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클라우드 어택

덤프버전 :


체스의 오프닝

[ 1...e5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오픈 게임

[ 세미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 1...d5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 세미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 ⚪ 2.Bf4 런던 시스템

⚪, ⚫는 각각 백, 흑의 수순으로 정렬 순서는 Lichess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마스터 사용 빈도를 따름.


봉클라우드 어택
Bongcloud Attack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Pb,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K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none)]
수순
1.e4 e5 2.Ke2?
상위 오프닝
오픈 게임
ECO 코드
C20

1. 개요
2. 이론
3. 파생형
3.1. 어드밴스 바리에이션
3.2. 익스체인지 바리에이션
3.3. 퀸스 봉클라우드
3.4. 킹 데이비드 오프닝
3.5. 프라이드 폭스 어택
4. 사례
5. 기타



1. 개요[편집]



체스오프닝 중 하나로, 오픈 게임에서 2번째 수로 백이 을 올리는 오프닝을 말한다.

어원은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체스닷컴의 유저 Lenny Bongcloud에서 이름을 땄다는 설과 (물담배) 연기라는 뜻 그대로 약을 빤 오프닝이라는 설이 있다.


2. 이론[편집]


백은 킹이 전진함으로써 캐슬링의 기회를 걷어차며, 킹을 공격에 노출시킨다. 또 e4로 열어놓은 비숍의 길 또한 막는다. 기본 원칙을 싹 다 무시한 오프닝으로, 엔진은 이 시점에서 이미 백이 1.5~2.5점 가량 뒤진다고 평가한다.[1]

즉, 백의 조크 오프닝이며 상대를 도발하거나 장난식으로 경기를 두고 싶을 때나 핸디캡을 주고 시작할 때 쓰인다(...). 때문에 일부 체스 선수들은 봉클라우드 어택은 체스에 대한 모욕이라고 말하며 공식 대회에서 이 오프닝을 사용하는 것을 비판하기도 한다. 상대를 빡치게 하거나, 이기지 못하면 개망신이라는 압박감을 줘서 실수를 유도할 수는 있겠다.

따라서 백은 생존모드로 들어가 빡친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며 킹을 안전한 위치로 피신시킨 뒤 반격하는 형태로 게임이 진행된다.


3. 파생형[편집]


꼭 이 수순을 따르지 않더라도 킹을 극초반에 움직이는 오프닝을 통틀어 봉클라우드(계열)라고 한다. 상대의 대응에 상관 없이 내 도발 행동을 끝마친다는 점에서 시스템 오프닝으로 볼 수도 있겠다.


3.1. 어드밴스 바리에이션[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Kw,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3.Ke3)]
하이퍼모던 이론에 입각해 킹으로 중앙을 컨트롤하겠다는 의도를 가진 수이다.
킹이 한 칸 더 앞으로 나간다. 엔진은 이 시점에서 백이 대략 마이너 피스 두 개 땐 것 만큼 불리하다고 평가한다.

3.2. 익스체인지 바리에이션[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Kw, e1=Qw, f1=Bw, g1=Nw, h1=Rw,
caption=3.Qe1 4.Kd1)]

퀸과 킹의 위치를 바꾼다. 킹의 안전은 그나마 낫지만 4턴을 버렸다는 단점이 있다.

망누스 칼센은 방송에서 c3, f3이후에 Qa4, Qh4 Kd1, Qe1으로 퀸이 내 진영을 한바퀴 순찰하고 돌아오는 봉클라우드를 쓴 적이 있다.


3.3. 퀸스 봉클라우드[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Kw, e2=P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1.d4 d5 2.Kd2)]
클로즈드 게임에서 쓸 수 있는 봉클라우드. 물론 오리지널 봉클라우드(1.e4 e5 2.Ke2) 처럼 백에게 불리한 오프닝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3.4. 킹 데이비드 오프닝[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King David's Opening ,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Pb,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K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2.Ke2)]
시실리안 버전 봉클라우드 어택이다. 1...c5가 전개를 돕는 수가 아니기 때문에 봉클라우드보다는 덜 위험하다.


3.5. 프라이드 폭스 어택[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Pw, f3=Pw,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K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1.f3 2.Kf2 3.e3)]

해머슐레그 바리에이션이라고도 한다. 오리지널 봉클라우드에 비해 수동 캐슬링이 쉬워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봉클라우드. 물론 폰을 f3으로 옮기면서 중앙 전개를 하지 못하며, 대각선이 노출된다는 점과 수동 캐슬링을 하느라 수를 더 썼다는 점에서 좋은 오프닝이라고는 할 수 없다.


