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r (♥ 0)


숫자 한자
[ 펼치기 · 접기 ]
/()()()()()
()()()()()
()廿(이십)(삼십)(사십)()
--
1(이백)()()()()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玖}}}옥돌 구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7획
미배정
-
}}}
일본어 음독
キュウ, ク
일본어 훈독
-
-
}}}
표준 중국어
jiǔ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玖는 '옥돌 구'라는 한자로, '옥돌', '아홉'을 뜻하며, (아홉 구)의 갖은자이기도 하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옥돌, 아홉
중국어표준어jiǔ
광동어gau2
객가어kiú
민북어giǔ
민동어giū[文] / gāu[白]
민남어kiú[文] / káu[白]
오어jieu (T2)
일본어음독キュウ, ク
훈독-
베트남어cửu

유니코드에는 U+739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NO(一土弓人)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구슬 옥)과 소리를 나타내는 (오랠 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물이름 구)
  • (밭갈 구, 밭백묘 류)
  • (삼나무 구)
  • (수절할 구)
  • (오랠 구)[1]
  • 𪖓[⿰鼻久](코막힐 구)[2]
  • (이랑 무/묘)
  • 𪔼[⿰鼠久](석서 준)
  • 𧰫[⿰豕久](걸어갈 촉)
  • 𱍾[⿰难久]
  • 𱍿[⿰婁久]
  • 𠖮[⿰冫久]
  • 𬽧[⿰亻久]
  • 𠇧[⿰介久]
  • 𭅥[⿰南久]
  • 𠮻[⿰口久]
  • 𡉌[⿰土久]
  • 𭖃[⿰山久]
  • 𪦉[⿰姯久]
  • 𭐕[⿰壴久]
  • 𫼖[⿰扌久]
  • 𬀨[⿰日久]
  • 𰝺[⿰火久]
  • 𭧟[⿰景久]
  • 𮀌[⿰石久]
  • 𱵼[⿰禾久]
  • 𮄴[⿰章久]
  • 𦤷[⿰至久]
  • 𮊣[⿰羊久]
  • 𥹰[⿰娄久]
  • 𬗎[⿰⿱口糸久]
  • 𮠘[⿰酉久]
  • 𰸃[⿰𧾷久]
  • 𨥆
  • 𲉬[⿰⿱业隹久]
  • 𩐗[⿰音久]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4:30:4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문독[白] A B 백독[1] (오랠 구)의 동자[2] (코막힐 구)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