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국왕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착토묵 시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폰헤아 얏
나라야나 라마티파티
리치아 라마티파티
스리 스리요티 2세
제71대
제72대
토모 레차 1세
스리 스콘토르
롱벡 시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네이 칸
앙 찬 1세
보롬 레차 1세
사타 1세
제77대
체이 체타 1세
스레이 산토르 시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
프레아 람 1세
프레아 람 2세
보롬 레차 2세
보롬 레차 3세
제82대
제83대
카에브 후아 1세
보롬 레차 4세
우동 시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제87대
체타 2세
토모 레차 2세
앙 통 레차
보톰 레차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레메아 티피티 1세
보롬 레차 5세
체타 3세
프레아 케오 2세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앙 논
체타 4세
떼이 여왕
우떼이 1세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앙 엠
토모 레차 3세
사타 2세
토모 레차 4세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앙 통
체타 5세
우떼이 2세
앙 논 2세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앙 엥
앙 찬 2세
앙 메이
앙 두옹
프랑스령 캄보디아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노로돔 프롬바리락
시소와스 참착라봉
시소와스 모니봉
노로돔 시아누크
캄보디아 제1왕국
제112대
제112대공위
노로돔 수라마리트
시소와스 코사막
캄보디아 제2왕국
제111대복위
제113대
노로돔 시아누크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의 대수는 푸난과 첸라, 크메르 제국을 합산하여 계산한다
♀: 여성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국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국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국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레소토 국왕|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마르그레테 2세
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대공|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공|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양 디페르투안 아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모나코 공|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파항의 압둘라
알베르 2세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벨기에인의 왕|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부탄 국왕|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브루나이 술탄|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국왕|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국왕|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에스와티니 국왕|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음스와티 3세

[[영국 국왕|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연방 왕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오만 술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국왕|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압둘라 2세

[[천황|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카타르 아미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캄보디아 국왕|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국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통가 국왕|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1. 개요
2. 권한
3. 국왕 선거
4. 역대 국왕
4.1. 프놈 (부남)
4.2. 첸라 (진랍)
4.4. 후기 크메르 왕국
4.7. 프랑스령 캄보디아
4.10. 캄보디아 제2왕국 (현재)


1. 개요[편집]


캄보디아 국왕은 캄보디아의 국가원수 칭호이며, 현재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이 재위하고 있다. 왕통 자체는 크메르 제국 이래 쭉 이어오고 있다.

2. 권한[편집]


전성기크메르 제국 시절에는 신왕(데바라자)[1]라고 칭할 정도로 높은 권위와 절대권력을 동시에 가진 존재였고,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입헌군주제를 실시한 이후에도 캄보디아 제1왕국(1953-70) 시절에는 옆나라 태국 국왕 이상으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고, 지금도 헌법상으로는 상당한 권한이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실질적으로 훈 센 총리가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체제라서 헌법에 명시된 국왕의 권한은 명목에 불과하다.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은 왕궁에 유폐된 채 감시를 받으며 죄수처럼 살고, 왕궁 밖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석하거나 해외순방을 할 때도 항상 감시자들이 따라붙는 등 삶이 부자유하다.


3. 국왕 선거[편집]


대부분의 군주국에서 왕위가 세습인 것과 달리 캄보디아는 선거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어서 국왕이더라도 스스로 후계자를 지명할 수 없고 국왕 사후 차기 국왕을 선출한다. 임기는 종신직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대통령제처럼 일정 연령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선출될 수 있는 건 아니고, 노로돔 왕조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왕가의 30세 이상 남성 구성원들만이 피선거권을 가진다.[2]

선거권은 총리와 상하원 의장 및 부의장, 승왕[3] 등 9명으로 구성된 국왕 선출 위원회에 있는데, 현직 총리 훈 센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독재자라서 사실상 총리가 왕을 결정한다고 보면 된다.

