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우리말/목록/ㅈ~ㅎ

덤프버전 : r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순우리말/목록


1. 개요
2. 순우리말 목록
2.1. ㅈ
2.2. ㅊ
2.3. ㅋ
2.4. ㅌ
2.5. ㅍ
2.6. ㅎ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순우리말을 ㅈ부터 ㅎ까지 실은 글이다. 문서가 길어 분리되었다.

흔히 순우리말로 잘못 아는 한자어·외래어가 있으며, 순우리말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말도 있다. 순우리말 목록에 넣을 때에는 이에 주의하기 바람.



2. 순우리말 목록[편집]


  • 가나다순으로 싣는다.
  • 갈색 글씨: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와 있지 않은 낱말. (표준국어대사전 방언, 옛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 표준국어대사전 잘못된 표현.(비표준어)
  • 외부 링크
    • : 표준국어대사전 + 우리말샘 역사정보(우리말샘).
    • 옛표기: 표준국어대사전 옛말(우리말샘)
  • 옛한글(첫가끝) 지원 나무위키 기본 글꼴[1]: 맑은 고딕, 본고딕.[2]
  • 《옛》 《어원》 *: 문증되지 않음 《출전》 《참조》 《파생》
범례
 [ 일반 ] 
¹²³⁴⁵⁶⁷⁸⁹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
활용
ㄷ ㅅ ㅂ 르
①②③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뜻풀이
우리말샘 뜻풀이


문헌 약칭
묘법연화경언해 - 법화경언해(1464)
금강반야바라밀경언해 - 금강경언해(1464)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 몽산법어언해(1467)
분류두공부시언해 - 두시언해(1481)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언해 - 별행록절요언해(152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형태소 ] 
ㅇㅇ - 형태 - 용례
}}}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문헌 ] 
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샘 문헌 자료 출전 약호 - 본문서 표기(통칭) - 원제
• 가례 - 가례언해(1632)
• 경민-중 - 경민편 중간본(1579) - 경민편언해(중간본)
• 경민-개 - 경민편 개간본(1658) - 경민편언해(개간본)
• 경신 - 경신록언석(1796)
• 교시조 - 교본 역대 시조 전서
• 구간 - 구급간이방(1489)
• 구방 - 구급방언해(1466)
• 구촬 - 구황촬요(1554)
• 국한 - 국한회어(1895)
• 권공 - 진언권공(1496)
• 금삼 - 금강경삼가해(1482)
• 금언 - 금강경언해(1464) - 금강반야바라밀경언해
• 남궁 - 남궁계적(1876)
• 남명 - 남명집언해(1482) -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계송언해
• 내훈 - 내훈(1475)
• 노박 - 노박집람(1517)
• 노언 - 노걸대언해(1670)
• 농월 - 농가월령가(1800)
• 능엄 - 능엄경언해(1461)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동신/동신속 -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
• 동의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동해 - 동문유해(1748)
• 두시-중 - 두시언해 중간본(1632) - 분류두공부시언해(중간본)
• 두시-초 - 두시언해 초간본(1481) - 분류두공부시언해(초간본)
• 마경 - 마경초집언해(1623~49?)
• 명성 - 관성제군명성경언해(1883)
• 목우 - 목우자수심결(1467)
• 몽법 - 몽산법어언해(1467) -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 몽보 - 몽어유해보(1790)
• 몽해 - 몽어유해(1790)
• 무원 - 증수무원록(1792)
• 물명 - 물명고(1824)
• 박신 - 박통사신석언해(1765)
• 박언 - 박통사언해(1677)
• 백련-동 - 백련초해 동경대본(1576)
• 번노 - 번역노걸대(1517) - 노걸대
• 번박 - 번역박통사(1517)
• 번소 - 번역소학(1518)
• 법어 - 사법어언해(1467)
• 법화 - 법화경언해(1463) - 묘법연화경언해
• 분문 - 분문온역이해방(1542)
• 불정 - 불정심경언해(1485)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사해 - 사성통해(1517)
• 삼강 - 삼강행실도(1481)
• 삼강-중 - 삼강행실도 중간본(1511) - 삼강행실도(중간본)
• 석상 - 석보상절(6, 9, 13, 19, 20, 21, 23, 24)(1447)
• 석상-중 - 석보상절 중간본(11)(1560?)
• 성절 - 성교절요(1882)
• 소언 - 소학언해(1588)
• 속삼 - 속삼강행실도(1514)
• 속자성 - 어제속자성편언해(1759)
• 시식 - 삼단시식문(1496)
• 시언 - 시경언해(1613)
• 신구-가 - 신간구황촬요 가람문고본(1686) - 신간구황촬요(가람 문고본)
• 신구-윤 - 신간구황촬요 윤석찬교수본(1660) - 신간구황촬요(윤석찬 교수본)
• 신선 - 신선태을자금단(1497)
• 신합 - 신증유합(1576)}}}
• 아미 - 아미타경언해(1464) - 불설아미타경언해
• 악학 - 악학궤범(1493)
• 어록-개 - 어록해 개간본(1669) - 어록해(개간본)
• 어록-초 - 어록해 초간본(1657) - 어록해(초간본)
• 어소 - 어제소학언해(1744)
• 언납 - 언해납약증치방(1600)
• 언두 - 언해두창집요(1608)
• 언태 - 언해태산집요(1608)
• 여사 - 여사서언해(1736)
• 여씨-존 - 여씨향약언해 존경각본(1518) - 주자증손여씨향약언해(존경각본)
• 역보 - 역어유해보(1775)
• 역해 - 역어유해(1690)
• 염보-동 - 염불보권문 동화사본(1764) - 염불보권문(동화사본)
• 염보-해 - 염불보권문 해인사본(1776) - 염불보권문(해인사본)
• 염보-홍 - 염불보권문 홍률사본(1765) - 염불보권문(홍률사본)
• 영가 - 선종영가집언해(1464)
• 오륜 - 오륜행실도(1797)
• 오륜전비 - 오륜전비언해(1721)
• 왜해 - 왜어유해(1781~82?)
• 용가 - 용비어천가(1447)
• 우마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541)
• 원각 - 원각경언해(1465)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월곡 - 월인천강지곡(1447)
• 월석 - 월인석보(1459)
• 유합-칠 - 유합 칠장사판(1664) - 유합(칠장사판)
• 육조 - 육조법보단경언해(1496)
• 은중-송 - 은중경언해(1563) -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송광사본)
• 인어 - 인어대방(1790)
• 재물 - 재물보(1780)
• 정속-사 - 정속언해 일사문고본(1792) - 정속언해(일사 문고본)
• 정속-이 - 정속언해 이원주교수본(1518) - 정속언해(이원주 교수본)
• 천자-광 - 광주천자문(1575) - 천자문(광주천자문)
• 천자-석 - 석봉천자문(1583) - 천자문(석봉천자문)
• 첩몽 - 첩해몽어(1790)
• 첩해-초 - 첩해신어 초간본(1676) - 첩해신어(원간본)
• 첩해-개 - 첩해신어 개간본(1748) - 개수첩해신어
• 청노 - 청어노걸대(1765)
• 청영 - 청구영언(1728)
• 칠대 - 칠대만법(1569)
• 태상 - 태상감응편도설언해(1852)
• 한불 - 한불자전(1880)
• 한청 - 한청문감(1770?)
• 훈몽 - 훈몽자회(1527) - 훈몽자회(예산 문고본)
• 훈해 - 훈민정음(해례본)(1446)
• ◇◇ -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1567)
• ◇◇ - 별행록절요언해(1522)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언해
• ◇◇ - 석보상절 중간본(3)(1561)}}}




2.1. ㅈ[편집]


  • 자개: 금조개 껍데기를 썰어 낸 조각. 빛깔이 아름다워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게 썰어 가구를 장식하는 데 쓴다. *《옛》 쟈개
  • 자갯돌: 자개같이 고운 돌. *《옛》 쟈개돌
  • 자개미: 겨드랑이나 오금 양쪽의 오목한 곳. *《옛》 쟈개얌
  • 자국: 다른 물건이 닿거나 묻어서 생긴 자리. 또는 어떤 것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가 달라진 흔적. *《옛》 자곡
  • 자국자국이: 순서대로 하나하나. *《옛》 자곡자곡이
  • 자귀: 짐승의 발자국. *《옛》 자괴
  • 자귀: 나무를 깎아 다듬는 연장의 하나. *《옛》
  • 자귀받다: 자국을 쫓다. 또는 자국을 밟다. *《옛》 자괴받다
  • 자귓물: 수레바퀴의 자국이나 발자국 등에 괸 물. *《옛》 자굇믈
  • 자늑뜨다: 굼뜨다. *《옛》 즈느ᄯᅳ다
  • 자늑자늑: 동작이 조용하며 가볍고 진득하게 부드럽고 가벼운 모양. *《옛》 즈늑즈늑, ᄌᆞᄂᆞᆨᄌᆞᄂᆞᆨ
  • 자늑자늑걷다: *《옛》 즈늑즈늑것다 《출전》 花塔步 즈늑즈늑 것다 - 어록해
  • 자늑자늑하다: 동작이 조용하며 가볍고 진득하게 부드럽고 가볍다. *《옛》 ᄌᆞᄂᆞᆨᄌᆞᄂᆞᆨᄒᆞ다
  • 자늑하다: 조용하다. *《옛》 ᄌᆞᄂᆞᆨᄒᆞ다
  • 자다: 수면하다.
  • 자드락: 산기슭의 비탈진 땅.
  • 자디잘다: 아주 가늘고 작다. *《옛》 자ᄃᆡ잘다, 자듸잘다 《출전》 자ᄃᆡ잔 細而極細 - 한불자전, 하날에 총총ᄒᆞ던 자듸잔 별들이 ᄒᆞ나식 둘식 슘박ᄭᅩᆨ질ᄒᆞ드시 - 치악산(상권, 1908)
  • 자라나다: 자라서 크게 되다. *《옛》 ᄌᆞ라나다
  • 자라다1: 생물이 생장하거나 성숙하여지다. 세력이나 역량 따위가 커지거나 높아지다. *《옛》 ᄌᆞ라다
  • 자라다2: 넉넉하여 모자람이 없다. 족하다. 충분하다. *《옛》 ᄌᆞ라다 《파생》 모자라다(못-+자라-)
  • 자락: 옷이나 이불 따위의 아래로 드리운 넓은 조각. 논밭이나 산 따위의 넓은 부분. *《옛》 쟈락
  • 자랑: 썩 훌륭하거나 칭찬받을 만한 것들을 일부러 뽐내고 드러냄. 또는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들.
  • 자랑하다: 자기 자신 또는 자기와 관계있는 사람이나 물건, 일 따위가 썩 훌륭하거나 남에게 칭찬을 받을 만한 것임을 드러내어 말하다. *《옛》 쟈라ᇰᄒᆞ다
  • 자래: 넉넉하게. *《옛》 ᄌᆞ래
  • 자루: 속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헝겊 따위로 길고 크게 만든 주머니. 물건을 자루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옛》 ᄌᆞᇐ, 쟈ᄅᆞ
  • 자르다1: 동강을 내거나 끊어 내다. *《옛》 ᄌᆞᄅᆞ다
  • 자르다2: 잘록할 정도로 단단히 죄어 매다. *《옛》 ᄌᆞᄅᆞ다
  • 자리: 사람이나 물체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 *《옛》 자리
  • 자리다: 뼈마디나 몸의 일부가 좀 눌려서 피가 잘 통하지 못하여 감각이 둔하고 아리다. 뼈마디나 몸의 일부가 쏙쏙 쑤시듯이 아프다. 가슴이나 마음 따위가 아픈 느낌이 있다. *《옛》 자리다
  • 자리잡다:
  • 자못: 생각보다 매우. *《옛》 ᄌᆞᄆᆞ, ᄌᆞ모
  • 자물쇠: 여닫게 되어 있는 물건을 잠그는 장치. *《옛》 ᄌᆞᄆᆞᆳ쇠 《어원》 ᄌᆞᄆᆞ-+-ㄹ+쇠 《출전》 鍵은 ᄌᆞᄆᆞᆳ쇠라 - 법화
  • 자박: 사금광에서 캐낸 생금의 큰 덩어리.
