을 받게 된다.

새로운 등장 인물과 카드가 나오므로 매직 더 개더링 세계관의 정사 스토리라인도 확장판의 발매를 통해 주로 진행된다. (신규 카드 세트라도 커맨더 덱 같은 특별 세트들은 사이드 스토리, 또는 메인 스토리라인과 무관한 그들만의 리그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기본판이 스탠다드 포맷의 메타를 '조절'하는 세트라면 확장판은 스탠다드 포맷의 메타를 '주도'하는 세트이다. 스탠다드 티어 덱은 그 파워가 확장판에서 인기를 끌고 검증받은 카드나 콤보의 잠재력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며, 만약 그 카드가 돈법사의 예측을 벗어날 정도로 '망가진' 카드라면 모던이나 레거시, 빈티지까지 진출하기도 한다.

이런 파워 카드가 너무 많은 확장팩은 판매량도 당연히 수직 상승해서 단기적으로는 좋으나. 스탠다드 환경의 다양성을 망치고 후속 확장팩의 기획을 어렵게 하며, 심지어 후속 확장팩의 판매량을 잡아먹는 팀킬까지 일으키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우르자 블록, 미로딘 블록, 칼라데시 블록의 확장판들, 엘드레인의 왕좌 확장판이 과도한 파워 레벨로 유명했다.

반면에 파워 카드가 너무 없는 확장팩은 그것대로 겁쟁이같은 세트 디자인이라며 욕을 먹고 판매량도 하락해 매직판의 분위기를 침체시킨다. 멜카디언 블록, 카미가와 블록, 아몬케트 블록, 젠디카르 전투 블록의 확장판들이 카드 파워가 낮기로 유명했는데, 잘 보면 너무 강한 확장판과 너무 약한 확장판은 시기적으로 붙어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말인즉슨 극단적인 밸런싱을 하다가 거기에 얽힌 확장판이 다 망한다는 뜻이다(...) 이를 보면 확장판의 파워 레벨을 맞추기는 노련한 돈법사에게도 어려운 일인 듯.

발매 주기는 1년 주기에 3~4회 발매로, 기본판이 발매되던 시기엔 3회, 기본판이 폐지된 시기엔 4회 발매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


2.1. 블록[편집]


2018년 이전까지 확장판 세트들은 블록이라는 그룹으로 묶이는 것이 전통이었다. 블록은 같은 장소, 같은 시간대의 큰 스토리 하나를 연속해서 풀어나가고, 발매 시기 또한 연달아서 나오는 세트들의 모음이며, 주로 2개~3개의 확장판 세트로 구성된다. 블록 내의 각 확장팩 세트들은 블록 전체를 아우르는 컨셉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이며, 미로딘 블록 이후로는 하나의 블록 = 하나의 차원이라는 공식까지도 유지하며 같이 묶이는 세트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게임 내적으로도 블럭 내의 확장판들은 주요 메인 키워드 능력이나 카드 사이클 등을 공유하며, 부스터 드래프트시에도 같은 블록 내의 확장팩 부스터를 섞어서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7], 심지어 포맷 로테이션 아웃도 블록 내 모든 확장판이 한날 한시에 빠져나가는[8] 끈끈한 관계이다.

관례적으로 블럭의 첫 세트는 240종 이상의 카드가 등장하는 대형 확장판(large expansion)으로 발매하고, 뒤따르는 두 세트는 200종 이하의 카드가 등장하는 소형 확장판(small expansion)으로 발매했었으나[9] 예외는 상당히 많아서, 라지/라지/스몰, 라지/스몰/라지 등의 변종 구조도 꽤 있었다.

이토록 유기적인 연결 관계가 있는 개념인지라 2018년에 블록 구조의 완전 폐지는 매직 더 개더링 유저들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어쨌든 그 이후로 블록 개념은 사라졌다. 모든 확장판 세트들은 단독으로 대형 확장판으로 발매되며, 리미티드 게임도 단 하나의 세트만으로 하게 된다. 스토리적으로는 한 세계관이 여러 세트에 걸쳐 나타날수도 있고, 한 세트만으로 끝날 수도 있는 등 좀 더 유동적으로 페이스가 조정된다.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여러 세트가 같은 메커니즘을 공유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세계관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세트가 구성된다.


