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직동

덤프버전 :



광명시행정동
일직동
日直洞 | Iljik-dong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광명시
행정표준코드
3900312
관할 법정동
일직동
하위 행정구역
20통 127반
면적
3.45㎢
인구
21,748명[1]
인구밀도
6,303.76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광명시 을

양기대 (초선)
경기도의원 | 제4선거구

김용성 (재선)
광명시의원 | 라 선거구

구본신 (재선)

현충열 (재선)
[1]

행정복지센터
양지로 17 (일직동 512-3)
일직동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주요 시설
2.1. 주거 시설
2.2. 기타 시설
2.3. 교통
2.3.1. 버스
2.3.2. 전철


1. 개요[편집]


경기도 광명시법정동이자 행정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며, 2021년 11월 29일에 소하2동에서 분리되어 행정동으로 승격됐다. 경상북도 안동시일직면과는 '일'자의 한자가 다르다. 광명 일직동은 日, 안동 일직면은 一을 쓴다.

일직동 일대는 과거에 '자경리'라 불렸는데(엄밀히 따지면 일직동 중에서도 일직JC 근방)[2], 자경리라는 이름에는 "조선시대 서울의 경계로 이제부터 서울이라는 뜻"이 있었다고 해석하는 경우가 있지만, 서울특별시/역사 항목에 나온 옛 서울의 경계를 보면 이는 타당한 소리가 아니다.[3]

광명역의 소재지로, 광명역세권개발사업으로 광명시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잡고 있는 지역이며 광명시에서 가장 소득 수준이 높은 부촌이다. 사실 광명역 이전에도 서해안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의 분기점인 일직JC로 유명하다. 상습정체구역으로... 서해안고속도로목감IC부터 일직JC까지는 왕복 6차로로 오다가 일직JC-소하JC-금천IC 구간이 왕복 4차로로 줄어들어 병목현상을 빚기 때문이다.

인근 안양시 박달2동[4]과 바로 직결되기 때문에 안양시와의 경계 조정시 이 지역이 자주 걸린다.[5] 가관인 것은 광명-안양 시계가 안양시 관할의 박달하수처리장[6] 부지 한가운데를 지나가는데(...!) 그 것 때문에 광명시와 안양시가 실랑이를 벌인 적이 있다. 문제의 박달하수처리장은 지하화되어 지상은 새물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문제의 경계문제는 결국 2022년 4월에 해결되었다.해당 법령

기존에는 행정동 소하2동에 속하는 지역이었으나, 소하2동이 비대해짐에 따라 행정동 일직동을 신설하려는 움직임이 생기게 되었다. 2021년 6월 일직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결정되었고, 9월에는 광명시 조례 제2775호로써 행정동 일직동이 법적으로 신설되어(2021년 11월 29일 발효) 2021년 11월 29일에 소하2동에서 분리됐다.

성남시의 분당신도시처럼 상대적으로 기존 광명시와 따로 노는 경향이 있다. 일직시로 분리되기에는 인구가 적어 그러한 주장은 없지만 지리적으로 다소 떨어져있으며 기존 광명시 인구 구성과는 비율이 다르한 점이 그러한 경향을 심화한다. 또한 인천으로 가는 교통편이 발달되어 있다는 특성으로 인해 인천 송도에 직장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며 KTX 접근성으로 세종, 대전, 오송(조치원) 소재 국가기관 소속 국가공무원 중 일부가 거주하기도 한다. 또한 천안, 아산, 공주 소재 사업장에 근무하는 대기업 직원 일부도 거주하기도 한다.

2. 주요 시설[편집]



2.1. 주거 시설[편집]


  • 광명역 푸르지오
  • 광명역파크자이
  • 광명역센트럴자이
  • 광명역 써밋플레이스[7]
  • 광명역 U플래닛 데시앙


2.2. 기타 시설[편집]



  • 학교 : 빛가온초등학교, 빛가온중학교

  • 상업시설 : 광명역 광명역세권개발사업에 따라 코스트코 광명점, 이케아 광명점, 롯데아울렛이 들어와 있다. 코스트코 광명점 및 코스트코코리아 법인 본사가 위치[8]하고 있으며 이케아 광명점 및 이케아코리아 본사가 위치해있다. 롯데아울렛에는 롯데시네마가 들어와 광명남부에서도 영화관에 가기 쉬워졌다. 2021년에는 U플래닛에 AK플라자 광명점이 들어섰다. 이외 CGV 광명역도 있다.

  • 의료시설 :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이 위치해 있다. 2018년 2월에 공사를 착수하여 2022년 3월 21일 개원하였다.


2.3. 교통[편집]



2.3.1. 버스[편집]


일직동 지역에 운행하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광명 내 다른 지역과 다르게 서울 외 다른 지역으로 가는 버스도 상당수 있다.



2.3.2. 전철[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셔틀 전철광명역에 운행중이지만 하루 20번(상하행 40번)이라 탑승하기 힘든 편에다가 영등포역까지만 운행한다는 단점이 있다.[9] 이후 광명역에는 신안산선경강선 전철이 운행할 예정으로, 모두 개통이 완료된 이후에는 경기 서남부권의 교통 중심지가 될 것이다.

아직까지는 버스를 이용하여 관악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는 게 편리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4:19:20에 나무위키 일직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2] 일직리는 태영 데시앙 근처[3] 관련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구한말까지의 옛 서울의 남쪽 경계는 여의도였다. 그리고 소하동 옆동네 시흥동이 서울로 편입된 건 1963년.[4] 1963년 이전에는 안양천 서쪽지역 즉 박달리는 서면(현 광명시) 땅이었다.[5] 안양시에서는 석수역 부근의 자잘한 월경지를 광명시에 넘겨주고, 대신 광명역 부지를 받아가려고 한다. 당연히 광명시가 받아들일 리가 없다.[6] 안양권(석수하수처리장과 구역이 따로 구분되는 건 아나고 일단 합류된 하수를 분담처리하는 구조)과 광명 일직동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처리. 광명시역 중 일직동, 즉 광명역세권택지지구만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이 맡는다. 광명시 북부는 서울의 서남물재생센터 관할.[7] 호반건설의 아파트 브랜드이지만 검색할 때 호반 써밋플레이스를 검색하면 수원, 분당, 시흥 등 다른 지역쪽이 먼저 나오고 호반써밋플레이스로 붙여쓰면 광명역 빼고 나머지 지역 아파트 나온다(juso.go.kr 기준). 따라서 주소를 쓸일이 있다면 광명역써밋플레이스라고 치는 것이 낫다.다른 호반써밋은 모두 주소에 호반이 들어가는데 유일한 예외이다.[8] 원래 본사는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 있었으나 광명점이 생기면서 이곳으로 옮겨왔다.[9] 그래도 예전보다는 편수가 늘어 1시간에 1번 꼴로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