  • 자빠누이다: 등을 바닥에 대고 바로 눕게 하다. *《옛》 졋바누이다
  • 자빠눕다: 등을 바닥에 대고 바로 눕다. *《옛》 졋바눕다
  • 자빠지다: 뒤로 또는 옆으로 넘어지다. *《옛》 졋바디다
  • 자빡: 거절.
  • 자새: 새끼, 참바 따위를 꼬거나 실 따위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얼레.
  • 자시다: 먹다의 높임말. *《옛》 좌시다, 자시다 《출전》 자시다 饗 - 한불자전
  • 자아내다: 물레 따위로 실을 뽑아내다. 기계로 물 따위를 흘러나오게 하다. 어떤 감정이나 생각, 웃음, 눈물 따위가 저절로 생기거나 나오도록 일으켜 내다. *《옛》 ᄌᆞ아내다 《어원》 잣-+-아+내-
  • 자아올리다: 기계의 힘으로 물 따위를 빨아올리다.
  • 자아치다: *《옛》 자아치다 《출전》 가닭업시 자아치는 애닯은 슯흠으로 하여, 하염업시 눈물을 ᄲᅮ릴 제 - 타락자
  • 자욱하다: 연기나 안개 따위가 잔뜩 끼어 흐릿하다. *《옛》 ᄌᆞ옥ᄒᆞ다, ᄌᆞ욱ᄒᆞ다
  • 자위1: 눈알이나 새 따위의 알에서 빛깔에 따라 구분된 부분. 눈알의 검은자위와 흰자위, 달걀의 노른자위와 흰자위 따위를 이른다. *《옛》 ᄌᆞᅀᆞ, ᄌᆞᅀᆡ, ᄌᆞᄋᆡ
  • 자위2: 사물의 중심. 핵(核). 과일의 씨. *《옛》 ᄌᆞᅀᆞ, ᄌᆞᅀᆡ, ᄌᆞᄋᆡ
  • 자위3: 자새.
  • 자잘하다: 여럿이 다 가늘거나 작다. 여러 가지 물건이나 일, 또는 여러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다 작고 소소하다.
  • 자주: 같은 일을 잇따라 잦게. *《옛》 ᄌᆞ조 《어원》 잦-(頻)+-우
  • 자주자주: 같은 일이 잇따라 매우 잦게. *《옛》 자조자조 《출전》 자조 빈 頻 자조자조 頻頻 - 국한회어(1895)
  • 자지러지다: 사람이 혼절할 정도로 온몸에 짜릿한 느낌을 가지다. *《옛》 ᄌᆞ지러디다 《출전》 ᄌᆞ지러디다 - 한불자전(1880)
  • 자질구레하다: 모두가 잘고 시시하여 대수롭지 아니하다. *《옛》 자질구러ᄒᆞ다 《출전》 자질구러ᄒᆞ다 細微 - 한불자전(1880)
  • 자추다: → 재우치다.
  • 자투리: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하다가 남은 천의 조각. 어떤 기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작거나 적은 조각. *《옛》 자토리
  • 작다: *《옛》 쟉다
  • 작벼리: 물가의 모래벌판에 돌이 섞여 있는 곳. *《옛》 쟉벼리
  • 작은물: *《옛》 쟈ᄀᆞᆫ믈 《어원》 작-+-은+물 《출전》 涓 쟈ᄀᆞᆫ믈 연 - 신증유합
  • 잔걸음: 가까운 거리를 자주 왔다 갔다 하는 걸음. *《어원》 잘-(細)+-ㄴ+걷-+-음
  • 잔걸음하다: 잔걸음을 치다. *《옛》 ᄌᆞᆫ거름ᄒᆞ다 《어원》 잘-(細)+-ㄴ+걷-+-음+하-
  • 잔꾀: 약고도 얕은 꾀.
  • 잔나비: 원숭이. *《옛》 ᄌᆡᆫ납, ᄌᆡᆺ납, ᄌᆡᆫ납이, ᄌᆡᆫ납비
  • 잔누비: 잘게 누빈 누비. *《옛》 ᄌᆞᆫ누비 《어원》 잘-(細)+-ㄴ+누비
  • 잔누비하다: 잔누비질하다. *《옛》 ᄌᆞᆫ누비ᄒᆞ다 《어원》 잘-(細)+-ㄴ+누비+하-
  • 잔디: *《옛》 젼ᄠᅬ, 쟘ᄠᅱ, 쟌ᄠᅱ, 쟘ᄯᅱ, 잔듸, 잔디
  • 잔말하다: 쓸데없이 자질구레하게 말을 늘어놓다. *《옛》 ᄌᆞᆫ말ᄒᆞ다 《어원》 잘-(細)+-ㄴ+말+하-
  • 잔무뤼: 가는 우박(雨雹). *《옛》 ᄌᆞᆫ물위 《어원》 잘-(細)+-ㄴ+무뤼(雹)
  • 잔물잔물하다: 눈가나 살가죽이 약간 짓무르고 진물이 괴어 있다. *《출전》 한불자전(1880)
  • 잔밉다: 몹시 얄밉다. *《옛》 ᄌᆞᆺ믭다
  • 잔셈: 자질구레한 것을 셈함. 또는 그런 셈. *《옛》 ᄌᆞᆫ혬 《어원》 잘-(細)+-ㄴ+세-+-ㅁ
  • 잔소리: 쓸데없이 자질구레한 말을 늘어놓음. 또는 그 말.
  • 잔소리하다: 쓸데없이 자질구레한 말을 늘어놓다.
  • 잔아기: 젖먹이. *《옛》 ᄌᆞᆫ아기
  • 잔일: 잔손이 많이 드는 자질구레한 일. *《옛》 ᄌᆞᆫ일 《어원》 잘-(細)+-ㄴ+일
  • 잗다듬다: 잘고 곱게 다듬다. *《어원》 잘-+다듬-
  • 잗다랗다: 꽤 잘다.
  • 잘: 옳고 바르게. 좋고 훌륭하게. 익숙하고 능란하게. *《옛》 잘
  • 잘나가다: 사회적으로 계속 성공하다.
  • 잘나다: 능력이 남보다 앞서다. *《어원》 잘+나-
  • 잘다: 작다. 세밀하고 자세하다. 좀스럽다. *《옛》 ᄌᆞᆯ다, ex) 잔 근육, 잘게 썰다
  • 잘되다: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썩 좋게 이루어지다. *《어원》 잘+되-
  • 잘라매다: 잘록할 정도로 끈으로 단단히 동여매다. *《옛》 잘나ᄆᆡ다 《어원》 자르-+-아+매- 《출전》 목을 잔득 잘나ᄆᆡ여 긔ᄉᆡᆨ을 ᄒᆞ엿ᄂᆞᆫ지라 - 홍도화(상)
  • 잘라먹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중간에서 끊어서 전하지 아니하다. *《어원》 자르-+-아+먹-
  • 잘록하다: 기다란 물건의 한 군데가 패어 들어가 오목하다. *《옛》 잘녹ᄒᆞ다 《출전》 잘녹ᄒᆞ다 中細貌 - 한불자전(1880)
  • 잘리다1: 동강이 나거나 끊어지다. ‘자르다’의 피동사. *《어원》 자르-+-이-
  • 잘리다2: 잘록할 정도로 단단히 죄어 매이다. ‘자르다’의 피동사. *《어원》 자르-+-이-
  • 잘못: 잘하지 못하여 그릇되게 한 일. 또는 옳지 못하게 한 일.
  • 잘못되다: 어떤 일이 그릇되거나 실패로 돌아가다.
  • 잘못하다: 틀리거나 그릇되게 하다.
  • 잘생기다: 사람의 얼굴이나 풍채가 훤하여 보기에 썩 좋게 생기다.
  • 잘코사니: 고소하게 여겨지는 일. 주로 미운 사람이 불행을 당한 경우에 하는 말이다. *《옛》 잘코셔니 《출전》 잘코산이 暗喜貌 - 한불자전(1880)
  • 잘하다: *《옛》 잘ᄒᆞ다 《출전》 【六師衆中有一弟子 名勞度差 善知幻術】 六師ᄋᆡ 弟子 勞度差ㅣ 幻術을 잘 ᄒᆞ더니 - 석보상절(6)(1447)
  • 잠: *《옛》 ᄌᆞᆷ
  • 잠개: 연장이나 무기. *《옛》 잠개
  • 잠겹다: 자고 싶다. *《옛》 ᄌᆞᆷ곕다
  • 잠그다1: 여닫는 물건을 열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걸거나 하다. *《옛》 ᄌᆞᇚ다, ᄌᆞᄆᆞ다, ᄌᆞᆷ다
  • 잠그다2: 물속에 물체를 넣거나 가라앉게 하다. *《옛》 ᄌᆞᇚ다, ᄌᆞᄆᆞ다, ᄌᆞᆷ다
  • 잠기다1: 자물쇠가 채워지거나 빗장이 걸려 여닫는 물건이 열리지 않다. *《옛》 《어원》 ᄌᆞᇚ-+-이-
  • 잠기다2: 물속에 물체가 넣어지거나 가라앉게 되다. *《옛》 《어원》 ᄌᆞᇚ-+-이-
  • 잠기다3: 잠그게 하다. *《옛》 ᄌᆞᆷ기다
  • 잠다1: 잠그다1. *《옛》 ᄌᆞᆷ다
  • 잠다2: 잠그다2. *《옛》 ᄌᆞᆷ다
  • 잠다3: 잠기다. *《옛》 ᄌᆞᆷ다
  • 잠들다: 잠을 자는 상태가 되다. *《옛》 ᄌᆞᆷ들다 《어원》 자-+-ㅁ+들-
  • 잠뽁: 담뿍하게 잔뜩. *《옛》 즘복
  • 잠자다: 자는 상태에 있다. *《옛》 ᄌᆞᆷ자다
  • 잠재우다
  • 잡다1: 손으로 움키고 놓지 않다. *《옛》 잡다 《출전》 【四者 夢手執日 五者 夢手執月】 네ᄒᆞᆫ 소내 ᄒᆡᄅᆞᆯ 자ᄇᆞ며 다ᄉᆞᄉᆞᆫ 소내 ᄃᆞᄅᆞᆯ 자보니 - 월인석보(1)
  • 잡다2: 체포하다. *《옛》 잡다 《출전》 【他則意異 我救厥辟 于彼六合 又殲精卒】 ᄂᆞᄆᆞᆫ ᄠᅳᆮ 다ᄅᆞ거늘 님그믈 救ᄒᆞ시고 六合애도 精卒ᄋᆞᆯ 자ᄇᆞ시니 - 용비어천가(24장), 【克彼鄕兵 挺身陽北 維此兇賊 遂能獲之】 스ᄀᆞᄫᆞᆳ 軍馬ᄅᆞᆯ 이길ᄊᆡ ᄒᆞᄫᆞᅀᅡ 믈리조치샤 모딘 도ᄌᆞᄀᆞᆯ 자ᄇᆞ시니ᅌᅵ다 - 용비어천가(35장)
  • 잡다3: 짐승을 죽이다. *《옛》 잡다 《출전》【落日更見漁樵人】 디ᄂᆞᆫ ᄒᆡ예 고기 자ᄇᆞ며 나모 뷔여 오ᄂᆞᆫ 사ᄅᆞᄆᆞᆯ ᄯᅩ 보리로다 - 두시언해 초간본(7)
  • 잡다4: 어림하거나 짐작하여 헤아리다. *《옛》 잡다
  • 잡갇히다: 잡혀 갇히다. 구속되다(拘束-). *《옛》 잡가티다 《어원》 잡-+갇-+-히-
  • 잡다루다: 잡아 다루다. *《옛》 잡달호다 《어원》 잡-+다루-
  • 잡도리: 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 잡도리하다
  • 잡들다: 잡아 들다. 붙들다. *《옛》 잡들다 《어원》 잡-+들- 《출전》 支ᄂᆞᆫ 서르 잡드러 괴올씨니 - 석보상절(1446)(9:18)
  • 잡아가다: 사람을 체포하여 데려가다. *《옛》 자바가다 《어원》 잡-+-아+가-
  • 잡아내다: 결점이나 틀린 곳을 찾아내다. *《옛》 자바내다 《어원》 잡-+-아+내-
  • 잡아넣다: 억지로 들어가게 하다. 붙잡아 가두다. *《옛》 자바녛다 《어원》 잡-+-아+넣-
  • 잡아다리다: *《옛》 잡아다리다 《출전》 나는 ᄯᅩ 옷고름을 ᄭᅳᆯ럿다. ᄭᅳ른 뒤엔 한머니는 ᄯᅩ 소매를 잡아다리엇다 - 할머니의 죽음
  • 잡아당기다: 잡아서 자기 있는 쪽으로 끌어당기다. *《옛》 자바ᄃᆞᇰᄀᆡ다, 자바ᄃᆞᆼ긔다
  • 잡아들이다: 억지로 들어오게 하다. 잡아서 가두다. *《옛》 자바드리다, 잡아드리다 《어원》 잡-+-아+들이-
  • 잡아떼다: 아는 것을 모른다고 하거나 한 것을 아니 하였다고 하다.
