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기 한국 용성전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예선
3. 본선
3.1. 32강 더블 엘리미네이션(부제 : 32강이라 쓰고 딜레잉의 연속이라 읽기(...))
3.2. 16강
3.3. 8강
3.4. 준결승
3.5. 결승
4. 여담


1. 개요[편집]


2018년 3월에 개최된 한국 용성전의 대회일람.


2. 예선[편집]


파일:dydtjdwjs1.png
파일:dydtjdwjs2.png
파일:dydtjdwjs3.png

8일 예선최종대진 기준으로, 6일 대국에서 [위태웅 - 최재영 / 유병용 - 송상훈 / 홍민표 - 문민종 / 안정기 - 정서준 / 이원도 - 김명훈 / 박영훈 - 류민형 / 원성진 - 나현 / 신민준 - 최철한 / 강유택 - 강창배 / 이지현男 - 김형우 / 이동훈 - 선승민]으로 확정되었었다.
아래는 그 이후의 대국. 본선 진출자만 볼드처리.

7일 대국
시니어
강 훈(大)김일환김종수나종훈이기섭정대상한철균양재호1회차 승자
강 훈(大)김동면김종수나종훈서능욱서봉수장수영차수권2회차 승자

여자
강다정권효진김경은김다영김수진김신영김채영박지연1회차 승자
오유진오정아이민진이슬아이영주이유진조혜연최 정
김경은김다영김채영박지연이민진이슬아이영주최 정2회차 승자

일반
문명근박건호박승화박영롱박종훈백홍석변상일송지훈1회차 승자
송태곤심재익안형준온소진이상헌이영구이춘규이희성
조한승주형욱진시영최홍윤한웅규허 진허영호홍기표
김세동김현찬박건호박영롱박종훈변상일송지훈송태곤2회차 승자
신윤호심재익안형준양우석온소진윤현빈이영구이창호
이춘규조한승진시영허 진허영호홍기표홍성지김희수

8일 대국
시니어
강 훈(大)장수영나종훈차수권3회차 승자
강 훈(大)장수영본선진출자

여자
김채영최 정김경은이민진3회차 승자
김채영최 정결승랭킹증명(..)

일반
강유택김명훈김세동김현찬김희수나 현류민형변상일
송지훈신민준송태곤안형준위태웅유병용윤현빈이동훈
이영구이지현이창호정서준조한승홍기표홍민표일반(지연대국) : 신민준



3. 본선[편집]


  • 32강 진출자:
    • 예선통과 27인
1) 강 훈(大)/장수영 - 시니어
2) 김채영/최 정 - 여자
3) 강유택/김명훈/김세동 / 김현찬/김희수/나 현 / 류민형/변상일/송지훈 / 송태곤/안형준/위태웅 / 유병용/윤현빈/이동훈 / 이영구/이지현/이창호 / 정서준/조한승/홍기표 / 홍민표/신민준 - 일반


3.1. 32강 더블 엘리미네이션(부제 : 32강이라 쓰고 딜레잉의 연속이라 읽기(...))[편집]


2회전 기준 대진표
번호(▽)
조구분(▷)
[1]
1조2조3조4조5조[2]6조[3]7조[4]8조
승자1김지석변상일나현이세돌박정환신진서유병용이동훈
승자2류민형이영구홍기표김명훈강유택최정안형준송태곤
패자1이창호송지훈정서준김현찬강동윤김희수신민준위태웅
패자2강훈홍민표김세동김채영조한승윤현빈이지현장수영

2회전은 승자전/패자전 개념, 3회전은 최종진출전 개념이다.
2회전 돌입 시점에서 순서가 바뀌고 2회전 종료 시점에서 볼드(승자전 승자) 및 취소선(패자전 패자) 처리. 최종진출전 진출자는 표 개별생성.
그런데...

6조는 최정2018 센코배 월드 바둑 여류 최강전 출전(3. 14~16), 신진서월드바둑챔피언십 출전 예정(3. 17~19)이라 신진서-김희수 대국 이후 나머지 일정이 정지되고 1주일 후에 시행된다.그런데 신진서는 대회에서 광탈돼서 빨리라도 둘 수 있다는 게 ...좋은 걸까? 근데 그거 탈주 아님?
5조는 박정환이, 역시 월드바둑챔피언십 출전 예정이라 일정이 중단됐다.여기에 있는 일정과 따로 노는 것 같다면 기분탓

타 기전과 겹친 선수가 있어 일정이 조정되었습니다.

