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한국뮤지컬어워즈

역대 한국뮤지컬어워즈
제7회 한국뮤지컬어워즈제8회 한국뮤지컬어워즈제9회 한국뮤지컬어워즈

1. 개요
2. 심사 방식
3. 결과
3.1. 작품 부문
3.1.1. 대상
3.1.2. 작품상 (400석 이상)
3.1.3. 작품상 (400석 미만)
3.2. 배우 부문
3.2.1. 주연상 (여자)
3.2.2. 주연상 (남자)
3.2.3. 조연상 (여자)
3.2.4. 조연상 (남자)
3.2.5. 신인상 (여자)
3.2.6. 신인상 (남자)
3.2.7. 앙상블상
3.3. 창작 부문
3.3.1. 프로듀서상
3.3.2. 극본상
3.3.3. 음악상(작곡)
3.3.4. 음악상(오케스트레이션)
3.3.5. 연출상
3.3.6. 안무상
3.3.7. 무대예술상
3.4. 특별상
3.4.1. 공로상
3.4.2. 아동가족뮤지컬상
4.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024년 1월 15일 저녁 7시 서울특별시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한국뮤지컬협회 주최로 진행된 청룡영화상. 이전 시상식들과 마찬가지로 이건명이 사회를 맡았다.

▲ 방송 보기


2. 심사 방식[편집]


2022년 12월 5일에서 2023년 12월 3일 사이에 국내에서 개막했으며, 7일 이상 또는 14회 이상 유료 공연한 초·재연 뮤지컬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7일부터 21일까지 출품을 받았다. 이후 후보추천위원회 추천과 전문가 투표단 100명, 관객 투표단 100명에 의한 심사를 거쳐 12월 18일 후보를 공개했다. 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은 고희경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장이 맡았다.#

본심 역시 전문가 투표단 100명과 관객 투표단 100명이 심사했다. 다만 작품 부문과 창작 부문은 전문가 투표단이 100% 결정하고, 배우 부문에 한해 전문가 투표단 70%, 관객 투표단 30%의 가중치로 참여하도록 했다.

3. 결과[편집]



3.1. 작품 부문[편집]



3.1.1. 대상[편집]



3.1.2. 작품상 (400석 이상)[편집]



3.1.3. 작품상 (400석 미만)[편집]



3.2. 배우 부문[편집]



3.2.1. 주연상 (여자)[편집]


배우배역작품
민경아안나레드북
아이비사틴물랑루즈!
유리아펠리샤멤피스
이자람무인순신
정선아엘리자베스이프덴

3.2.2. 주연상 (남자)[편집]



3.2.3. 조연상 (여자)[편집]



3.2.4. 조연상 (남자)[편집]



3.2.5. 신인상 (여자)[편집]



3.2.6. 신인상 (남자)[편집]



3.2.7. 앙상블상[편집]


작품
레 미제라블 [1]
렌트 [2]
멤피스[3]
물랑루즈![4]
순신 [5]
오페라의 유령[6]

3.3. 창작 부문[편집]



3.3.1. 프로듀서상[편집]


프로듀서작품
강병원마리 퀴리
야구왕, 마린스!
태권, 날아올라
김영욱, 이성훈, 임양혁, 송한샘더 테일 에이프릴 풀스
멤피스
이프덴
설도권, 신동원오페라의 유령
신춘수데스노트
스위니토드
스토리오브마이라이프
정인석식스더뮤지컬
홍승희라흐 헤스트

3.3.2. 극본상[편집]


작가작품
김솔지비밀의 화원
김한솔라흐 헤스트
박칼린, 전수양시스터즈(SheStars!)
정은영
조민형렛미플라이

3.3.3. 음악상(작곡)[편집]


작곡가작품
Brandon Lee, 강하님비밀의 화원
Woody Pak, 신은경더데빌:에덴
남궁유진윌리엄과 윌리엄의 윌리엄들
다미로22년 2개월
문혜성, 정혜지라흐 헤스트
최종윤곤 투모로우

3.3.4. 음악상(오케스트레이션)[편집]


음악감독작품
구소영이프덴
김문정데스노트
원미솔스위니토드
이나영웨이스티드
장소영그날들

3.3.5. 연출상[편집]


연출작품
김은영라흐 헤스트
김태형멤피스
박소영웨이스티드
성종완이프덴
이대웅렛미플라이

3.3.6. 안무상[편집]


안무가작품
송희진데스노트
신선호시스터즈(SheStars!)
심새인, 정보경순신
이현정멤피스
홍유선렛미플라이

3.3.7. 무대예술상[편집]


후보작품
강국현 (음향)멤피스
권민희 (소품)마리 퀴리
김숙희 (분장)멤피스
노병우 (프로덕션무대감독)스위니토드
마선영 (조명)이프덴
안현주 (의상)멤피스
오필영 (미술)순신
조수현 (무대/영상)이프덴

3.4. 특별상[편집]



3.4.1. 공로상[편집]


수상
학전

3.4.2. 아동가족뮤지컬상[편집]



4. 이야깃거리[편집]


  • 후보가 공개된 이후 한국 창작 뮤지컬보다는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이 강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한국 뮤지컬의 발전을 추구하는 시상식의 취지가 무색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 작품상 등의 후보는 가능하면 초연작 중에서 선정하는 것이 원칙임에도 4연작이 포함된 것, 전체적으로 대극장 작품 위주로 후보가 선정되어 중소 규모의 작품들이 빛을 보지 못한 것이 아쉽다는 여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4 14:49:16에 나무위키 제8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요한, 이형준, 장윤호, 신은총, 임재현, 정원철, 임현준, 석현준, 김민성, 우원, 이우진, 박선영, 김기정, 박소연, 위예경, 유지은, 안현아, 임다현, 김민아, 김형준, 신석수, 송권웅, 김혜미, 이지윤[2] 최원섭, 박찬양, 유환, 김송이, 조원석, 윤보경, 김채은, 해오름, 권수정[3] 오종훈, 이종혁, 정택수, 한준용, 김병훈, 서경수, 손준범, 양병철, 김명주, 이준용, 최재훈, 나인석, 최원섭, 김강진, 남궁민희, 권오경, 양성령, 최하은, 김영은, 박소현, 이승은, 최비야, 김현정[4] 심새인, 심건우, 전성혜, 유승엽, 김병준, 배수정, 이정하, 김주영, 김송이, 백두산, 박종배, 차형도, 김현지, 하유진, 홍윤영, 이현영, 박신별, 이슬이, 백승리, 이정윤, 최영진, 이승은, 계원주, 윤철주, 박수현, 정택수, 김주현, 류재혁, 최하은, 김영은[5] 정유희, 김백현, 김용한, 정지만, 유경아, 박재은, 김건혜, 김현아, 박소연, 김성연, 오선아, 하은서, 이혜수, 서연정, 박기윤, 최병규, 이종한, 이홍모, 이영규, 조근래, 심새인, 송원선, 정찬민, 기무간, 장수범, 박진성, 심재훈[6] 신승아, 김명희, 신재희, 윤정열, 한규정, 김진영, 지원선, 조재국, 이동연, 권가민, 길하윤, 김가윤, 서재홍, 이예진, 이지나, 김수아, 김명윤, 차지현, 노아름, 이윤영, 김규리, 김정연, 박예원, 최진, 조두석, 유가영, 유건우, 이윤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