  • 잡아매다: 흩어지지 않게 한데 매다. 달아나지 못하도록 묶다. *《옛》 자바ᄆᆡ다 《어원》 잡-+-아+매-
  • 잡은것: 연장이나 무기. *《옛》 자ᄇᆞᆫ것, 자븐것 《어원》 잡-+-은+것
  • 잡을손뜨다: 일을 다잡아 하지도 않고, 한다 해도 매우 굼뜨다. *《옛》 잡을손ᄯᅳ다 《출전》 잡을손ᄯᅳ다 懶 - 한불자전(1880)
  • 잡죄다: 아주 엄하게 다잡다. 몹시 독촉하다. *《옛》 잡죄다 《어원》 잡-+죄- 《출전》 잡죄다 緊執 - 한불자전(1880)
  • 잡쥐다: 단단히 잡아 틀어쥐다. *《옛》 잡쥐다 《어원》 잡-+쥐-
  • 잡혀가다: 붙들리어 가다.
  • 잡히다: 붙들리다. *《옛》 자피다, 잡피다 《어원》 잡-+-히-
  • 잡히이다: 잡히다. *《옛》 자피이다, 잡히이다 《어원》 잡-+-히-+-이-
  • 1: 잣나무의 열매. *《옛》 잣
  • 2: 성(城). *《옛》
  • 잣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잣나무(샘) *《옛》 잣나모
  • 잣잣: 순수하고 맑고 깨끗하게. *《옛》 ᄌᆞᆺᄌᆞᆺ
  • 잣다: 물레 따위로 섬유에서 실을 뽑다. 양수기나 펌프 따위로 낮은 데 있는 물을 빨아 올리다. *《옛》 ᄌᆞᆺ다 《파생》 자아내다.
  • 잦다1: 여러 차례로 거듭되는 간격이 매우 짧다. 잇따라 자주 있다. *《옛》 ᄌᆞᆽ다
  • 잦다2: 액체가 속으로 스며들거나 점점 졸아들어 없어지다. 거친 기운이 잠잠해지거나 가라앉다. *《옛》 ᄌᆞᆽ다
  • 잦다3: 뒤로 기울다.
  • 잦아들다: 거칠거나 들뜬 기운이 가라앉아 잠잠해져 가다. *《참조》 잦다2
  • 잦아지다1: 어떤 일이나 행위 따위가 자주 있게 되다. *《어원》 잦-(頻)+-아+지-
  • 잦아지다2: 고여 있던 액체가 점점 말라 없어지게 되다. 거칠거나 들뜬 기운이 가라앉아 잠잠하게 되다. *《옛》 ᄌᆞ자지다 《어원》 잦-〔ᄌᆞᆽ-, 잦다2〕+-아+지-
  • 잦추: 잦거나 잰 상태로.
  • 잦추다: 재촉하다. *《어원》 잦-(頻)+-추-
  • 잦히다1: 밥물이 끓으면 불의 세기를 잠깐 줄였다가 다시 조금 세게 해서 물이 잦아지게 하다. *《옛》 자치다 《어원》 잦-〔잦다2〕+-히-
  • 잦히다2: 잦아지게 하다. 안정하다(安靜-). *《옛》 자치다, 잔치다 《출전》 【更增妓女娛樂衆具令其心止。】 푸ᇰ류ᄒᆞᇙ 겨집 더ᄒᆞ야 ᄆᆞᅀᆞᄆᆞᆯ 자치시긔 ᄒᆞ시더라 - 석보상절 중간본(3)(1561), 【未得安靜】 잔치디 몯ᄒᆞ야 - 구급방언해(하)(1466)
  • 1: 불에 타고 남는 가루 모양의 물질. *《옛》 ᄌᆡ
  • 2: 길이 나 있어서 넘어 다닐 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높은 산의 마루를 이룬 곳. *《옛》 재 《출전》 【兄墜而示 衆賊薄之 下阪而擊 兩刀皆缺】 兄이 디여 뵈니 衆賊이 좇거늘 재 ᄂᆞ려 티샤 두 갈히 것그니 - 용비어천가(36장)(1447), 嶺 재 려ᇰ - 훈몽자회(1527)
  • 재다1: 자, 저울 따위의 계기를 이용하여 길이, 너비, 높이, 깊이, 무게, 온도, 속도 따위의 정도를 알아보다. *《옛》 자히다, 자이다, 재다
  • 재다2: 물건을 차곡차곡 포개어 쌓아 두다. 고기 따위의 음식을 양념하여 그릇에 차곡차곡 담아 두다.
  • 재다3: 민첩하다. *《옛》 재다 《출전》 【可知有幾步慢竄】 그리어니 여러 거름곰 즈늑즈늑호ᄃᆡ 재니라 - 번역노걸대(1517)
  • 재다4: 총, 포 따위에 화약이나 탄환을 넣어 끼우다. *《옛》 ᄌᆡ다 《출전》 ᄒᆞ면셔 약 ᄒᆞᆫ 방을 어ᄂᆞᆫ 틈에 ᄌᆡ엿던지 총을 번적 들고 - 치악산(상)(1908)
  • 재다5: 뽐내다.
  • 재다6: → 재우다.
  • 재바르다: 동작 따위가 재고 빠르다. ‘재빠르다’보다 여린 느낌을 준다. *《옛》 재바르다
  • 재빠르다: 민첩하다. *《옛》 재바르다 《어원》 재-+빠르- 《출전》 재바르다 - 한불자전(1880)
  • 재쌓다: *《출전》 그 ᄯᅡ해 金을 ᄀᆞᄃᆞᆨ게 혀 ᄌᆡ사하 주고 사실ᄉᆡ 뎌ᄅᆞᆯ 金田이라 ᄒᆞᄂᆞ니라 - 남명집언해(1482)
  • 재아리: 중매(仲媒). *《옛》 재아리
  • 재우: 매우 재게.
  • 재우다: 눈을 감기고 한동안 의식 활동을 쉬는 상태가 되게 하다. *《어원》 자-(眠)+-이우-
  • 재우치다: 빨리 몰아치거나 재촉하다. *《출전》 "안녕히 단여옵시요."라고 각듯이 재우첫다 - 운수 좋은 날
  • 재짜다: 재다. *《옛》 자히ᄧᆞ다
  • 잽싸다: 동작이 매우 빠르고 날래다.
  • 잿빛: 재의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은빛. 회색. *《옛》 ᄌᆡᆺ빗 《어원》 재+-ㅅ+빛
  • 쟁이다: 물건을 차곡차곡 포개어 쌓아 두다. 고기 따위의 음식을 양념하여 그릇에 차곡차곡 담아 두다.
  • 저: 가로로 불게 되어 있는 관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 뎌, 져
  • 저녁: 해가 질 무렵부터 밤이 되기까지의 사이. *《옛》 져녁, 뎌녁
  • 저녘: 저쪽. *《옛》 뎌녁
  • 저르다: 짧다. *《출전》 맛당히 그 긴 것은 취ᄒᆞ고 졀은 것은 벌릴지라 - 설중매(1908)
  • 저리다1: 마비되다.
  • 저리다2: 두렵게 하다. 위협하다. *《옛》 저리다
  • 저물다: 해가 져서 어두워지다. *《옛》 져믈다
  • 저물우다: 저물게 하다. *《옛》 져믈우다
  • 저미다: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얇게 베어 내다. 칼로 도려내듯이 쓰리고 아프게 하다. 마음을 몹시 아프게 하다. *《옛》 뎨미다, 졈이다
  • 저버리다: 배신하다, 어기다, 거절하다. *《옛》 지여ᄇᆞ리다 《어원》 지-+-어(-여)+버리-
  • 저분저분하다: 지저분하다. *《옛》 저븐저븐ᄒᆞ다
  • 저쑵다: 절하다. *《옛》 저ᅀᆞᆸ다
  • 저어되다: 염려되거나 두려워지다. *《어원》 젛-+-어+되-
  • 저어하다: 염려하거나 두려워하다. *《옛》 저허ᄒᆞ다 《어원》 젛-+-어+하-
  • 저울: 물건의 무게를 다는 데 쓰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저울
  • 저이다: 두렵게 하다. 위협하다. *《옛》 저히다 《어원》 젛-+-이-
  • 저줍다: 말을 더듬다. *《옛》 저줍다
  • 저자: 시장(市場). *《옛》 져재
  • 저잣거리: 가게가 죽 늘어서 있는 거리. *《옛》 져졧거리
  • 저제: 지나간 때에.
  • 저즈리다: 재거나 짐작하다. *《옛》 저즈리다
  • 저즈리다: 절제하다. *《옛》 저즈리다
  • 저즈음: 접때쯤. *《옛》 뎌주ᅀᅮᆷ 《어원》 저+즈음
  • 저지레하다: 일이나 물건에 문제가 생기게 만들어 그르치다. *《옛》 저즈레ᄒᆞ다
  • 저지르다: 죄를 짓거나 잘못이 생겨나게 행동하다. *《옛》 저즐다
  • 저축거리다: 다리에 힘이 없어 다리를 절며 걷다.