5조 : 박정환 / 강동윤(이상 3월 15일 대국)

6조 : 최정 / 윤현빈(이상 3월 19일 대국)

출처


3회전 진출자는 다음과 같다.(단 5~6조는 대국이 연기되어 차후추가됨)
대국결과별(▽)
조별(▷)
1조2조3조4조5조[5]6조[6]7조[7]8조
승자전 패배류민형이영구홍기표이세돌강유택최정유병용송태곤
패자전 승리이창호송지훈정서준김채영강동윤윤현빈이지현위태웅
6조 최종전 상태가..?(1회전 리매치(...)
여기서 또 지연 대국이 발생했다.(4조 최종전인 이세돌 vs 김채영이 3월 18일로 미뤄져 치러졌으며, 박정환의 대국은 3월 25일이므로 그 때부터 먼저 다른 조의 연기된 대국들이 진행된다.)
승자전에서 승리하여 진출한 선수는 김지석 / 변상일 / 나현 / 김명훈 / 박정환 / 신진서 / 안형준 / 이동훈 이다.
최종전에서 승리하여 진출한 선수는 류민형 / 이영구 / 정서준 / 이세돌 / 강동윤 / 최정 / 이지현 / 위태웅 이다.

...3. 16까지 다 못끝내고 딜레잉의 연속을 보여주고 있는데[8], 3월 22일에 용성전 기자회견이 있지만 지연된 대국들 때문에, 그게 뭐(...).하도 지연돼서 스폰서?가 질릴까 겁난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스폰서가 만약 여기서 질려버릴 경우는.(...).스폰서 극한직업행

가까스로 4월 7일에 32강이 끝났다.

3.2. 16강[편집]


여기서부터 토너먼트제로 실시된다.
진출자 유형은 아래와 같다.
승자전에서 승리하여 진출한 선수는 김지석 / 변상일 / 나현 / 김명훈 / 박정환 / 신진서 / 안형준 / 이동훈 이다.
최종전에서 승리하여 진출한 선수는 류민형 / 이영구 / 정서준 / 이세돌 / 강동윤 / 최정 / 이지현 / 위태웅 이다.

대진표는 다음과 같다.
대국자1결과대국자2
이세돌157수
흑 불계승
(5. 4)
강동윤
박정환216수
백 불계승
(6. 7)
김명훈
변상일228수
백 1집반승
(4. 11)
류민형
정서준261수
흑 불계승
(3. 26)
안형준
김지석198수
백 불계승
(4. 23)
위태웅
신진서204수
백 불계승
(4. 18)
이영구
나현272수
흑 반집승
(6. 22)
최정
이지현181수
흑 불계승
(4. 24)
이동훈


3.3. 8강[편집]


8강 진출자는 정서준/변상일/이영구/김지석/이지현/강동윤/박정환/최정이다.
시작은 6월 27일 15:00 변상일:정서준 대국으로 시작한다.
대국번호대국자1결과대국자2
1변상일210수
백 불계승
(6. 27)
정서준
2이영구191수
흑 불계승
(7. 11)
김지석
3강동윤303수
백 1집반승
(7. 18)
박정환
4이지현171수
흑 불계승
(7. 19)
최정

결국 홍일점은 8강에서 발길을 멈췄다..

3.4. 준결승[편집]


4강 진출자는 변상일/김지석/강동윤/이지현이다.
시작은 8월 8일 15:00 김지석-이지현 대국으로 시작한다.
대국번호대국자1결과대국자2
1김지석226수
백 불계승
(8. 8)
이지현
2변상일206수
백 불계승
(8.14)
강동윤


3.5. 결승[편집]


결승은 11월(예정)8월말부터[9] 3번기 승부로 진행된다. 대진은 89년생 동갑내기 라이벌이자 나란히 세계대회 우승자 출신인 김지석[10]-강동윤[11]의 매치가 성사됐다. 결과는 김지석의 2-1 우승.

대국회차(개시일자)대국자1결과대국자2
1차(8. 28)김지석김지석 / 256수 흑 2집반 승강동윤
2차(9. 1)[12]강동윤 / 299수 흑 1집반 승
3차(9. 17)김지석 / 203수 흑 불계승

4. 여담[편집]


이 대회를 통해서 승단한 선수가 있다. 단, 이 대회를 통해 승단한 바둑기사가 있다는 기사에서 확인 후 기재가 된다.
대회 관련 기사에서 언급된 승단자는 다음과 같다.

8단 나종훈 / 7단 변상일, 진시영 / 6단 김세동 / 5단 안형준, 유병용 / 4단 허진, 이상헌 / 3단 김누리 / 2단 김신영, 강다정, 강우혁, 심재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13:27에 나무위키 제1기 한국 용성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연 대국 발생시 괄호에 1회전 번호로 표기[2] 승자전 3. 25 연기[3] 패자전은 3. 20에 바로 하지만, 승자전은 또다시 4. 2로 연기.야아!! 일정 박살난다!![4] 2회전 3월 16일[5] 3월 29일 대국예정[6] 4월 2일 이후 대국[7] 이 조의 최종전은 3월 19일 6조 지연대국과 동시에 진행됐다.[8] 3월 18~20일 지연대국+25일 대국→3월 29일 대국→4월 2일 대국→(지연일자 미확인)...[9] 일정 문제가 있는 모양이다.[10] 삼성화재배[11] 후지쓰배, LG배[12] 공개해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