4. 사례[편집]


  • 2020년 온라인 블리츠 대회 결승전에서 세계 챔피언 망누스 칼센이 슈퍼 GM 웨슬리 소를 상대로 프라이드 폭스 어택 봉클라우드를 사용했고, 웃기게도 승리했다. 경기 영상 경기 분석
  • 2020년 히카루 나카무라가 세인트루이스 래피드&블리츠 온라인 리그의 마지막 경기에서 GM 제프리 시용(Jeffery Xiong)을 상대로 오리지널 봉클라우드를 시전했고, 이겼다. 경기 영상 경기 분석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Nb, c8=Bb, d8=Qb, e8=,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K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Pb,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K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 f1=Bw, g1=Nw, h1=Rw,
caption=1.e4 e5 2.Ke2 Ke7)]

  • 2021년 3월 망누스 칼센 인비테이셔널 대회의 예선 마지막 라운드, 망누스 칼센히카루 나카무라의 경기에서 더블 봉클라우드가 나왔다. 칼슨이 봉클라우드를 두자 빵터진 히카루가 맞 봉클라우드로 카운터했다. 두 선수는 킹만 아래위로 움직였고, 경기는 3회 반복 무승부로 끝났다. 두 선수 모두 이미 본선 진출이 확정된 상황이었기에 사실상 칼슨이 먼저 무승부 제의를 했고, 히카루가 받아준 것으로 본다.[2] 보통 선수들은 무승부를 하고 싶으면 통수 방지를 위해 베를린 디펜스 같은 이론적인 무승부 오프닝을 사용한다. 승패와 상관이 없는 상황이라서 나올 수 있었던 헤프닝.
이후 히카루가 개인 방송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이 때 칼센에게 급똥 신호가 온 상태여서 더 이상 경기를 지속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경기로 인해 체스닷컴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 봉클라우드가 추가되었다.[3]

  • 2021년 12월 스피드 체스 챔피언쉽 결승전 히카루 나카무라와 웨슬리 소의 대결에서 또 더블 봉클라우드가 나왔다. 1분 불렛에서 나왔으며 12.5대 5.5로 크게 앞서고 있던 히카루의 관광성 플레이었다.

  • 2022년 11월 3일 2022 체스닷컴 글로벌 챔피언십 4경기에서 3:0으로 크게 뒤지고 있던 얀-크리스토프 두다가 봉클라우드 권위자 히카루 나카무라를 상대로 e3 봉클라우드를 썼고, 보기 좋게 졌다.


5. 기타[편집]


  • 관광용 오프닝이다보니 이걸 쓰는게 비매너인지 여부로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생기곤 한다. 한 예로, 영국 그랜드마스터 나이절 쇼트는 봉클라우드를 체스에 대한 모욕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히카루 나카무라가 개인방송에서 자주 쓰는 오프닝이다. 그래서인지 히카루 인방팬들의 실드가 심한 오프닝. 우리 히카루 하고 싶은거 다 해
    • 히카루는 봉클라우드로 블리츠 레이팅 3000 찍기 스피드런 콘텐츠를 진행한 적이 있다. 기록은 23시간 27분 44초. 참고로 스피드런에서는 중간에 게임 끊고 쉬는 시간도 기록에 포함되니, 콘텐츠를 시작한지 하루도 다 채 지나지 않아서 레이팅 1000을 3000까지 올려버린 것. 말 그대로 충격과 공포.

  • 흑 또한 봉클라우드를 둘 수 있지만 백보다 더 위험하다. 백부터 시작한다는 체스의 특성상 흑은 시작부터 좀 불리하게 가는데 나이트 하나 내다 버린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기다 두 번째 수에서 백이 퀸을 h5로 옮겼다 하면 그냥 경기 하나를 내다 버린거다. 퀸이 e5로 감으로서 체크메이트가 되기 때문이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K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Qw,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 e1=Kw, f1=Bw, g1=Nw, h1=Rw,
caption=1.e4 e5 2.Qh5 Ke7?? 3.Qxe5# 1-0)]
  • 일본 애니메이션 코드기어스주인공이 체스 중 초반부터 킹을 움직이며 "왕이 나서지 않으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유명하다. 말은 좋지만 체스에서도 실제에서도 영 좋지 못한 행동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11:04에 나무위키 봉클라우드 어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엔진에 따르면 2번째로 가장 심각한 블런더로 평가하는데, 최악의 블런더가 2.Ba6로 백이 비숍을 폰에게 헌납하는(...) 수인 것을 생각하면 봉클라우드가 얼마나 안 좋은 수인지 감이 올 것이다.[2] 대부분의 대회에서는 승부조작 방지나 대회의 질 향상을 위해서 초반 합의 무승부를 금지한다. 예외는 3수 동형 무승부 뿐.[3] 엔진 분석에서는 이론적인 수로 기록되나, 평가치 1.5점이 칼같이 깎인다. 참고로 리체스에서는 이 게임 전부터 이미 봉클라우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있었으나, 얄짤없이 블런더라고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