  • 저축이다: 절뚝거리다. *《옛》 저촉이다, 저추기다, 저축이다 《출전》 【治蹄門이 腫痛點腳病ᄒᆞᄂᆞ니】 뎨문이 브어 알코 다리ᄅᆞᆯ 저추기ᄂᆞᆫ 병을 고티ᄂᆞ니 - 마경초집언해
  • 저치다1: 거리끼거나 얽매이다. *《옛》 저치다
  • 저치다2: 거리끼게 하거나 성가시게 하다. 방해하다. *《옛》 저치다
  • 저투리다: 두려워하다. *《옛》 저투리다 《어원》 젛-+두리-(恐)
  • 저퍼하다: 두려워하다. *《옛》 저퍼ᄒᆞ다 《어원》 젛-+-브-+-어+ᄒᆞ-
  • 저프다: 두렵다. *《옛》 저프다 《어원》 젛-+-브-
  • 저픔: 두려움. *《옛》 저품 《어원》 젛-+-브-+-옴/움
  • 적다1: 필기하다(筆記-). *《옛》 뎍다
  • 적다2: 수효나 분량, 정도가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 *《옛》 젹다
  • 적시다1: 물 따위의 액체를 묻혀 젖게 하다. *《옛》 적시다
  • 적시다2: 여자가 정조를 빼앗겨 몸을 더럽히다. *《옛》 적시다
  • 적은덧: 잠시(暫時). *《옛》 져근덛 《어원》 적-+-은+덧
  • 적잖다: 적은 수나 양이 아니다. *《어원》 적-+-지+아니+하-
  • 1: 사찰. *《옛》 《출전》 뎔為佛寺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2: 남에게 공경하는 뜻으로 몸을 굽혀 하는 인사. *《옛》 절
  • 절다1: 한쪽 다리가 짧거나 다쳐서 걸을 때에 몸을 한쪽으로 기우뚱거리다. *《옛》 절다
  • 절다2: 푸성귀나 생선 따위에 소금기나 식초, 설탕 따위가 배어들다. 땀이나 기름 따위의 더러운 물질이 묻거나 끼어 찌들다. *《옛》 젿다
  • 절이다: 푸성귀나 생선 따위를 소금기나 식초, 설탕 따위에 담가 간이 배어들게 하다. ‘절다’의 사동사. *《옛》 졀이다 《출전》 【只有鹽瓜兒】 다믄 저린 외옷 잇다 - 번역노걸대(상)
  • 절임: 소금, 장, 술찌끼, 설탕 따위를 써서 절이는 일. 또는 그렇게 한 식료품.
  • 절하다: 공경하는 뜻으로 몸을 굽히다. *《옛》 절ᄒᆞ다 《출전》 【見有天祠 卽爲禮拜】 하ᄂᆞᆯ 祭ᄒᆞ던 ᄯᅡᄒᆞᆯ 보고 절ᄒᆞ다가 - 석보상절(6)
  • 젊다: 나이가 한창때에 있다. *《옛》 졈다
  • 젊음: 젊은 상태. 또는 젊은 기력.
  • 점글다: 저물다. *《옛》 졈글다
  • 점다: 젊다. *《옛》 졈다
  • 점잖다: 언행이나 태도가 의젓하고 신중하다. 품격이 꽤 높고 고상하다. *《옛》 졈잔타, 졈잖다 《어원》 점-(>젊-)+-지+아니+하-
  • 점직하다: 부끄럽고 미안하다. *《옛》 점즉ᄒᆞ다
  • 접다1: 천이나 종이 따위를 꺾어서 겹치다. *《옛》 뎝다>졉다>접다
  • 접다2: 용서하다. 참작하다(參酌-). *《옛》 졉다
  • 접숙이다: 접어 숙이다. *《옛》 뎝수기다 《어원》 접-+숙-+-이-
  • 접어보다: 용서하다. 참작하다(參酌-). *《옛》 져버보다 《어원》 접-(恕)+어-+보- 《출전》 恕ᄂᆞᆫ 내 모ᄆᆞ로 ᄂᆞᆷ 져버 볼씨라 - 능엄경언해(1461)(3:82)
  • 접어생각하다: *《옛》 져버ᄉᆡᆼ각ᄒᆞ다 《출전》 恕恕恕 져버 ᄉᆡᆼ각ᄒᆞ고 져버 ᄉᆡᆼ각ᄒᆞ고 져버 ᄉᆡᆼ각ᄒᆞ면 - 삼성훈경(1880)
  • 접어주다: 용서하다. 참작하다.
  • 접어하다: 용서하다. *《옛》 져버ᄒᆞ다 《출전》 【恕己之心으로 恕人이면 不患不到聖賢地位也ㅣ리라】 내 몸 져버 ᄒᆞᄂᆞᆫ ᄆᆞᅀᆞᄆᆞ로 사ᄅᆞᄆᆡ ᄆᆞᅀᆞᆷ 져버 보면 셔ᇰ현 디위예 몯 갈가 분별 아니ᄒᆞᆯ 거시리 - 번역소학(8)(1518)
  • 접어헤아리다: 용서하다. 참작하다(參酌-). *《옛》 졉어혜아리다 《어원》 접-(恕)+-어+헤아리- 《출전》 體諒 졉어 혜아리다 - 역어유해보(1775)
  • 접질리다: 심한 충격으로 지나치게 접혀서 삔 지경에 이르다.
  • 접히다: 자기보다 못한 사람과 상대할 때, 상대편의 수준에 맞추어 자기 수준을 낮추어 주거나 그에게 유리한 조건을 주게 되다. *《옛》 졉히다
  • 1: 새우ㆍ조기ㆍ멸치 따위의 생선이나, 조개ㆍ생선의 알ㆍ창자 따위를 소금에 짜게 절이어 삭힌 음식. *《옛》 젓
  • 2: 전나무. 젓나무. *《옛》 젓
  • 젓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옛》 젓나모
  • 젓다: 액체나 가루 따위가 고르게 섞이도록 손이나 기구 따위를 내용물에 넣고 이리저리 돌리다. *《옛》 젓다
  • 1: 분만 후에 포유류의 유방에서 분비하는 유백색의 불투명한 액체. 포유류의 가슴 또는 배의 좌우에 쌍을 이루고 있는, 젖을 분비하기 위한 기관. *《옛》 졎
  • 2: 혹. 종양. *《옛》
  • 젖다1: 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옛》 젖다
  • 젖다2: 뒤로 기울다. *《옛》 졎다
  • 젖먹이
  • 젖붙다: 젖혀져 붙다. *《옛》 졋붙다
  • 젖어미: ‘젖어머니(남의 아이에게 그 어머니 대신 젖을 먹여 주는 여자.)’를 낮추어 이르는 말. *《옛》 졋어미
  • 젖이다: 적시다. *《옛》 저지다 《어원》 젖-+-이-
  • 젖히다: 뒤로 기울어지게 하다.
  • 젛다: 두려워하다. *《옛》 젛다
  • 져주다: 따지다. 신문(訊問)하다. *《옛》 져주다
  • 1: ‘저’에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을 때의 형태. *《옛》 제
  • 2: ‘적에’가 줄어든 말. *《옛》 제 《출전》 【失驪役徒 言歸于家 維十人心 天實誘他】 驪山 役徒ᄅᆞᆯ 일ᄒᆞ샤 지ᄇᆞ로 도라오시ᇙ 제 열희 ᄆᆞᅀᆞᄆᆞᆯ 하ᄂᆞᆯ히 달애시니 - 용비어천가(18장), 憚亰使者 爰涉于海 維二百户 維其請爾】 셔ᄫᅳᆳ 使者ᄅᆞᆯ ᄭᅥ리샤 바ᄅᆞᄅᆞᆯ 건너시ᇙ 제 二百 户ᄅᆞᆯ 어느 뉘 請ᄒᆞ니 - 용비어천가(18장) 《참조》 어릴 제
  • 제기다1: 팔꿈치나 발꿈치 따위로 지르다. *《옛》 뎌기다
  • 제기다2: 파고들다. *《옛》 뎌기다
  • 제겨디디다: 발끝이나 발뒤꿈치만으로 땅을 디디다. *《옛》 져기드듸다
  • 제끼다: 젖히다. 제치다.
  • 제미붙을: 제 어미와 붙을 것이라는 뜻으로, 남을 경멸하거나 저주할 때 욕으로 하는.
  • 제비: 제빗과의 새. *《옛》 져비, 졔비
  • 제주변: 자유
  • 제주변하다: 자유롭다. *《옛》 제쥬변ᄒᆞ다 《출전》 自由 제 쥬변ᄒᆞ다 - 어록해-개간본(1669)
  • 제치다: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옛》져티다, 져치다 《어원》 젖-+-히-
  • 조각1: 한 물건에서 따로 떼어 내거나 떨어져 나온 작은 부분. *《옛》 조각 《어원》 족(>쪽)+-악 《출전》 【頭破作七分 如阿梨樹枝】 머리ᄅᆞᆯ 닐굽 조가개 ᄢᅢ텨 阿利樹ㅅ 가지 ᄀᆞ티 호리니 - 석보상절(21)(1447)
  • 조각2: 고동(작동을 시작하게 하는 기계 장치). 기틀. *《옛》 조각
  • 조각3: 낌새. *《옛》 조각
  • 조그마하다: 조금 작거나 적다. 그리 대단하지 아니하다. *《옛》 죠고마ᄒᆞ다
  • 조금: 적은 정도나 분량. *《옛》 죠곰
  • 조기다: [북한어] 마구 두들기거나 패다. *《옛》 죡이다
  • 조막: 주먹보다 작은 물건의 덩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라이: 친밀하게(親密-). 흉허물 없이. *《옛》 ᄌᆞ올아ᄫᅵ 《출전》 老去親知見面稀 늘거 가매 ᄌᆞ올아이 아논 사ᄅᆞᄆᆡ ᄂᆞᄎᆞᆯ 보미 드므도다 - 분류두공부시언해(1632)
  • 조라이하다: 친밀히 하다. *《출전》 【賢者ᄂᆞᆫ 狎而敬之ᄒᆞ고 畏而愛之ᄒᆞ며】 어딘 사ᄅᆞᄆᆞᆫ 조라이 홀 듸도 고ᇰ겨ᇰᄒᆞ며 저픈 ᄃᆡ도 ᄉᆞ라ᇰᄒᆞ며 - 번역소학(4권)(1518)
  • 조랍다: 친밀하거나 흉허물이 없다. 친하다(親). *《옛》 ᄌᆞ올압다
  • 조르다1: 동이거나 감은 것을 단단히 죄다. *《옛》 ᄌᆞᄅᆞ다
  • 조르다2: 다른 사람에게 차지고 끈덕지게 무엇을 자꾸 요구하다. *《옛》 조로다, 졸오다
  • 조리다: 양념을 한 고기나 생선, 채소 따위를 국물에 넣고 바짝 끓여서 양념이 배어들게 하다. *《옛》 조리다
  • 조리차하다: 아껴서 알뜰하게 쓰다.
  • 조릿조릿하다: 마음을 놓을 수 없게 조바심이 나다. *《옛》 조릿조릿ᄒᆞ다
  • 조막손: 손가락이 오그라져 펴지 못하는 손.
  • 조보왜다: 좁고 좀스럽다. *《옛》 조보왜다
  • 조아리다: 상대편에게 존경의 뜻을 보이거나 애원하느라고 이마가 바닥에 닿을 정도로 머리를 자꾸 숙이다
  • 조이다: ‘죄다’의 본말.
  • 조지: 손잡이. *《옛》 조지
  • 조지다1: 짜임새가 느슨하지 않도록 단단히 맞추어서 박다. *《옛》 조지다
  • 조지다2: 일신상의 형편이나 일정한 일을 망치다.
  • 조촐하다: 아담하고 깨끗하다. 행동, 행실 따위가 깔끔하고 얌전하다. 호젓하고 단출하다. *《옛》 조ᄎᆞᆯᄒᆞ다, 조촐ᄒᆞ다 《어원》 좋-(淨)+-ᄋᆞᆯ-+하-
  • 조촐히: 아담하고 깨끗이. *《옛》 조초리
  • 조추: 차차 나중에.
  • 조추: 쫓아. 따라. *《옛》 조초
  • 조치: 세로. *《옛》 조치
  • : 부추. *《옛》 졸
  • 졸다1: 잠을 자려고 하지 않으나 저절로 잠이 드는 상태로 자꾸 접어들다. *《옛》 ᄌᆞ올다, 조올다
  • 졸다2: 찌개, 국, 한약 따위의 물이 증발하여 분량이 적어지다.