2.2. 역대 확장판 목록[편집]



2.2.1. 초기 확장판[편집]


Early Expansions

확장판이나 블록이라는 개념이 단단하게 정립되기 전이라 모든 세트들이 개별적으로 출시되었다.

이름약자발매년도카드개수비고
아래로 빈티지·레거시 포맷
Arabian NightsARN1993년12월78+14장천일야화를 컨셉으로 삼은 세트, 한참후에 라비아차원이 배경이라고 설정됨
AntiquitiesATQ1994년3월100장오리지널 스토리 형제 전쟁을 기반으로 도미나리아을 배경으로한 마법물체 중심 세트
LegendsLEG1994년6월310장최초로 전설적 생물과 다색 카드가 등장, 도미나리아가 배경
The DarkDRK1994년8월119장형제 전쟁 후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세트, 도미나리아가 배경
Fallen EmpiresFEM1994년11월187장형제 전쟁 후 도미나리아 남쪽대륙 사르파디아를 배경으로 한 세트, 역대급 악성 재고로 유명
HomelandsHOM1995년10월140장홈랜드차원이 배경이된 세트

2.2.2. 1블록 3세트 체제[편집]


확장판 3개 세트가 3개월 주기로 발매되어 한 블록을 이루었고, 기본판이 한개 발매되어 1년 주기를 완성했다.

10판까지는 기본판이 2년에 한번만 발매되어, 기본판이 없는 년도에는 다른 보조 세트가 네 번째 상품 슬롯을 채우는 형태였으나, 매직 2010부터는 기본판이 1년에 한번씩 발매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빈틈없는 제품 발매 스케줄을 갖추기 되었다.

이름한국어명발매년도비고
Ice Age아이스 에이지1995-1996, 2006년콜드스냅(2006)이 발매되어 블록 구성이 완성됨, 배경 도미나리아
Mirage미라지 블록1996~1997년블록 구성판중 비젼,웨더라이트는 한글판 출시,웨더라이트호의 모험 스토리 시작, 배경 도미나리아
Tempest템페스트 블록1997~1998년구 한글판 중 유일하게 전체가 번역, 배경 도미나리아,래스
Urza's우르자 블록1998~1999년'우르자 사가'까지가 구 한글판, '우르자 레가시'는 처음 포일카드가 포함, 배경 도미나리아,피렉시아
Masques멜카디언1999~2000년템페스트 블록에서 이어진 웨더라이트호의 모험 스토리라인, 배경 메르카디아
Invasion인베이젼2000~2001년웨더라이트호의 모험의 스토리라인의 최종화, 다색 테마, 배경 도미나리아,피렉시아
Odyssey오디세이2001~2002년인베이젼 후의 도미나리아 차원을 배경
Onslaught온슬럿2002~2003년종족 테마, 오디세이의 스토리 연장
아래로 모던 포맷
Mirrodin미로딘2003~2004년마법물체 테마, 미로딘 차원 배경
Kamigawa카미가와2004~2005년일본풍 테마, 위아래로 뒤집어지는 카드, 카미가와 차원 배경
Ravnica라브니카2005~2006년2색 길드 테마, 라브니카 차원 배경
Time Spiral시간의 나선2006~2007년시간의 꼬임(timeshifted) 테마, 도미나리아 차원 배경, Mending이라는 사건 발생
Lorwyn-Shadowmoor로윈-샤도우무어2007~2008년종족 테마, 로윈=샤도우무어 차원 배경
Shards of Alara알라라의 파편2008~2009년인접 3색 샤드 테마, 알라라 차원 배경
Zendikar젠디카르2009~2010년대지 테마, 젠디카르차원 배경, 엘드라지 스토리 시작
Scars of Mirrodin미로딘의 상처2010~2011년마법물체 테마, 미로딘뉴피렉시아 차원 배경
Innistrad이니스트라드2011~2012년고딕호러 테마, 양면 카드, 이니스트라드 차원 배경
아래로 파이어니어 포맷
Return to Ravnica라브니카로의 귀환2012~2013년2색 길드 테마, 라브니카 차원 배경
Theros테로스2013~2014년그리스풍, 부여마법 테마, 테로스 차원 배경
Khans of Tarkir타르커의 칸2014~2015년중앙아시아 테마, 상극 3색 부족 테마, 타르커 차원 배경

