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활동/중국

덤프버전 :

분류







[ 음반 목록 ]

파일:S.E.S._S.E.S..jpg


파일:S.E.S._S.E.S. 2.jpg


파일:S.E.S._Love.jpg


파일:S.E.S._A Letter From Green Land.jpg


데뷔 정규 1집

S.E.S.
(1997.11.24)

정규 2집

Sea & Eugene & Shoo
(1998.11.23)

정규 3집

Love
(1999.10.29)

정규 4집

A letter from Greenland
(2000.12.23)

파일:S.E.S._Surprise.jpg


파일:S.E.S._Choose My Life-U.jpg


파일:S.E.S._Remixed.jpg


파일:S.E.S._Friend.jpg


스페셜 4.5집

Surprise
(2001.07.11)

정규 5집

Choose My Life-U
(2002.02.14)

리믹스 싱글

Remixed
(2002.08.28)

스페셜 5.5집

FRIEND
(2002.11.21)

파일:S.E.S._Love [story].jpg


파일:S.E.S._Remember.jpg



디지털 싱글

Love [story]
(2016.11.28)

스페셜 20주년 기념

REMEMBER
(2017.01.02)


}}}





1. 개요
2. 중화권 공략 멤버 구상 및 불발
3. 데뷔 전 상황과 데뷔
4. 중화권 멤버 영입 루머
5. 활동
5.1. 2000년 제2회 한중가요제 초청
5.2. 2001년 SM 4대 천왕 콘서트 참가
6. 인기
6.1. 기록
6.2. 비결
6.3. 당시 중국 거주 조선족의 증언글들
7. 해체 이후 중국 팬덤



1. 개요[편집]


S.E.S.중국 활동을 정리하는 문서.


2. 중화권 공략 멤버 구상 및 불발[편집]


많은 사람들이 알다시피 S.E.S.는 원래 기획 초기 당시만 하더라도 중화권 시장까지 고려하여 제작되었고, 이에 따라 중국어에 능통한 멤버가 연습생 시절을 보냈으며 합류 직전까지 갔었다. 해당 인물은 바로 S.E.S.의 등장과 대성공으로 훗날 무수히 쏟아져 나왔던 걸그룹 중에 한 팀인 티티마[1]의 멤버 소이였다.[2]

소이는 당시 대학 진학 가수 데뷔라는 두 가지 갈림길 사이에서 고민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대학 진학을 취한 학업을 선택하고 자발적으로 S.E.S. 데뷔조에서 나오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데뷔 후 3개월 만에 일본 현지 연예 기획사 측과 성사된 일본 활동과는 다르게, S.E.S.중화권 시장 공략은 잠정적으로 연기될 수밖에 없었다.

3. 데뷔 전 상황과 데뷔[편집]


음반이 정식으로 발매되기 전부터 이미 중국 미디어에도 노출되는 등 한류 팬들에게 한국을 대표하는 걸그룹으로 높은 인지도를 구가하고 많은 팬들을 확보하고 있었던 상태였다.

1999년 2월부터 한국일본 음반들이 대만 내에 록 레코드를 통해 라이센스 형태로 발매되기 시작하였고, 대만 발매와 동시에 중국 내에도 함께 발매되기 시작하며[3] 중국 내에도 S.E.S. 음반들이 정식으로 진출하게 되었다.(파일:유튜브 아이콘.svg[4]) 마지막 활동인 2002년까지 꾸준히 발매되었으며, 실제로 2002년 당시 베이징 백화점에는 정규 5집이 팔리고 있었다.

데뷔 이후 잠깐 멈춰 있었던 중화권 진출이 비로서 당시 중화권 문화를 리딩하였던 대만 진출을 통해 중국까지 뻗어나가게 된 것이다. S.E.S.는 진출과 동시에 한류 걸그룹으로서 가히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다.