  • 졸다3: (속되게) 위협적이거나 압도하는 대상 앞에서 겁을 먹거나 기를 펴지 못하다. *《참조》 쫄다 - 비표준어
  • 졸다4: 줄다. *《옛》 졸다
  • 졸리다1 자고 싶은 느낌이 있다. *《옛》 조올리다
  • 졸리다2: 동이거나 감은 것이 단단히 죄이다. *《어원》 조르-+-이-
  • 졸이켜다: 쪼그라뜨리거나 줄이다. 쪼그라들거나 줄다. *《옛》 조리혀다
  • 졸아들다: 액체가 증발하여 그 분량이 적어지다. 부피나 분량이 작게 되거나 적어지다.
  • 1: 조금의 준말. *《옛》 점
  • 2: 좀벌레
  • 좀것: 좀스럽게 생긴 물건이나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옛》 좀것 《어원》 좀+것 《출전》 平尙的 좀것 - 역어유해보(1775)
  • 좀꾀: 좀스러운 잔꾀. *《출전》 아직도 좀꾀를 부려서 나를 속이고 - 꿈《이광수 1947》
  • 좀놈: 잡놈. *《옛》 좀놈
  • 좀되다: 사람의 됨됨이나 언행이 너무 치사스럽고 잘다. *《옛》 좀되다 《출전》 粗糙 좀되다 - 몽어유해보(1790)
  • 좀먹다: 좀이 쏠다. 어떤 사물에 드러나지 않게 조금씩 조금씩 자꾸 해를 입히다. *《옛》 좀먹다 《출전》 蚛 좀머글 듀ᇰ - 훈몽자회(1527)(하)
  • 좀솜씨: *《옛》 좀숌씨 《출전》 좀숌씨 拙手 - 한불자전
  • 좀스럽다: 사물의 규모가 보잘것없이 작다.
  • 좁다: *《옛》 좁다
  • 좁쌀: 조의 열매를 찧은 쌀. 작고 좀스러운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 조ᄡᆞᆯ
  • 좃다: 조아리다의 옛말. *《옛》 좃다 《활용》 [ㅅ불]
  • 종: 예전에, 남의 집에 딸려 천한 일을 하던 사람. *《옛》 죠ᇰ
  • 종요: 요체나 요점. *《옛》 조ᅀᆞᆯ 《참조》 종요롭다
  • 종요롭다: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매우 긴요하다. 중요하다. *《옛》 조ᅀᆞᄅᆞᄫᆡ다, 조요ᄅᆞ외다
  • 종이: 식물성 섬유를 원료로 하여 만든 얇은 물건. *《옛》 죠ᄒᆡ, 죠희, 죵ᄒᆡ, 됴ᄒᆡ, 됴희, 죵희, 조희 《출전》 죠ᄒᆡ為紙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좇다1: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 남의 말이나 뜻을 따르다. 규칙이나 관습 따위를 지켜서 그대로 하다. *《옛》 좇다
  • 좇다2: 쫓다. *《옛》 좇다
  • 좇다3: 겸하다. *《옛》 좇다
  • 좇니다: 좇아 다니다. *《옛》 좃니다
  • 좇드디다: 답습하다(踏襲-). *《옛》 좃드듸다 《어원》 좇-+드디-(드듸)
  • 좇붙다: 딸리다. 속하다. *《옛》 좃븥다 《어원》 좇-+붙-
  • 좇아가다: 남의 말이나 뜻을 따라가다.*《옛》 조차가다 《어원》 좇-+-아+가- 《출전》 【隨從我孫咸皆奉命】 내 孫子 조차가게 ᄒᆞ라 ᄒᆞ시니 - 석보상절(6권)
  • 좇아오다: 남의 말이나 뜻을 따라오다. *《옛》 조차오다 《어원》 좇-+-아+오-
  • 좇이다: 아우르거나 겸하다. *《옛》 조치다
  • 좇이다: 쫓기다. *《옛》 조치다 《어원》 좇-+-이-
  • 좇잡다: 좇다의 높임말. *《옛》 좇ᄌᆞᆸ다
  • 좋궂다: 좋거나 궂다. *《옛》 됴쿶다 《어원》 좋-+궂-
  • 좋궂음: 좋고 궂음. 길흉. *《옛》 됴쿠줌 《출전》 【心不自正卜問覓禍。】 ᄆᆞᅀᆞ미 正티 몯ᄒᆞ야 됴쿠주믈 묻그리 ᄒᆞ야 - 석보상절(9)(1447)
  • 좋궂이: 좋고 궂음. 길흉. *《옛》 됴쿠지 《어원》 좋-+궂-+-이
  • 좋다1: 좋다. *《옛》 둏다 《참조》 둏다>죻다>좋다 (구개음화,단모음화)
  • 좋다2: 깨끗하다. *《옛》 조ᄒᆞ다 《출전》 淨은 조ᄒᆞᆯ씨라 - 월인석보 서문
  • 좋아하다: 어떤 일이나 사물 따위에 대하여 좋은 느낌을 가지다. *《어원》 좋-+-아+하-
  • 좋이: 깨끗이. *《옛》 조히
  • 좋이우다1: 깨끗하게 하다.*《옛》 조ᄒᆡ오다 《어원》 좋-(淨)+-이-+-우-
  • 좋이우다2: 좋게하다. 낫게하다. *《옛》 됴ᄒᆡ오다 《어원》 좋-(둏-)+-이-+-우-
  • 좋이하다: 깨끗이 하다. *《옛》 조히ᄒᆞ다 《어원》 좋-(淨)+-이+하- 《출전》 【絟在陰涼處 着刨子刮的乾淨着。 每日洗刷 抱的乾乾淨淨地】 그늘 서느러운 듸 ᄆᆡ여 두고 글게로 글거 조히 ᄒᆞ야 ᄒᆞᄅᆞ 세 번식 ᄆᆡᅀᅵᆯ 싯기며 - 번역박통사(상:21)(1517)
  • 주검: 시체. 주검(샘) *《옛》 주검 《어원》 죽-+-엄
  • 주름: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 옷의 가닥을 접어서 줄이 지게 한 것. *《옛》 주룸, 주롬 《어원》 줄-+-음
  • 주름잡다: 모든 일을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주동이 되어 처리하다. *《옛》 조롬잡다
  • 주릅: 흥정을 붙여 주고 보수를 받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중개인(仲介人). *《옛》 즈름, 즐음
  • 주릅값: 흥정을 붙여 주고 그 보수로 받는 돈. 중개료(仲介料). *《옛》 즈르ᇝ값, 즐음값
  • 주릅아비: 주릅. *《옛》 즈름아비
  • 주리다: (주로 ‘배’를 목적어로 하여) 제대로 먹지 못하여 배를 곯다. *《옛》 주으리다, 주우리다, 주리다
  • 주머니: 자질구레한 물품 따위를 넣어 허리에 차거나 들고 다니도록 만든 물건. 천이나 가죽 따위로 만든다. *《옛》 주머니
  • 주먹: 손가락을 모두 오므려 쥔 손. *《옛》 주먹, 주머귀
  • 주무르다: 손으로 어떤 물건이나 몸뚱이 따위를 쥐었다 놓았다 하면서 자꾸 만지다. *《옛》 쥐므르다
  • 주변: 어떤 일을 처리하는 솜씨. *《옛》 쥬변
  • 주변답다: 자유롭다. *《옛》 쥬변ᄃᆞᆸ다 《출전》 【自由更自由ᄒᆞ니 閑忙이 共一時로다】 쥬변ᄃᆞᆸ고 ᄯᅩ 쥬변ᄃᆞ외니 겨르ᄅᆞ외며 밧보미 다 ᄒᆞᆫ ᄢᅵ로다 - 금강경삼가해(5)(1482)
  • 주변되다: 자유롭거나 주변이 있다. *《옛》 쥬변ᄃᆞ외다
  • 주변하다1: 일을 주선하거나 변통하다. *《옛》 쥬변ᄒᆞ다
  • 주변하다2: 독단으로 하거나 자유로이 하다. *《옛》 쥬변ᄒᆞ다
  • 주비: 무리(사람이나 짐승 따위가 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옛》 주비
  • 주워대다: 생각이나 논리가 없이 제멋대로 이 말 저 말을 하다. *《옛》 쥬어ᄃᆡ다 《출전》 얼근한 김에 흥이 ᄒᆞᆫ층 더 나서 되고 말고 ᄒᆞᆫ 소리ᄅᆞᆯ ᄒᆞᆷ부루 쥬어ᄃᆡᄂᆞᆫᄃᆡ - 은세계《이인직 1908》
  • 주워섬기다: 들은 대로 본 대로 이러저러한 말을 아무렇게나 늘어놓다. *《옛》 쥬어성기다 《출전》 하더니 무엇 무엇을 쥬어성기ᄂᆞᆫᄃᆡ - 구의성(상)
  • 주위: 장인. *《옛》 쥬위 《출전》 匠 쥬위 쟝 - 신증유합(하)(1576)
  • 주저앉다: 서 있던 자리에 그대로 힘없이 앉다. *《옛》 주잕다, 주자앉다
  • 주전부리: 때를 가리지 아니하고 군음식을 자꾸 먹음. 또는 맛이나 재미, 심심풀이로 먹는 음식. 한자어 과자와 비슷한 말뜻을 가진 낱말이다. 상상플러스에서 쓰여서 널리 알려진 순우리말이기도 하다.
  • 주접
  • 죽다: 생명이 없어지거나 끊어지다. *《옛》 죽다
  • 죽배다: 죽고 망하다. *《옛》 죽배다 《어원》 죽-(死)+배-(亡)
  • 죽살다: 죽고 살다. *《옛》 죽살다 《어원》 죽-+살-
  • 죽살이: 죽음과 삶을 아울러 이르는 말. 생사(生死). *《옛》 죽사리 《어원》 죽-+살-+-이
  • 죽어나다: 일 따위가 매우 힘들고 고달프다. *《어원》 죽-+-어+나- 《출전》 갈수록 죽어나는 건 만만한 백성뿐이로구나. - 논 이야기《채만식 1946》
  • 죽어지내다: 남에게 몹시 눌리어 기를 펴지 못하고 지내다.
  • 죽어지다: 《출전》 차라리 쥭어저셔 이 셔름을 이젓스면 ᄂᆡ 신상에 편ᄒᆞ리라 - 귀의성(상)(1907)
  • 죽음: 죽는 일. 생물의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을 이른다. *《어원》 죽-+-음
  • 죽이다: 생명을 없애거나 끊어지게 하다. *《옛》 주기다 《어원》 죽-+-이-
  • 1: 노, 새끼 따위와 같이 무엇을 묶거나 동이는 데에 쓸 수 있는 가늘고 긴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줄
  • 2: 줄기. *《옛》 줄 《출전》 脈ᄋᆞᆫ 주리라 - 월인석보(8), 脉 줄 ᄆᆡᆨ - 신증유합(1576)
  • 3: 쇠붙이를 쓸거나 깎는 데에 쓰는, 강철로 만든 연장. *《옛》 줄 《출전》 鑢 줄 려 銼 줄 차 - 훈몽자회(1527)
  • 줄기: 고등 식물에 있어서 기본 기관의 하나. *《옛》 줄기
  • 줄기차다: 억세고 세차게 계속되어 끊임없다.
  • 줄다: 물체의 길이나 넓이, 부피 따위가 본디보다 작아지다.
