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1998년 3월)

덤프버전 : r (♥ 0)


}}}
[ 펼치기 · 접기 ]
1군
2 문보경 · 4 신민재 · 5 김주성 · 6 구본혁
· 23 오스틴 · 64 김대원
2군
10 오지환 · 36 김성진 · 43 김태우 · 53 김민수
· 56 손용준 · 57 최명경 · 107 김도윤 · 113 한지용
· 117 김유민 · 118 문정빈 · 123 박건우
최종 편집: 2024년 6월 11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김민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bb2848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1164d><colcolor=#FFF><width=20%> '''투수''' || '''1 [[이인복(야구선수)|{{{#000000,#FFFFFF 이인복}}}]]^^{{{-2 #}}}^^ · 11 [[장국헌|{{{#000000,#FFFFFF 장국헌}}}]] · 14 [[정태승|{{{#000000,#FFFFFF 정태승}}}]] · 17 [[허민혁|{{{#000000,#FFFFFF 허민혁}}}]] [br] 18 [[김인범|{{{#000000,#FFFFFF 김인범}}}]] · 21 [[신효승|{{{#000000,#FFFFFF 신효승}}}]] · 30 [[이찬석|{{{#000000,#FFFFFF 이찬석}}}]]^^{{{-2 #}}}^^ · 32 [[박정배|{{{#000000,#FFFFFF 박정배}}}]] [br] 38 [[노경은|{{{#000000,#FFFFFF 노경은}}}]]^^{{{-2 #}}}^^ · 51 [[박선우(야구선수)|{{{#000000,#FFFFFF 박종무}}}]] · 55 [[양지율|{{{#000000,#FFFFFF 양기현}}}]] · 60 {{{#000000,#FFFFFF 호키}}}^^{{{-2 #}}}^^ [br] 98 {{{#000000,#FFFFFF 휴즈}}}^^{{{-2 #}}}^^ · 99 [[박성웅(야구선수)|{{{#000000,#FFFFFF 박주홍}}}]]''' || || '''포수''' || '''12 [[박재욱(야구선수)|{{{#000000,#FFFFFF 박재욱}}}]] · 22 [[주성원|{{{#000000,#FFFFFF 주성원}}}]] · 47 [[배현호|{{{#000000,#FFFFFF 배현호}}}]]''' || || '''내야수''' || '''2 [[배지환|{{{#000000,#FFFFFF 배지환}}}]]^^{{{-2 #}}}^^ · 5 [[김민수(1998년 3월)|{{{#000000,#FFFFFF 김민수}}}]] · 6 [[김대륙|{{{#000000,#FFFFFF 김대륙}}}]]^^{{{-2 #}}}^^ · 7 [[백승현|{{{#000000,#FFFFFF 백승현}}}]] [br] 16 [[김주형(1996)|{{{#000000,#FFFFFF 김주형}}}]] · 36 [[전병우|{{{#000000,#FFFFFF 전병우}}}]]^^{{{-2 #}}}^^ · 95 {{{#000000,#FFFFFF 그린할즈}}}^^{{{-2 #}}}^^ · 98 {{{#000000,#FFFFFF 우드}}}^^{{{-2 #}}}^^''' || || '''외야수''' || '''1 [[강로한|{{{#000000,#FFFFFF 강로한}}}]] · 9 [[홍창기|{{{#000000,#FFFFFF 홍창기}}}]] · 25 [[이재원(1999)|{{{#000000,#FFFFFF 이재원}}}]] · 33 [[허일|{{{#000000,#FFFFFF 허일}}}]] [[틀:질롱 코리아 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164d; font-size: .8em;" {{{#white '''C'''}}}}}}]] [br] 34 [[임지열|{{{#000000,#FFFFFF 임지열}}}]] · 52 [[고승민|{{{#000000,#FFFFFF 고승민}}}]]^^{{{-2 #}}}^^ · 53 [[송우현|{{{#000000,#FFFFFF 송우현}}}]]^^{{{-2 #}}}^^ · 62 [[추재현|{{{#000000,#FFFFFF 추재현}}}]]'''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b2848;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그램 로이드|{{{#FFF {{{-2 그램 로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b2848;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수석/투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임경완|{{{#FFF {{{-2 임경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b2848;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임훈|{{{#FFF {{{-2 임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b2848;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2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김태완(1984)|{{{#FFF {{{-2 김태완}}}}}}]]''' || ||<-2> {{{-2 ^^#^^ 중도 이탈 선수}}} ||