2.2.3. 1블록 2세트 체제[편집]


확장판 2세트가 한 블록을 이루고, 1년 주기에 2블럭이 발매된다. 이러면 1년에 4개 제품을 발매하기로 한 정규 세트 발매 스케줄을 확장판만으로 채우게 되므로 기본판은 폐지되었다. 이 시기 동안 스탠다드 책정 범위는 4개 블록으로 연장하여 세트 개수로 따지면 동일하게끔 조절했다.[10]

기본판 없이 밸런스 조절을 한다는 시도가 기막히게 실패하고, 2세트 체계 디자인에 익숙하지 않는 바람에 확장판의 밸런싱도 폭망하여 이 기간동안 대량의 밴 카드가 발생했고(본 문단의 모든 블럭에서 밴카드가 나왔다.), 결국 익살란을 마지막으로 이 체제는 막을 내린다.

이름한국어명발매년도비고
Battle for Zendikar젠디카르 전투2015~2016년블록당 2세트의 첫 블록, 젠디카르 차원 배경
Shadows Over Innistrad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2016년고딕 호러 및 코스믹 호러 테마, 이니스트라드 차원 배경
젠디카르 전투 블럭 스토리의 연장.
Kaladesh칼라데시2016~2017년마법물체 특화 테마, 칼라데시 차원 배경
매직 오리진에서 등장한 칼라데시 차원에서 일어나는 스토리.
Amonkhet아몬케트2017년이집트풍 테마, 아몬케트 차원 배경
니콜 볼라스 재등장.
Ixalan익살란2017년~2018년정글풍 및 종족 테마, 익살란 차원 배경
공룡 종족 첫 등장.


2.2.4. 개별 세트 체제[편집]


2018년 4월에 출시하는 도미나리아 세트부터, 블록의 개념이 없어졌다. 동시에 매년 발매되는 확장판 세트의 수는 4개에서 3개로 줄어들고, 덕분에 기본판이 부활하여 매해 여름마다 발매되었다. 즉 스케줄적으로는 예전의 1블록 3세트 체제로 사실상 복귀한 것이며, 블록이라는 제약만 없어진 체제.

2021년에는 나올 예정이던 코어세트 2022를 개발 도중에 확장판인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으로 전환하면서 기본판을 다시 폐지하기로 선언했다. 그 뒤로 매년 발매되는 확장판 세트의 수는 다시 4개로 조정되었다.

2023년에는 스탠다드의 로테이션 기간이 2년에서 3년으로 변경되었다. 덕분에 기존에 로테이션 아웃 예정이던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부터 뉴 카펜나의 거리사이의 확장판들이 엘드레인의 야생지의 발매에도 불과하고 1년 더 스탠다드에 잔류하게 되었다.