당시로서는[5]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가 중국보다 훨씬 더 앞서 나가는 시기였음은 물론이고 중국대만 등의 중화권에서 한국의 드라마나 음악 등이 인기를 얻고 있었던 시기였기에, 굳이 일본처럼 현지화 전략이라는 맨땅에 헤딩 행보를 감행하지 않아도 되었다.


4. 중화권 멤버 영입 루머[편집]


2000년 3월 첫 단독 콘서트 때를 기점으로, 당시 중화권에서 S.E.S. 음반 라이센스 유통을 맡고 있었던 대만 avex[6] 측이 SM 측에게 더 수월한 중화권 활동을 위하여 중화권 멤버를 영입을 제안하였다는 루머[7]PC통신과 인터넷 등의 온라인 중심으로 돌기도 하였으나, SM 측은 언론을 통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5. 활동[편집]



5.1. 2000년 제2회 한중가요제 초청[편집]


2000년 11월 30일, 서울 여의도 KBS홀에서 한국 KBS중국 CCTV의 공동 주관으로 개최된 제2회 한중가요제에 초청되었다. 중국에서 개최되었던 제1회와 다르게 한국에서 개최되었기에 별도의 중국 방문은 성사되지 않았다.

이 음악회는 한중 양국 지상파를 통하여 녹화 방송되었다. 중국에서는 12월에 CCTV 1,3,4 채널 등을 통해 7차례, 한국에서는 2001년 1월 14일[8]KBS1을 통해 녹화 방송되었다.

S.E.S.는 이 공연에서 한국 히트곡 〈Love[9], 〈I'm Your Girl[10], 〈너를 사랑해[11] 총 세 곡[12][13]의 무대를 모두 라이브로 선보였다. 특히 중국 CCTV 송출 무대는 S.E.S.중국에 음반을 발매한 후 처음으로 중국 TV에 정식으로 모습을 드러낸 무대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 무대였다.





〈I'm Your Girl〉 라이브 무대
〈Love〉 라이브 무대[14]


5.2. 2001년 SM 4대 천왕 콘서트 참가[편집]


2001년 12월, 같은 소속사 가수 문희준, 강타, 신화, 플라이 투 더 스카이와 함께 《SM 4대 천왕 콘서트》[15][16]에 참가하기 위하여 중국에 방문하였다. 현지 공연 전인 6일, 서울 조선호텔 그랜드볼륨에서 열린 언론 기자회견에 참석하였다. 이 자리에서 SMS.E.S.를 '비장의 카드'라고 소개하였으며, 이에 바다는 그 기대에 부응할 수 있게 한국을 대표해서 정말 멋진 무대를 하고 오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S.E.S.는 15일 베이징 공인 체육관과 16일 상하이 체육관에서 이틀 연속으로 개최된 콘서트 무대에 올라 히트곡 〈I will〉, 〈꿈을 모아서〉, 〈Love[17] 총 세 곡의 무대를 선보였다.


2001년 12월 6일,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가지는 S.E.S.[18]



SM 판당고에 올라온 서울 기자회견 영상[19]


베이징 콘서트 당시 SM 소속 가수들과 이수만 외 관계자 단체 사진



2001.12.15 〈꿈을 모아서〉 무대 영상[20]

단독 프로모션이 아닌 합동 프로모션이라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 대목이지만 당시 한국 가수들의 중국 프로모션 형태를 보면 합동 콘서트 형식이 대다수였으며[21], 당시 후진국이었던 중국의 경제력과 일본처럼 공연문화에 대한 수요와 체계적인 시스템이 발전되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합동 콘서트 프로모션 형식이 빈번할 수밖에 없었다.[22]

다만 다섯 번이나 프로모션을 위해 대만에 방문하여 활발한 활동을 펼친 것과는 다르게, 중국 프로모션은 해당 합동 콘서트가 처음이자 마지막, 그리고 유일하였다. 어찌 되었든 한 번이라도 중국 팬들을 현지에서 직접 만날 수 있는 무대라는 것에 의의가 있는 프로모션이었다.