김민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20 KBO 퓨처스 남부리그 타점왕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번
이석훈
(2016)
김민수
(2017)
이호연
(2018)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0번
아수아헤
(2019~2019.6.10.)
김민수
(2019.9.6.~2019)
박선우
(2020~2021)
질롱 코리아 등번호 5번
국대건
(2018-19)
김민수
(2019-20)
김주성
(2022-23)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번
황진수
(2018~2019)
김민수
(2020~2023)
결번
LG 트윈스 등번호 53번
최원태
(2023.7.29~2023)
김민수
(2024~)
현역

파일:김민수 20240208- 003[20240221013928091].png
LG 트윈스 No.53
김민수
Kim Min-Su
출생1998년 3월 18일 (26세)
인천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인천서화초 - 동산중 - 제물포고
신체184cm|97kg
포지션내야수[1]
투타우투우타
프로 입단2017년 2차 2라운드 (전체 13번, 롯데)
소속팀롯데 자이언츠 (2017~2023)
LG 트윈스 (2024~)

질롱 코리아 (2019/20)
병역경찰 야구단
(2017년 12월 8일 ~ 2019년 8월 12일)
연봉2024 / 6,000만 원 {{{-2

4.8%↓
등장곡Redbone - 《Come and Get Your Love
응원가구단 자작곡[가사1]
[ 이전 응원가 보기 ]
롯데 자이언츠 시절
구단 자작곡[가사2][1]
[가사2] 롯데의 김민수 안타 오오오 오오 오오오 롯데의 김민수 안타 오오오 오오오 (×2)[1] 조홍석의 응원가를 물려받았다.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족배우자 최소영(1994년생, 2022년 1월 8일 결혼 ~ 현재)
아들 김로이(2022년 12월 2일생)
종교개신교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LG 트윈스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내야 전 포지션을 볼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지만 공수 양면에서 모두 이렇다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전형적인 안 터지는 유망주라는 평가를 받는 선수.

타격은 2군에선 타/출/장 모두 출중한 2군 본즈의 모습을 보여주나 1군에선 통산 2/3/3의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슬래시 라인을 기록하고 있다. 그나마 2군에서 한 달간 홈런 6개를 몰아치는 등 파워 포텐을 보여준 적이 있으나 선구안과 컨택이 좋지 않아 볼삼비가 0.26으로 매우 좋지 못하며, 직구 상대 타율이 2할 초반대에 머물 정도로 직구에 취약한 탓에 한가운데 직구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다.

수비력은 내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는 있지만 3루 수비를 제외한 나머지 포지션의 수비력은 그닥 좋지 못하다. 고교 때는 키스톤 콤비로 뛰었지만 경찰 야구단에 복무하는 동안 벌크업으로 몸을 불리면서 수비 범위가 줄어들었고, 이후 유격수나 2루수보다 1, 3루를 보는 빈도가 더 많아졌다. 게다가 팀내 경쟁자들이 팬들에게 큰 기대를 받는 한동희, 나승엽인데다[2] 드래프트 동기인 김혜성박성한이 모두 포텐을 터뜨리면서 국가대표 유격수로 성장한 탓에 본인의 더딘 성장세와 더불어 여러모로 아쉬운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내야 전 포지션을 담당할 수 있으며 2군에서 항상 좋은 타격 성적을 기록하는 군필 자원이라는 점에서 타 팀에서 트레이드 요청이 끊이질 않았으며,[3] 롯데 입장에서도 한동희의 불안한 수비력과 군 문제 탓에 쉽사리 포기할 수 없는 선수이기도 했지만 롯데에서는 끝내 1군 주전 자리를 차지하는데에 실패하고 떠나게 되었다. 결국 길을 터주기 위해 보낸 LG에서 잠재력을 마저 꽃피우느냐가 평가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


4. 여담[편집]


  • 부모님이 굉장한 야구광이셔서 자신도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야구와 친해졌다고 한다.

  • 야구하기 잘했다고 생각되는 순간은 자신의 플레이가 잘된 날이라고 하고, 반대로 야구가 힘들었다고 생각된 순간은 자신의 플레이가 좀처럼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라고 한다.