  • 줄어들다: 부피나 분량 따위가 본디보다 작아지거나 짧아지거나 적어지다. *《옛》 주러들다 《어원》 줄-+-어+들-
  • 줄어지다: 점점 줄게 되다. *《옛》 주러지다 《어원》 줄-+-어+지-
  • 줄이켜다: 거두다. 오그리다. 쭈그리다. *《옛》 주리혀다 《어원》 줄-+-이-+켜-
  • 줌: ‘주먹’의 준말. *《옛》 줌
  • 줌치: 주머니. *《옛》 줌치
  • 줍다: 바닥에 떨어지거나 흩어져 있는 것을 집다. *《옛》 줏다
  • 줍모으다: 주워 모으다. *《옛》 줏모호다 《어원》 줍-+모으-
  • 중: 절에서 살면서 불도를 닦고 실천하며 포교하는 사람. 승려. 스님. *《옛》 쥬ᇰ, 즁, 중
  • 중님: 스님. *《옛》 쥬ᇰ님
  • 쥐: 쥣과의 포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쥐
  • 쥐다: 손가락을 다 오므려 엄지손가락과 다른 네 손가락을 겹쳐지게 하다. *《옛》 쥐다
  • 쥐다지다: 쥐어지르거나 쥐어박다. *《옛》 쥐다디다, 쥐-+다지-
  • 쥐빚다: 술 따위를 손으로 주물러서 빚다. *《옛》 쥐빚다 《어원》 쥐-+빚- 《출전》 엇그제 쥐비즌 술을 - 청구가요
  • 쥐어뜯다: 단단히 쥐고 뜯어내다. *《어원》 쥐-+-어+뜯- 《출전》 강동지가 방바닥 치ᄂᆞᆫ 소리를 듯고 더욱 긔가 ᄆᆞᆨ혀셔 가슴을 쥬여ᄯᅳᆺ고 울다가 - 귀의성
  • 쥐어짜다: 억지로 쥐어서 비틀거나 눌러 액체 따위를 꼭 짜내다. *《어원》 쥐-+-어+짜- 《출전》 조희가 흠ㅅ벅 졋어 쥐어ᄶᆞ게 되얏ᄂᆞᆫᄃᆡ - 현미경
  • 쥐잡다: 쥐어잡다. *《옛》 쥐잡다 《어원》 쥐-+잡-
  • 쥐주다: 쥐여 주다. *《옛》 쥐주다 《어원》 쥐-+주-
  • 쥐집다: 반죽하다. *《옛》 쥐집다 《어원》 쥐-+집-
  • 쥐치다: 구제하다(救濟-). *《옛》 쥐치다
  • 즈릅: 큰 창자. *《옛》 즈릅
  • 즈믄: 천(千). *《옛》 즈믄
  • 즈벅즈벅하다: 지꺼분하다. *《옛》 즈벅즈벅ᄒᆞ다
  • 즈음1: 때(時) *《옛》 즈ᅀᅳᆷ
  • 즈음2: 구별. *《옛》 즈ᅀᅳᆷ
  • 즈음3: 사이. *《옛》 즈ᅀᅳᆷ
  • 즈음끼다: 가로막히다. *《옛》 즈음ᄭᅵ다
  • 즈음치다: 사이를 가로막다. *《옛》 즈음츠다
  • 즈음하다1: 특정한 때에 다다르거나 그러한 때를 맞다.
  • 즈음하다2: 구별하다. *《옛》 즈ᅀᅳᆷᄒᆞ다 《출전》 【明佛性이 不間男女ᄒᆞ며】 佛性이 男女ᄅᆞᆯ 즈ᅀᅳᆷ 아니ᄒᆞ며 - 법화경언해(4)(1463)
  • 즈음하다3: 사이에 두거나 사이를 두다. 또는 사이를 막거나 떼어 놓다. *《옛》 즈ᅀᅳᆷᄒᆞ다
  • 즐거움: 즐거운 느낌이나 마음. *《옛》 즐거ᄫᅮᆷ 《어원》 즑-+-어ᇦ-+-움
  • 즐거워하다: 즐겁게 여기다.
  • 즐겁다: 마음에 거슬림이 없이 흐뭇하고 기쁘다. *《옛》 즐겁다 《어원》 즑-+-업-(-어ᇦ-)
  • 즐겨놀다: *《출전》 娛 즐겨놀 오 - 신증유합(하)(1576)
  • 즐굽되다: 애착하는 마음이 있다. *《옛》 즐굽ᄃᆞᄫᆡ다
  • 즐기다: 즐겁게 누리거나 맛보다. *《옛》 즐기다 《어원》 즑-+-이-
  • 즑다: 즐거워하다. *《옛》 즑다
  • 즘: ‘즈음’의 준말.
  • 즘게1: 나무. 큰 나무. *《옛》 즘게
  • 즘게2: 30리가량의 거리. 거리. *《옛》 즘게
  • 즘게나무: 큰 나무. *《옛》 즘게나ᇚ
  • 지게1: 옛날식 가옥에서, 마루와 방 사이의 문이나 부엌의 바깥문. *《옛》 지게
  • 지게2: 짐을 얹어 사람이 등에 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운반 기구.
  • 지게미: 재강에 물을 타서 모주를 짜내고 남은 찌꺼기. *《옛》 쥐여미, 쥐거미
  • 지겹다: 넌더리가 날 정도로 지루하고 싫다.
  • 지껄이다: 약간 큰 소리로 떠들썩하게 이야기하다. ‘말하다’를 낮잡아 이르는 말. *《옛》 짓글히다
  • 지나가다: *《옛》 디나가다 《어원》 지나-+가-
  • 지나다: 시간이 흘러 그 시기에서 벗어나다. 어떤 한도나 정도가 벗어나거나 넘다. 어디를 거치어 가거나 오거나 하다. *《옛》 디나다
  • 지나다니다: 어디를 거쳐서 가고 오고 하다. *《옛》 디나ᄃᆞᆮ니다 《어원》 지나-+다니-
  • 지나오다: 어디를 들르지 않고 그대로 오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무슨 일을 겪어 오다. 어디를 거치거나 가로질러 오다. *《옛》 디나오다 《어원》 지나-+오-
  • 지나치다: 어떤 곳을 머무르거나 들르지 않고 지나가거나 지나오다. 어떤 일이나 현상을 문제 삼거나 관심을 가지지 아니하고 그냥 넘기다. 일정한 한도를 넘어 정도가 심하다. *《옛》 디나티다 《어원》 지나-+치-
  • 지나간뉘: 과거(過去). *《옛》 디나건뉘 《어원》 지나가-+-ㄴ+뉘
  • 지난끼: 과거(過去). *《옛》 디난ᄢᅴ 《어원》 지나-+-ㄴ+끼
  • 지난달: 이달의 바로 앞의 달. *《옛》 지ᄂᆞᆫᄃᆞᆯ
  • 지내다1: 사람이 어떤 장소에서 생활을 하면서 시간이 지나가는 상태가 되게 하다. *《옛》 디내다
  • 지내다2: 짊어져 밖으로 내오다. *《옛》 지내다
  • 지내다3: 겪다. *《옛》 디내다
  • 지늘다: 임하다(臨). 어떤 사태나 일을 대하다. 어떤 장소에 도달하다. *《옛》 디늘다
  • 지니다: 몸에 간직하여 가지다. *《옛》 디니다
  • 지다1: 물건을 짊어서 등에 얹다. *《옛》 지다
  • 지다2: 해나 달이 서쪽으로 넘어가다. 꽃이나 잎 따위가 시들어 떨어지다. *《옛》 디다
  • 지다2: 패배하다. *《옛》 디다
  • 지다3: 값이 싸다. *《옛》 디다 《파생》 값지다
  • 지다4: 주조하다(鑄造-, 녹인 쇠붙이를 거푸집에 부어 물건을 만들다.). *《옛》 디다
  • 지다위
  • 지다위하다:
  • 지더리다: 성품이나 행실이 지나치게 더럽고 야비하다. *《옛》 지더리다 《출전》 지더리다 - 한불자전(1880)
  • 지도리: 돌쩌귀, 문장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지두리
  • 지랄: 간질(뇌전증)으로 인해 일어나는 발작증세.
  • 지러죽다: 요절하다(夭折-). *《옛》 즐어죽다 《어원》 지르-(즈르-)+-어+죽-
  • 지러지다: 요절하다(夭折-). *《옛》 즐어디다 《어원》 지르-(즈르-)+-어+디-
  • 지레: [부사]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 또는 어떤 기회나 때가 무르익기 전에 미리. *《옛》 즐에, 즈레, 지레 《어원》 즈르-+-에
  • 지루하다: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같은 상태가 오래 계속되어 따분하고 싫증이 나다. *《옛》 지리ᄒᆞ다
  • 지르다1: 지름길로 가깝게 가다. *《옛》 즈르다
  • 지르다2: 팔다리나 막대기 따위를 내뻗치어 대상물을 힘껏 건드리다. *《옛》 디ᄅᆞ다, 디르다
  • 지르다3: 목청을 높여 소리를 크게 내다. *《옛》 디ᄅᆞ다
  • 지르디디다: 꽉 눌러 밟다. *《옛》 즈르드듸다
  • 지르밟다: 위에서 내리눌러 밟다.
  • 지르잡다: 졸라 잡다. *《옛》 즈르잡다
  • 지르쥐다: 졸라 쥐다. *《옛》 즈르쥐다
  • 지름길: 멀리 돌지 않고 가깝게 질러 통하는 길. *《옛》 즈르ᇝ긿, 즈름ᄭᅵᆯ, 즈름길, 즈럼길, 지럼길
  • 지리다: 똥이나 오줌을 참지 못하고 조금 싸다. *《옛》 즐히다
  • 지붕: 집의 맨 꼭대기 부분을 덮어 씌우는 덮개. *《옛》 집웋
  • 지뻑거리다: 길이 험하거나 어두워 잘 보이지 않거나, 또는 다리에 힘이 없어서 휘청거리며 서투르게 걷다.
  • 지뻑이다: 지뻑거리다. *《옛》 집벅이다
  • 지새: 기와[방언-제주]]. 기와(샘) *《옛》 디새, 지새 《옛》 瓦頭 지새 - 역어유해보(1775)
  • 지새다1: 달이 사라지면서 밤이 새다.
  • 지새다2: → 지새우다.
  • 지새우다: 고스란히 새우다.
  • 지스러기: 골라내거나 잘라 내고 남은 나머지. *《참조》 찌끼(즈싀)
  • 지실: 어떤 재앙으로 해가 되는 일.
  • 지아비: 남편. *《옛》 집아비, 짓아비 《어원》 집+아비/집+-ㅅ+아비
  • 지에하다: 날뛰거나 뛰놀다. *《옛》 지에ᄒᆞ다
  • 지여다: 기대다, 의지하다. *《옛》 지ᅘᅧ다, 지여다
  • 지우다1: 쓴 글씨나 그린 그림, 흔적 따위를 지우개나 천 따위로 보이지 않게 없애다. *《옛》 디오다
  • 지우다2: 일정한 기간이 지날 때까지 시간을 보내다. 태아를 배 속에서 죽게 하다.
  • 지우다3: 물건을 짊어서 등에 얹게 하다.