세트 이름발매 시기약자주요 키워드 및 메카니즘테마배경 차원비고
영어한국어
Dominaria도미나리아2018년 4월DOM전설적도미나리아
Core 2019코어세트 20192018년 7월M19니콜 볼라스 관련 카드
Guilds of Ravnica라브니카의 길드2018년 10월GRN2색라브니카신 라브니카 트릴로지의 첫번째 세트
Ravnica Allegiance라브니카의 충성2019년 1월RNA2색신 라브니카 트릴로지의 두번째 세트
War of the Spark플레인즈워커 전쟁2019년 4월WAR플레인즈워커신 라브니카 트릴로지의 세번째 세트
니콜 볼라스 아크의 마지막 세트
Core Set 2020코어세트 20202019년 7월M20찬드라 날라르 관련 카드
Throne of Eldraine엘드레인의 왕좌2019년 10월ELD단색동화, 민담엘드레인
Theros Beyond Death죽음 너머의 테로스2020년 1월THB부여마법, 단색그리스 신화테로스
Ikoria: Lair of Behemoths이코리아: 거대괴수들의 소굴2020년 4월/5월IKO상극 3색괴수 테마이코리아코로나19 유행으로 일부 지역 출시 연기
Core Set 2021코어세트 20212020년 7월M21테페리 관련 카드
Zendikar Rising젠디카르 라이징2020년 9월ZNR대지젠디카르
Kaldheim칼드하임2021년 1월KHM2색 및 종족북유럽 신화, 바이킹칼드하임
Strixhaven: School of Mages스트릭스헤이븐: 마법 학교2021년 4월STX상극 2색, 순간마법 및 집중마법마법학교아르카비오스
Dungeons & Dragons: Adventures in the Forgotten Realms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2021년 7월AFR던전 앤 드래곤 - 포가튼 렐름 콜라보레이션
아래로 스탠다드 포맷
Innistrad : Midnight Hunt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2021년 9월MID종족고딕 호러, 인간 vs 괴물이니스트라드
Innistrad : Crimson Vow이니스트라드: 핏빛 서약2021년 11월VOW
Kamigawa: Neon Dynasty카미가와: 네온 왕조2022년 2월NEO마법물체 vs 부여마법일본, 사이버펑크카미가와
Streets of New Capenna뉴 카펜나의 거리2022년 4월SNC친화 3색갱스터 느와르카펜나
Dominaria United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2022년 9월DMU전설적, 다색도미나리아피렉시아 4부작의 첫번째 세트
The Brothers' War형제 전쟁2022년 11월BRO마법물체도미나리아피렉시아 4부작의 두번째 세트
오리지널 스토리 '형제 전쟁' 시점
Phyrexia: All Will Be One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2023년 2월ONE카운터SF 호러뉴 피렉시아피렉시아 4부작의 세번째 세트
March of the Machine기계군단의 행진2023년 4월MOM전투다차원 전쟁여러 차원피렉시아 4부작의 마지막 세트
March of the Machine: The Aftermath기계군단의 행진: 그 이후2023년 5월MAT다차원 전쟁여러 차원피렉시아 4부작의 에필로그
미니 세트(드래프트 불가)
Wilds of Eldraine엘드레인의 야생지2023년 9월WOE부여마법, 토큰동화, 민담엘드레인
Lost Caverns of Ixalan익살란의 잃어버린 동굴2023년 11월LCI지속물, 무덤중앙아메리카, 지하세계익살란
Murders at Karlov Manor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2024년 2월MKM살인 미스테리라브니카
Outlaws of Thunder Junction2024년 4월서부극Thunder Junction
Bloomburrow2024년수인Bloomburrow
Duskmourn: House of Horror2024년모던 호러Duskmourn
코드명 "Tennis"2025년데스 레이스3개 차원
코드명 "Ultimate"2025년타르커
코드명 "Volleyball"2025년스페이스 오페라
코드명 "Wrestling"2025년로윈/샤도우무어
코드명 "Yachting"2026년아르카비오스
코드명 "Ziplining"2026년
코드명 "Amsterdam"2026년
코드명 "Berlin"2026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1 19:29:47에 나무위키 매직 더 개더링/세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런 의미에서 정규 세트를 'Standard-legal set'이라 부르기도 했었으나 지금은 Premier set로 리네임했다.[2] 정확히 1월에 시작하고 12월에 시작한다는 것이 아니라, 1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3] 유일하게 2개의 정규 제품만이 발매된 해가 1996년이었다.[4] 여러 세트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는 메커닉[5] 예전 정책으로는 재판 카드만이 담긴 세트는 카드의 테두리가 하얀색인 화이트보더로 출시되었다.[6] 7월에 출시되는 기본판의 이름을 발매되는 년도로 했다가는 6개월만 지나면 마치 1년 묵은 재고품처럼 느끼지게 되기 때문이었다.[7] 예를 들어 블록 내의 1번 확장팩만이 발매되었을 땐 드래프트 시 1번/1번/1번 부스터를 뜯어서 진행하다가, 2번 확장팩이 발매되면 1번/2번/2번, 마지막 확장팩인 3번 확장팩이 발매되면 1번/2번/3번 부스터를 뜯어서 드래프트를 진행했다.[8] 그런 관계로 블록 내 가장 마지막 확장판은 첫 확장판에 비해 수명이 6개월 짧았다[9] 부스터 드래프트에서는 첫 번째 확장판이 끝까지 계속 쓰이기에, 밸런스 유지를 위한 카드들을 많이 집어넣기 위해 큰 카드풀이 필요했다는 것이 근거[10] 잠깐동안 3개 블럭 체계였던 적이 있었으나, 1년도 안되어 다시 원상태로 롤백되었다. 이렇게 되면 스탠다드 사용 기간이 기존 24개월에서 18개월로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유저들의 엄청난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