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묘인통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신위천황 (역대 천황 · ) · 황후 (역대 황후 · )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 · 상황후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일본/역대 황태자비|역대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섭정 ()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왕 · 왕비 · 여왕
칭호어칭호 · 미야고
분가미야케 () · 구황족 () · 세습친왕가 ()
가계도황실 전체 가계도 · 구황족 전체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상징십육엽팔중표국문 · 니시키노미하타
거주일본의 어소 (고쿄 · 교토고쇼 · ) · 일본의 이궁 ()
신앙 및 궁중제사삼종신기 ()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 황조신 ()
행사일반참하 · 천황탄생일 · 황기2600주년 기념 봉축곡
제도황기 · 황실전범 (제국) · 황적이탈 ()
조직궁내청 · 내대신부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 황실회의 (의원 틀)
역사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 · 인세이 · 추존 천황 ()
문제후계자 대책





1. 개요
2. 명칭
3. 계보



1. 개요[편집]


지묘인통(持明院統)은 가마쿠라 시대 후기부터 이어져 온 일본 황실의 계통으로, 고후카쿠사 덴노의 자손이다. 남북조시대에 북조로 이어졌고, 현대 황실 또한 지묘인통에서 나왔다. 가메야마 덴노의 자손인 다이카쿠지통과 대립하였다.


2. 명칭[편집]


12세기 초 후지와라노 모토요리가 저택 안에 지불당을 세워 지묘인이라 이름 지었다. 따라서 저택은 지묘인도노(持明院殿)라고 불렸고, 모토요리의 후손 역시 지묘인 가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후, 지묘인 진시(持明院陳子)를 비로 삼은 모리사다 친왕은 처가의 저택인 지묘인도노에서 거주했다. 아들 고호리카와 덴노가 즉위하면서 부친 모리사다 친왕은 고타카쿠라인이라는 원호를 얻고 태상천황이 되었다.

고호리카와 덴노는 두 살 짜리 아들 시조 덴노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면서 지묘인도노를 선동어소로 삼아 거주하였다. 이후, 고사가 덴노·고후카쿠사 덴노 부자 역시 이 전례를 따라 지묘인도노를 선동어소로 삼았다. 그래서 고후카쿠사 덴노의 계통을 지묘인통이라 한다.


3. 계보[편집]




나카고쇼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남북조 합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4 15:49:17에 나무위키 지묘인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