  • 지우다4: 떨어뜨리다. 낮추다. *《옛》 디오다
  • 지위: 번(番). 횟수. *《옛》 디위, 지위 《출전》 【崔九堂前幾度聞】 崔九의 집 알ᄑᆡ 몃 지윌 드러뇨 - 두시언해 중간본(16)(1632)
  • 지이: 짓기. *《옛》 지ᅀᅵ
  • 지이다1: 짓게 하다. *《옛》 지ᅀᅵ다
  • 지이다2: 기대다. *《옛》 지ᅇᅵ다
  • 지이다3: 지게 하다. *《옛》 지이다
  • 지저귀다: 새 따위가 계속하여 소리 내어 울다. *《옛》 지져귀다
  • 지지난달: 지난달의 바로 전달. *《옛》 지지ᄂᆞᆫᄃᆞᆯ
  • 지지: 지지듯이. *《옛》 지지
  • 지지다1: 불에 달군 물건을 다른 물체에 대어 약간 태우거나 눋게 하다. *《옛》 지지다
  • 지지다2: 지저귀다. *《옛》 지지다
  • 지지르다: 기운이나 의견 따위를 꺾어 누르다. 무거운 물건으로 내리누르다. *《옛》 지즐우다
  • 지질구레하다: 변변하지 아니하고 지저분하다. *《옛》 즈즐우러ᄒᆞ다
  • 지질다: 지지르다. *《옛》 지즐다
  • 지질다: 말미암다. 인하다(因). *《옛》 지즐다
  • 지질리다: 압도되다. 지지르다의 피동형. *《옛》 지즐이다
  • 지질먹다: 지질러 먹다. *《옛》 지즐먹다 《어원》 지질-+먹-
  • 지질앉다: 지질러 앉다. *《옛》 지즐앉다 《어원》 지질-+앉-
  • 지질지질: 물기가 많아서 조금 진 듯한 모양. *《옛》 즈즐즈즐
  • 지질타다: 지질러 타다. *《옛》 지즐ᄐᆞ다 《어원》 지질-+타-
  • 지질하다: 싫증이 날 만큼 지루하다. *《옛》 즈즐ᄒᆞ다
  • 지치다1: 힘든 일을 하거나 어떤 일에 시달려서 기운이 빠지다. *《옛》 디치다
  • 지치다2: 설사하다. *《옛》 즈츼다
  • 지투: 짙게. *《옛》 디투 《어원》 짙-+-우
  • 지팡이: 걸을 때에 도움을 얻기 위하여 짚는 막대기. *《어원》 짚- + -앙이
  • 지피다1: 아궁이나 화덕 따위에 땔나무를 넣어 불을 붙이다.
  • 지피다2: 모이다. 한데 엉기어 붙다. *《옛》 지픠다
  • 지피다3: 찌푸려지거나 쭈글쭈글하게 되다. 지픠다
  • 지피우다: 찌푸리다. *《옛》 지픠오다
  • 직누리: 난간(층계, 다리, 마루 따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欄干). *《옛》 딕누리
  • 진구렁: 질척거리는 진흙 구렁. 빠져나오기 어려운 험난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원》 질-+-ㄴ+구렁
  • 진드기: *《옛》 진뒤
  • 진저리치다: 차가운 것이 몸에 닿거나 무서움을 느낄 때에, 또는 오줌을 눈 뒤에 으스스 떠는 몸짓. 몹시 싫증이 나거나 귀찮아 떨쳐지는 몸짓. *《옛》 즈ᅀᅥ리티다, 즌저리티다
  • 진펄: 땅이 질어 질퍽한 벌. *《옛》 즌퍼리 《어원》 질-+-ㄴ+벌
  • 진흙: 빛깔이 붉고 차진 흙. *《옛》 즌ᄒᆞᆰ 《어원》 질-+-ㄴ+흙
  • 1: 도구나 신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그것을 이용하여 하는 일의 뜻을 더하여 명사를 만드는 말.
  • 2: 질그릇을 만드는 흙. 또는 그 흙으로 만든 질그릇의 흙바탕. *《옛》
  • 질것: 질흙으로 구워 만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딜엇
  • 질그릇: 잿물을 덮지 아니한, 진흙만으로 구워 만든 그릇. 겉면에 윤기가 없다. *《옛》 딜그릇
  • 질기다: 물건이 쉽게 해지거나 끊어지지 아니하고 견디는 힘이 세다. *《옛》 질긔다
  • 질기굳다: 질기고 굳다. 꿋꿋하다. *《옛》 질긔굳다
  • 질다1: 밥이나 반죽 따위가 되지 아니하고 물기가 많다. 땅이 질척질척하다. *《옛》 즐다
  • 질다2: 지저분하거나 난잡하다. *《옛》 즐다 《출전》 發浪 즐게 구다…行淫蕩 음탕ᄒᆞ다 - 한청문감
  • 질다3: 임하다. 다다르다. *《옛》 딜다
  • 질리다: 놀라거나 두려워서 기가 막히거나 풀이 꺾이거나 하다. 어떤 일이나 음식 따위에 싫증이 나다.
  • 질흙: *《옛》 딜ᄒᆞᆰ
  • 짊다: 짐을 가뜬하게 꾸려서 지게나 수레 따위에 올려 얹다.
  • 짊어지다: 짐 따위를 뭉뚱그려서 지다.
  • 짐: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챙기거나 꾸려 놓은 물건. *《옛》 짐 《어원》 지-+-ㅁ
  • 집: *《옛》 집
  • 집기슭: 처맛기슭. *《옛》 집기슭
  • 집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으로 물건을 잡아서 들다. *《옛》 집다
  • 집뜰: *《옛》 집ᄠᅳᆶ 《출전》 【過人家庭,或城邑聚落,莊園房舍。】 사ᄅᆞᄆᆡ 집 ᄠᅳᆯ히어나 시혹 城邑 聚略 莊園 房舍ㅣ어나 디나ᄃᆞᆮ뇨ᄃᆡ - 월인석보(21)
  • 집마루: 용마루. *《옛》 집ᄆᆞᄅᆞ 《어원》 집+마루
  • 집안사람: 한 가족이나 가까운 일가를 이르는 말. *《옛》 집아ᇇ사ᄅᆞᆷ
  • 집어내다: 집어서 밖으로 내놓다. 지적하여 밝혀내다. *《옛》 집어내다 《어원》 집-+-어+나-+-이-
  • 집어뜯다: *《옛》 집어ᄯᅳᆺ다 《어원》 집-+-어+뜯- 《출전》 이를 갈아붓치고 ᄃᆡ여드러 져놈을 ᄭᆡ물고 집어ᄯᅳᆺ고 - 비파성
  • 집어른: 가장. *《옛》 집얼운 《어원》 집+어른
  • 집어삼키다: 거침없이 삼키다. 남의 것을 부당하게 가로채어 제 것으로 만들다.
  • 집어세다: 닦달하다.
  • 집어치우다: 하던 일이나 하고자 한 일을 그만두다. *《옛》 집어치우다 《출전》 암아 집어치웟ᄂᆞᆫ지 눈에 보이지 안이ᄒᆞ기에 - 고목화
  • 집주릅: 집 흥정을 붙이는 일을 직업으로 가진 사람. *《옛》 집쥬릅 《출전》 어느 날은 집쥬릅이 와셔 집을 비어 노왓다고 ᄒᆞᄂᆞᆫ지라 - 강상촌(1913)
  • 집터: 집이 있거나 있었거나, 집을 지을 자리. *《옛》 집텋
  • 짓다1: 만들다. *《옛》 짛다
  • 짓다2: ‘지우다2’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옛》 짓다 《출전》 술에 종이 되여 술곳 보면 죽자 사자 셰월을 지어 바리ᄂᆞᆫ - 명월정
  • 짓다3: ‘지우다3’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 짓다: 차리거나 장치하다. *《옛》 짛다
  • 1: 몸을 놀려 움직이는 동작.
  • 2: ‘마구’, ‘함부로’, ‘몹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옛》 즛
  • 3: 모습이나 모양. *《옛》
  • 짓개다: 짓이기다시피 마구 개다. *《옛》 즛ᄀᆡ다
  • 짓궂다: 장난스럽게 남을 괴롭고 귀찮게 하여 달갑지 아니하다. *《출전》 그리ᄒᆞᆯᄉᆞ록 짓구진 아ᄒᆡ들은 돌질을 더 ᄒᆞ고 - 추풍감수록
  • 짓누르다: 함부로 마구 누르다.
  • 짓달이다: 매우 달이다. *《옛》 짓달히다
  • 짓두드리다: 함부로 마구 두드리다. *《옛》 즛두드리다
  • 짓마다: 짓이기다시피 잘게 부스러뜨리다. 흠씬 두들기다. *《옛》 즛ᄆᆞᄋᆞ다 《어원》 짓(즛)+마-(ᄆᆞᄋᆞ-)
  • 짓무르다: 살갗이 헐어서 문드러지다. 채소나 과일 따위가 너무 썩거나 무르거나 하여 푹 물크러지다. *《옛》 즛므르다
  • 짓바수다: 함부로 마구 바수다. *《출전》 마음ᄃᆡ로 ᄒᆞᆯ 것 갓흐면 문을 짓바수고 ᄯᅱ여 들어가고 십으나 - 목단화
  • 짓밟다: 함부로 마구 밟다. *《옛》 즐ᄇᆞᆲ다
  • 짓썰다: 마구 썰다. *《옛》 즛서흘다
  • 짓씹다: 짓이기다시피 몹시 씹다. *《옛》 즛십다
  • 짓이기다: 함부로 마구 짓찧어 다지다. *《옛》 즛닉이다
  • 짓주무르다: 다른 사람이나 일 따위를 제 마음대로 함부로 다루다. *《출전》 사람을 짓주무르고 놀릴 적에는 할 소리, 안 할 소리, 갖은 잡보 짓을 다 하고 채신머리없이 굴면서 - 무영탑《현진건 1938~1939》
  • 짓찧다: 함부로 몹시 찧다. *《옛》 즛딯다
  • 짓치다: 함부로 마구 치다. *《옛》 즛티다
  • 짖다: 개가 목청으로 소리를 내다. 까마귀나 까치가 시끄럽게 울어서 지저귀다. *《옛》 즞다, 즛다
  • : 깃의 방언(강원, 함경). *《옛》
  • 짙다1: 빛깔이 강하다. 진하다. *《옛》 딭다
  • 짙다2: 융성하다. *《옛》 딭다
  • 짚다: *《옛》 딮다
  • 짜개지다: 주로 나무와 같은 단단한 물건이 저절로 또는 연장으로 베이거나 찍혀서 갈라지다.
  • 짜그라지다: 짓눌려서 여기저기 고르지 아니하게 오그라지다.
  • 짜그리다:
  • 짜깁기: 직물의 찢어진 곳을 그 감의 올을 살려 본디대로 흠집 없이 짜서 깁는 일.
  • 짜깁다: 직물의 찢어진 곳을 본디대로 흠집 없이 짜서 깁다. *《어원》 짜-+깁-
  • 짜내다: 액체나 물질 따위가 들어 있는 물건을 누르거나 비틀어서 내용물이 밖으로 나오게 하다.
  • 짜다1: 소금과 같은 맛이 있다. *《옛》 ᄧᆞ다
  • 짜다2: 실이나 끈 따위를 씨와 날로 결어서 천 따위를 만들다. 계획이나 일정 따위를 세우다. *《옛》 ᄧᆞ다
  • 짜다3: 누르거나 비틀어서 물기나 기름 따위를 빼내다. *《옛》 ᄧᆞ다, ᄶᆞ다
  • 짜르다: 짧다. *《옛》 ᄶᆞ르다, ᄶᅡ르다 《출전》 사ᄅᆞᆷ의 한셰샹 사ᄂᆞᆫ 것이 긴 듯ᄒᆞ고도 ᄶᅡ르고 ᄶᅡ른 듯ᄒᆞ고도 긴 것이오 - 두견성(하)(1912), 밤은 ᄶᆞ르고 ᄒᆡᄂᆞᆫ 길어지며 아즈랑이ᄂᆞᆫ 암을암을ᄒᆞ고 - 강상루(1919)
  • 짜맞추다: 흩어지거나 조각난 것들을 잘 들어맞게 하다. *《어원》 짜-+맞-+-추-
  • 1: 둘 또는 그 이상이 서로 어울려 한 벌이나 한 쌍을 이루는 것. 또는 그중의 하나. *《옛》 ᄧᅡᆨ
  • 2: ‘쌍을 이루지 못한’ 또는 ‘쌍을 이루는 것과 조화되지 아니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짝맞다: 짝이 맞다. *《옛》 쟉맞다 《어원》 짝+맞-
  • 짝배: 편주. 작은 배. *《옛》 ᄧᅡᆨᄇᆡ 《어원》 짝-+배
  • 짝사랑: 한쪽만 상대편을 사랑하는 일. *《옛》 ᄧᅡᆨᄉᆞ랑 《어원》 짝-+사랑
  • 짝없다: *《옛》 ᄧᅡᆨ없다 《출전》 【我婦端正人中少雙。】 내 겨지븨 고ᄫᅩ미 사ᄅᆞᇝ 中에도 ᄧᅡᆨ 업스니 - 월인석보(7), 【昔年에 無偶去ᄒᆞ니】 녯 ᄒᆡ예 ᄧᅡᆨ 업시 가니 - 삼강행실도
  • 짝지우다
  • 짝짓기: 교미(交尾). *《어원》 짝+짓-+-기
  • 짝짓다: 동물 따위의 암수가 짝을 이루거나, 짝이 이루어지게 하다. 또는 교미하다. 교미하다. *《어원》 짝+짓-
  • 짝하다: 둘이 서로 어울려 한 벌이나 한 쌍을 이루다. *《옛》 ᄧᅡᆨᄒᆞ다 *《어원》 짝+하-
  • 짠하다1: 안타깝게 뉘우쳐져 마음이 조금 언짢고 아프다.