20일에는 SM 계열사 판당고(판당고가 아니라..)공식 홈페이지에 공연 하이라이트 영상이 최초로 공개되었으며(문헌), 22일에는 콘서트 전 실황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두 영상 모두 해당 콘서트에 참석한 모든 가수 팬덤 중에서 당시 자료를 소장한 팬이 나오지 않고 있어서 의도치 않게 흙오이가 되어버린 레어템이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유튜브네이버TV, 카카오TV 등의 동영상 플랫폼이 없었고, 자사의 mms 프로토콜 스트리밍 방식으로 올라오는 방식이었기에 별도의 녹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영상을 저장해야만 하였다.[23] 그리고 아무리 온라인이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 많이 넘어가는 시절이었다고 하더라도, 지금 만큼의 보급률은 아니었기에 영상 자료가 유실된 게 꽤 있다. 당시 녹덕이나 팬들이 S.E.S. 영상 자료를 주기적으로 아카이빙 해온 온라인 팬클럽은 천리안의 라페와 나우누리의 I.Y.F.가 있었는데, 해당 온라인 팬클럽 영상 자료실에도 판당고에서 올라온 중국 실황 영상은 아카이빙이 되어 있지 않았다.

한국 TV 언론에는 지상파 KBS2연예가중계』와 케이블 KMTV 『생방송 뮤직큐』 등에 해당 공연 현지 소식이 보도되기도 하였다.

6. 인기[편집]



6.1. 기록[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기록에 대한 내용은 S.E.S./기록 문서
5번 문단을
S.E.S./기록#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비결[편집]


중국 프로모션 활동이 단 한 번밖에 없을 정도로 소극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도 및 인지도를 확보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대만 음악시장에서 쌓은 인기가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당시만 하더라도 중화권의 문화는 대만이 주도하던 시절이었고, 그에 따라 대만에서 인기가 있으면 자연스럽게 중국으로까지 퍼져나가는 시기였기 때문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E.S. 인기도 자연스럽게 중국으로까지 퍼져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당시 중국에서는 보이그룹 H.O.T.NRG[24] 등을 필두로 한류 음악이 큰 인기를 얻고 있었던 시기였는데, 이들의 음악만 보더라도 당시 발전되기 전인 중국 음악시장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팝스러운 음악과 화려한 무대매너가 어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E.S.의 음악적 노선도 세련된 팝 음악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여기에 비쥬얼과 화려한 무대매너 등을 겸비하고 있었기에 중국 팬들에게 어필될 수 있었다.


6.3. 당시 중국 거주 조선족의 증언글들[편집]


안녕하세요. 저 중국 조선족인데요. S.E.S. 왕팬이에요. 한 번씩 읽어줬으면 좋겠어요.

여자 가수들은 남자 가수들한테 게임도 안 될 정도로 찬밥신세이고 그 중에서도 뽑으라면 여자 가수 중에서는 이정현이 제일 인기가 많고, 그 다음 베이비복스S.E.S.인데 팬들이 직접 편지로 투표하는 인기 순위에서는 S.E.S.가 훨씬 앞서요.

여자 솔로 부문에서는 3명의 멤버가 다 10위 안에 들어요. 중국에서 제일 큰 한일 음악을 보도하는 잡지인 경음악(칭인웨)란 잡지투표 11월 호에서도 2위 바다 387표, 6위 유진 179표, 7위 120표에요.

그리고 중국에서 제일 큰 인터넷 사이트인 souhu에 들어가서 가수들의 이름을 검색해 보세요.

중국에서 제일 인기가 많은 F4가 56개이고, H.O.T.가 46개, S.E.S.가 18개, 베이비복스가 3개 NRG가 22개, 클릭비가 3개, 핑클이 4개, 김희선이 9개, 안재욱이 12개, 송승헌이 6개, 전지현이 6개에요.