  • 슬럼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가능한 한 야구에 관한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며, 이를 위해 노래를 듣는다거나 요리를 하는 등 다른 일에 열중한다고 밝혔다.

  • 주로 사용했던 등번호 5번은 고등학교 2학년 때 달았던 번호라고 한다.

  • 가장 열정적인 때는 이기고 있는 경기의 마지막 아웃 카운트가 잡히는 때라고 한다.

  • 주루 플레이를 정말 못한다. 수비, 주루 부문에서 임팩트 있는 본헤드 플레이를 자주 남겼다.

  • 나이에 비해 꽤 노안인 편으로 20대 중반인 지금 30대 선수들과 있을때도 그다지 위화감이 들지 않는다. 같은 팀에서 상당한 노안으로 취급되는 신민재와 비슷해보이는 수준.

  • 커피 매니아라고한다. 자주 마시는 정도를 넘어 커피 맛을 구분할 수 있는 수준에다가, 원정을 갈 때는 유명한 카페를 방문해서 커피를 마셔보고 비교하는 것도 좋아한다고 한다.


  • 학창 시절부터 리더십을 인정받아 주장 완장을 찬 경험이 있어서 먼 훗날 차기 주장으로 가끔 거론되기도 한다.

  • 별명은 유격수 시절엔 거포 유격수를 줄여서 '거유'였지만, 2021년 5월 두산 베어스전 끝내기 내야안타로 패배할 때 공을 잡고 구르며 그 후 '데굴이, 데굴민수'로 불리고 있다.


  • 김민수라는 이름이 엄청나게 흔한 지라 현재 KBO 리그에서 뛰고있는 동명이인들이 5명이나 존재한다.[4] 하지만 개명을 하고싶었던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5] 팀 내에 동명이인 외야수 김민수가 있었고, 삼성 라이온즈 포수 김민수, kt wiz 투수 김민수[6], KIA 타이거즈 외야수 김민수[7],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김민수가 있다. 심지어 SPOTV에도 아나운서 김민수가 있다. NC 다이노스 내야수에도 김민수가 있었으나, 현재 김수윤으로 개명했다.

  • 2022년 1월 8일 4살 연상의 신부와 결혼한다고 한다.#

  • 의외로 최지만하고도 친분이 있다고 하는데 최지만의 형이 중학교 코치를 했을 때 김민수가 제자였다고 한다. 가족끼리도 친해 한국에 귀국 할 때 자고간 적도 있다고 말했다. 당시 롯데에 동명이인 외야수 김민수가 있었던건 몰랐는지 내민수를 다시 지칭할 때 '머리크고 이국적이게 생겼고 나이는 어리지만 얼굴은 나랑 친구인 애'라고 말했다.#

  • 2022 시즌 후 같이 한솥밥을 먹던 동명이인 96년생 김민수가 방출됐는데, 이름이 같아서 팬들 사이에서 혼동이 좀 있었다. 공교롭게도 2019 시즌 후 1996년생 오윤석이 방출됐는데, 팬들이 당시 한창 기회를 받던 1992년생 오윤석과 혼동했었다.


5. 관련 문서[편집]


[1] 내야 전 포지션이 가능하다. 주로 보는 포지션은 3루수이다.[가사1] 안타 안타 LG 김민수 안타 안타 LG 김민수 안타 안타 LG 김민수 오! 김민수[2] 한동희는 처참한 수비력으로 포지션 변경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지 않으나 23시즌 기준 여전히 3루수로 출장 중이고, 나승엽은 상무에서 주전 1루수로 출장 중인데다 어깨가 좋아 종종 3루수로도 출전 중이다.[3] 실제로 심재민이호연 트레이드도 원래는 kt에서 김민수를 원했지만 롯데에서 거절하자 대신 맞춘 트레이드 카드가 이호연이었다.[4] 여담으로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 중일 때 이 내용을 언급한 기사가 나왔었다.[5] 전역 후, 동명이인들과의 인터뷰에서 이 사실이 알려졌다.[6] 참고로, 은퇴한 투수 중에도 김민수가 있는데 이 선수까지 포함하면 동명이인들 중에서는 유이한 투수가 된다.[7] 이쪽은 다른 동명이인들과 다르게 좌타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7:33:33에 나무위키 김민수(1998년 3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