아직까지는 노로돔 왕조 출신만이 국왕 선거에서 당선이라고 쓰고 추대되었지만, 훈 센 총리 또는 그 후계자[4]의 입맛에 따라 시소와스 왕조 출신이 왕위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

4. 역대 국왕[편집]



4.1. 프놈 (부남)[편집]



4.2. 첸라 (진랍)[편집]





4.3. 크메르 제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크메르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4. 후기 크메르 왕국[편집]


이 당시에도 크메르 제국의 왕통 자체는 계속 이어졌으며 아래의 시대 구분은 왕조 교체가 아니라, 일본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처럼 수도 이전에 따른 시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짝또묵 시대 (1431년~1525년)
  • 롱 벡 시대 (1525년~1594년)
  • 스레이 산토르 시대 (1594년~1620년)
  • 우동 시대 (1620년~1863년)

4.5. 프랑스령 캄보디아[편집]


이 당시의 왕들은 프랑스의 허수아비로 전락한 상태였으며, 크메르 제국 시절부터 단일 혈통으로 이어지던 캄보디아 왕실은 노로돔 왕조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계통으로 분열되었다.

  • 노로돔 왕조
  • 시소와스 왕조
    • 2대: 시소와스 (1904년~1927년)[5]
    • 3대: 시소와스 모니봉 (1927년~1941년)
  • 노로돔 왕조
    • 4대: 노로돔 시아누크 (1941년~1945년)[6]

4.6. 캄보디아 왕국(괴뢰국)[편집]


일본 제국이 시아누크 국왕에게 독립을 선언하게 하여 수립한 괴뢰국이다.


4.7. 프랑스령 캄보디아[편집]


전후 일본이 철수한 뒤 프랑스가 귀환하여 다시 캄보디아를 식민지화했다.


4.8. 캄보디아 제1왕국[편집]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는데, 시아누크는 헌법 제정 이후에도 계속 실권을 장악했다.

  • 초대: 노로돔 시아누크 (1953년~1955년)
  • 2대: 노로돔 수라마리트 (1955년~1960년)[7]
  • 공위: 시소와스 코사막 (1960년~1970년)[8]


4.9.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편집]


론 놀의 쿠데타로 인해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자, 시아누크 전 국왕이 국외로 도피하여 수립한 망명정부다.


4.10. 캄보디아 제2왕국 (현재)[편집]


1993년 왕정복고가 실현되면서 시아누크가 복위했는데, 이전과는 달리 실권은 전혀 행사할 수 없게 되었고,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선거군주제가 실시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55:55에 나무위키 캄보디아 국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데바()+라자()[2] 두 가문은 본래 한 가문이었지만, 프랑스의 식민지배 시절 두 계통으로 갈라져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3] 캄보디아 불교의 수장[4] 훈 센이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보다 1살 많아서 시아모니 이후의 국왕은 훈 센 사후에 결정될 가능성이 있는데, 아직까지는 누가 먼저 죽을지 알 수 없다.[5] 노로돔의 이복동생인데, 프랑스에 의해 노로돔의 자식들을 제치고 왕으로 추대되었다.[6] 노로돔 왕의 증손자이자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외손자로서 왕위를 계승했다.[7] 노로돔 왕의 손자이자 시아누크의 아버지인데, 아들에게 양위받아 왕으로 즉위했다.[8] 공식 왕은 아니라서 왕위는 공석이었다. 시소와스 코사막은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딸이자 수라마리트 왕의 아내, 시아누크 왕의 어머니라서 아버지, 남편, 아들이 모두 왕이었던 인물이다. 수라마리트 사후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시아누크 전 국왕은 자신이 복위하거나 다른 왕족을 왕으로 추대하는 대신, 왕위를 공석으로 두고 어머니에게 의례적인 군주 역할을 맡겼다. 그리고 시아누크는 국가원수라는 직함으로 취임하여 사실상 다시 왕이 된 것과 다름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