2002.12.07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 팬이 한국 팬 사이트에 직접 증언한 S.E.S. 활동 당시 중국 내 인기



7. 해체 이후 중국 팬덤[편집]


해체 이후에도 중국 인터넷 팬 커뮤니티를 통해 꾸준하게 팬 활동을 이어가는 식으로 응원을 해왔으며, 이따금 S.E.S. 완전체는 물론 멤버 개인 한국 팬 사이트에도 중국 팬들이 가입하여 자료 공유 등의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오랜 세월이 지난 2024년 현재에도 중국 포털 댓글을 보면 아직도 S.E.S.를 기억하고 응원하고 있는 팬들이 꽤 많이 있다. 2016년 20주년 재결합 콘서트에 중국 팬들도 발걸음 하였으며, 2024년 현재 웨이보에는 팬 페이지도 있을 정도로 변치 않는 순정파 팬심을 보여주고 있다.

[1] S.E.S.가 데뷔한 지 1년 6개월이 되는 1999년 5월 1일, 정규 1집 음반 『in the sea』로 데뷔하였다.[2] 애초에 SM소이S.E.S. 멤버로 염두에 둔 가장 큰 이유가 중화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목적이었는데, 실제로 티티마중국에서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다는 것은 오묘한 부분이다. 티티마는 보이그룹 NRG와 같은 뮤직팩토리 소속으로 데뷔하였으며, 데뷔 당시 NRG의 여동생격 그룹으로 홍보되어 인지도를 얻었다. 특히 당시 NRG중국에서 한류 열풍을 일으킨 원조 아이돌 그룹으로 오히려 한국보다 중국에서 더 인기를 얻을 정도였는데, NRG중국 인기 덕분에 티티마중국 내에 더 수월하게 소개될 수 있지 않았을까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실제로 티티마의 1집 후속곡 〈Prism〉에는 아예 소이중국어 가사를 수록하는 등 애초부터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참고로 티티마는 당시 일본의 최정상 걸그룹 SPEED를 벤치마킹 하였다. 소이가 직접 밝힌 인터뷰 기사) 실제로 SPEED가 1997년 8월 6일에 발매한 네 번째 싱글 커플링곡 〈熱帯夜〉 뮤직비디오의 얼굴 분할 화면 방식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티티마가 2000년 6월 15일에 발매한 〈Wanna be loved〉 뮤직비디오에서 차용하기도 하였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하지만, 차용한 것은 이것 뿐 SPEED와 음악, 안무 등 비슷한 부분은 없고 아예 방향성 자체가 다르다. 소이가 직접 인터뷰에서 밝혔으니 SPEED를 벤치마킹 하였다는 것은 사실이겠지만, 런칭 후에는 크게 영향을 받은 부분은 없다.) 지금이야 한국에서 반중감정이 커져서 K-POP중국어 가사를 넣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하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크게 반중감정이 없었기에 가능한 시도였다. 당시 한국 음악방송에는 중국대만 가수들이 이따금 출연한 적도 있었고, 홍콩의 4대 천왕 같은 경우도 한국에서 인기가 좋아서 한국 방송에 출연하여 자국의 언어로 노래를 부르는 것도 빈번하였다. 당시 홍콩 문화가 한국에서 영화를 중심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끌었고, 대만의 드라마 판관 포청천한국의 지상파 MBCKBS2에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끌었으며, 대만중국의 합작 드라마인 황제의 딸한국iTV에서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끄는 등, 당시로서는 오히려 한국 내에서 매니아적인 인기를 끌었던 일본 문화보다 중화권 문화가 더 대중적인 인기를 끌었던 시기였다.[3] 중국 쪽 웹을 살펴 보면 당시 기록 자료들이 나온다.[4] 2000년 10월 11일 MBC섹션TV 연예통신』 보도 중.[5] 현재도 그러하다.[6] 1999년 12월 10일에 대만 내에 발매된 한국 정규 3집부터는 음반 레이블사가 avex 변경되어 발매되기 시작하였다.[7] 이때 함께 돌았던 루머가 S.E.S. 계약 기간은 5년이며, 이에 따라 2002년 정도에 해체 예정이라는 루머였다. 그리고 이 루머는 훗날 2002년 연말에 S.E.S.가 해체됨에 따라 루머가 아닌 사실로 밝혀졌다.[8] 원래는 2000년 12월 30일에 방송 예정이었으나 변경되었다. 특히 이 날 S.E.S.SBS인기가요』 컴백 무대 출연을 시작으로 MBC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코너 「게릴라 콘서트」에 이어 KBS1에도 출연함으로써, 지상파 3사 출연을 석권하였다. 관련 기사[9] 완곡.[10] 2절 후렴구만.[11] 완곡. 1절 인트로와 2절 남자 랩 인트로는 생략.[12] 부른 순서대로 작성되었다.[13] 중국 CCTV 녹화 방송분에는 세 곡 무대 모두 송출되었으며, 한국 KBS1 녹화 방송분에서는 〈너를 사랑해〉가 편집된 채로 송출되었다.[14] S.E.S. 무대는 18:51부터 시작된다.[15] 영어명은 《S.M. Entertainment Live in China》.[16] S.E.S.도 무대에 올랐고 2001년 12월 6일 조선호텔 그랜드볼륨에서 열린 기자회견에도 참석했으나, 정작 콘서트명인 4대 천왕은 S.E.S.를 생략하고 지칭하는 것이었고 실물 포스터에서도 S.E.S.를 제외하는 등의 태도로 팬들로부터 빈축을 사기도 하였다.[17] 현재 남아 있는 영상 자료에는 〈Love〉 무대가 생략되었지만, 당시 SM 계열사 판당고에 올라온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한 팬이 남긴 당시 글에는 〈Love〉 무대도 선보였다는 내용이 있다. 다른 팬이 남긴 글에도 S.E.S.는 총 세 곡을 선보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링크[18] 좌 2001년 12월 7일 KMTV 『생방송 뮤직큐』 보도 중. 우 2001년 12월 8일 KBS2연예가중계』 보도 중.[19] 해당 영상을 올린 업로더는 신화의 팬이며, 영상은 신화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브라이언미국에 있었을 때라 참석하지 않았다.) 인터뷰 위주 위주로 편집되었다. 당시 판당고 홈페이지에 올라온 전체 영상인지, 해당 업로더가 편집하였는 지 여부는 현재로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S.E.S.는 영상 마지막에 단체 사진을 촬영하는 구간인 1:38부터 약 10초 가량 나온다. [20] S.E.S. 무대 구간은 15:40부터 17:18까지이다.[21] 당시 중국에서 단독 공연을 펼쳤던 한국 가수를 뽑자면 얼마 안 될 정도였다. H.O.T.중국에서 단독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중국 내 한류 음악 열풍의 시발점을 만들었다.[22] 실제로 당시 중국 측에서 추진한 합동 콘서트에 올랐으나 사기를 당해 개런티를 못 받았던 한국 가수들 사건도 있었다. 땅이 넓고 인구만 많을 뿐이지 불법 음반이 판치고 저작권이라는 개념도 미비해서 사실상 상업적으로는 큰 메리트가 있는 시장이 아니었다. 현재도 한한령 때문에 한류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불법적으로 콘텐츠를 즐기는 양상으로 한국 엔터계에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는 시장이 바로 중국이다.[23] 물론 이 점은 지금 영상 플랫폼도 마찬가자이긴 하다.[24] 중국 내에 먼저 한류 음악 열풍을 선도한 팀은 시기적으로 NRG가 앞서지만, 폭발력과 정점에 있어서 만큼은 H.O.T.가 더 큰 족적을 남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2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2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2 10:06:16에 나무위키 S.E.S./활동/중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