  • 짠하다2: 간절하다(懇切-). *《옛》 ᄧᆞᆫᄒᆞ다
  • 짠한마음: 간절(懇切)한 마음. 절심(切心). *《옛》 ᄧᆞᆫ 《출전》 【切心做工夫를】 ᄧᆞᆫᄒᆞᆫ ᄆᆞᅀᆞᆷ으로 工夫 일우ᄆᆞᆯ - 선가귀감(1610)
  • 짧다: 잇닿아 있는 공간이나 물체의 두 끝의 사이가 가깝다. *《옛》 뎌르다, 댜ᄅᆞ다, 댜르다, 져르다, 졀다
  • 짬짜미: 담합.
  • 짭짭하다: 《옛》 ᄶᅡᆸᄶᅡᆸᄒᆞ다 《출전》 ᄶᅡᆸᄶᅡᆸᄒᆞ다 醎 - 한불자전
  • 째: ‘차례’나 ‘등급’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동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옛》 자히
  • 째다: 물건을 찢거나 베어 가르다. *《옛》 ᄧᆡ다, ᄶᆡ다
  • 째어지다: 터져서 갈라지거나 베어져서 벌어지다. *《옛》 ᄧᆡ야디다
  • 쩍: 투전 노름의 한가지. 여섯 장 중에 같은 자 셋이 두 벌 된 것으로 다툰다.
  • 쩔쩔매다: 어찌할 줄 몰라서 정신을 못 차리고 헤매다.
  • 쪼가리: 작은 조각. *《어원》 쪽+-아리
  • 쪼개다: 둘 이상으로 나누다. *《옛》 ᄧᅩ긔다
  • 쪼다: 뾰족한 끝으로 쳐서 찍다. *《옛》 좃다
  • 쪼들리다: 넉넉하지 못하고 어렵다. *《옛》 쪼들리다 《출전》 어려서부터 굶주리고 헐벗어서 가난에 쪼들리던 영애로는 여간 기쁜 일이 아니었다. - 흑풍《한용운 1935~1936》
  • 1: 방향을 가리키는 말. *《옛》 쪽
  • 2: 쪼개진 물건의 한 부분. 조각. *《옛》 , ᄧᅩᆨ 《파생》 조각, 쪼가리
  • 3: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족 《출전》 藍 족 남 - 광주천자문(1575)
  • 4: ‘얼굴’을 속되게 이르는 말.
  • 쪽빛: 남색.
  • 쪽찌다: 쪽을 찌다. *《옛》 족지다
  • 쪽팔리다: (속되게) 부끄러워 체면이 깎이다.
  • 쫓겨나다: 어떤 장소나 직위에서 내쫓김을 당하다.
  • 쫓기다: 어떤 대상이 급히 뒤따름을 당하다. *《어원》 쫓-+-기-
  • 쫓다: 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하여 뒤를 급히 따르다. *《옛》 ᄧᅩᆾ다, ᄶᅩᆾ다
  • 쫓아가다: 어떤 사람이나 물체 따위의 뒤를 급히 따라가다.
  • 쫓아다니다: 남의 뒤를 졸졸 따라다니다.
  • 쬐다: 볕이 들어 비치다. 볕이나 불기운 따위를 몸에 받다. *《옛》 ᄧᅬ다
  • 쭈그리다: 누르거나 욱여서 부피를 작게 만들다. 팔다리를 우그려 몸을 작게 움츠리다. *《옛》 줏구리다
  • 찌그러지다: 짓눌려서 여기저기 고르지 아니하게 우그러지다. *《출전》 그 밑에 다 찌그러져 가는 삼간초가가 장팔의 집이야. - 모란봉《이인직 1913》
  • 찌꺼기: 액체가 다 빠진 뒤에 바닥에 남은 물건.
  • 찌끼: 찌꺼기의 준말. *《옛》 즛의, 즈싀, 즛ᄭᅴ
  • 찌다1: 살찌다. *《옛》 지다
  • 찌다2: 넘치다. *《옛》 ᄣᅵ다
  • 찌들다: 물건이나 공기 따위에 때나 기름이 들러붙어 몹시 더러워지다. 좋지 못한 상황에 오랫동안 처하여 그 상황에 몹시 익숙해지다. *《옛》 디들다
  • 찌르다: 끝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것으로 물체의 겉면이 뚫어지거나 쑥 들어가도록 세차게 들이밀다. *《옛》 디ᄅᆞ다, 디르다, 지르다, 찌르다
  • 찌부러지다: 물체가 눌리거나 부딪혀서 우그러지다. *《옛》 져부러지다, ᄧᅵ부러지다 《출전》 墊 ᄧᅵ부러지다 - 광재물보
  • 찌뿌드드: 몸살이나 감기 따위로 몸이 무겁고 거북한 모양. *《옛》 직부드드 《출전》 不麁澁 디드러 직브드티 아니ᄒᆞ며 - 월인석보, 吝 직브드드 린 - 신증유합(1576), ᄶᅵᆨ부드드ᄒᆞ다 不便 - 한불자전(1880)
  • 찌뿌드드하다: 몸살이나 감기 따위로 몸이 무겁고 거북하다.
  • 찌우다1: 살을 오르게 하다.
  • 찌우다2: 떨어뜨리다. 붓다. *《옛》 ᄣᅵ우다
  • 찌푸리다: 얼굴의 근육이나 눈살 따위를 몹시 찡그리다.
  • 찍다: 날이 있는 연장 따위로 내리치다. 끝이 뾰족한 것으로 찌르다. *《옛》 딕다
  • 찍먹다: 찍어 먹다. 쪼아 먹다. *《옛》 딕먹다 《어원》 찍-+먹-
  • 찍먹이다: 찍어 먹이다. *《옛》 딕머기다 《어원》 찍-+먹-+-이-
  • 찍어누르다
  • 찍쪼다: 찍어 쪼다. *《옛》 딕좃다
  • 찍히다1: 날이 있는 연장 따위로 내리침을 당하다.
  • 찍히다2: 바닥에 대고 눌려서 자국이 생기다. *《옛》 딕히다
  • 찐덥다: 남을 대하기가 마음에 흐뭇하고 만족스럽다. 마음에 거리낌이 없고 떳떳하다. *《옛》 ᄶᅳᆫ덥다
  • 찐덥지다: 만족(滿足)스럽다
  • 찔리다: 끝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것에 물체의 겉면이 뚫어지거나 쑥 들어가도록 세차게 들이밀리다. *《옛》 딜이다, ᄣᅵᆯ이다 《어원》 찌르-+-이-
  • 찡그리다: 얼굴의 근육이나 눈살을 몹시 찌그리다.
  • 찡기다: 찡그리다. *《옛》 ᄶᅵᆼ긔다
  • 찢다: 물체를 잡아당기어 가르다. *《옛》 ᄧᅳᆽ다, ᄶᅳᆽ다
  • 찢어발기다: 갈기갈기 찢어 늘어놓다.
  • 찧다: 곡식 따위를 잘게 만들려고 절구에 담고 공이로 내리치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서 아래 있는 물체를 내리치다. *《옛》 딯다


2.2. ㅊ[편집]


  • 차갑다: 촉감이 서늘하고 썩 찬 느낌이 있다. *《어원》 차-+-갑-
  • 차다1: 일정한 공간에 사람, 사물, 냄새 따위가 더 들어갈 수 없이 가득하게 되다. *《옛》 ᄎᆞ다
  • 차다2: 발로 내어 지르거나 받아 올리다. *《옛》 ᄎᆞ다
  • 차다3: 몸에 닿은 물체나 대기의 온도가 낮다. *《옛》 ᄎᆞ다
  • 차다4: 물건을 몸의 한 부분에 달아매거나 끼워서 지니다. *《옛》 ᄎᆞ다
  • 차라리: 여러 가지 사실을 말할 때에, 저리하는 것보다 이리하는 것이 나음을 이르는 말. *《옛》 ᄎᆞᆯ하리
  • 차리: 차라리. *《옛》 ᄎᆞᆯ히
  • 차리다: 음식 따위를 장만하여 먹을 수 있게 상 위에 벌이다. 기운이나 정신 따위를 가다듬어 되찾다. *《옛》 ᄎᆞ리다, 차리다
  • 차림1: 옷이나 물건 따위를 입거나 꾸려서 갖춘 상태.
  • 차림2: 미리 알고 정신을 차리거나 깨달음. *《옛》 ᄎᆞ림
  • 차이다: 발에 내어 질리거나 받아 올려지다. *《옛》 ᄎᆡ이다, ᄎᆞ이다, 차이다, 채이다
  • 차지다: 반죽이나 밥, 떡 따위가 끈기가 많다.
  • 찬찬하다: 성질이나 솜씨, 행동 따위가 꼼꼼하고 차분하다. *《옛》 ᄎᆞᆫᄎᆞᆫᄒᆞ다
  • : 근원. 근본. *《옛》 ᄎᆞᆶ
  • 찰것: 패물. *《옛》 ᄎᆞᇎ것
  • 찰: ‘끈기가 있고 차진’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옛》 ᄎᆞᆯ
  • 찰지다: ‘차지다’의 원말. *《옛》 ᄎᆞᆯ디다
  • 참: 사실이나 이치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는 것. 진리라는 명사를 뜻하기도 한다. *《옛》 ᄎᆞᆷ
  • 참다: 웃음, 울음, 아픔 따위를 억누르고 견디다. *《옛》 ᄎᆞᆷ다
  • 참답다: 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진실하고 올바른 데가 있다. *《옛》 ᄎᆞᆷ답다
  • 참되다: 진실하고 올바르다. *《옛》 ᄎᆞᆷ되다
  • 참하다: 생김새 따위가 나무랄 데 없이 말쑥하고 곱다. 성질이 찬찬하고 얌전하다.
  • 참히: 참하게. *《옛》 ᄎᆞᆷ히
  • 찹쌀: 찰벼를 찧은 쌀. *《옛》 ᄎᆞᆯᄡᆞᆯ
  • 채다: 갑자기 세게 잡아당기다.
  • 채우다1: 일정한 공간에 사람, 사물, 냄새 따위를 가득하게 하다. *《옛》 ᄎᆡ오다
  • 채우다2
  • 채우다3: 물건을 몸의 한 부분에 달아매거나 끼워서 지니게 하다. *《옛》 ᄎᆡ오다
  • 채이다: → 차이다. *《옛》 채이다
  • 책책하다: 빽빽하다. *《옛》 ᄎᆡᆨᄎᆡᆨᄒᆞ다
  • 챙기다: 필요한 물건을 찾아서 갖추어 놓거나 무엇을 빠뜨리지 않았는지 살피다.
  • 처네: 이불 밑에 덧덮는 얇고 작은 이불. 또는 어린애를 업을 때 두르는 끈이 달린 작은 포대기.
  • 처음: 순서상으로나 시간상으로 맨 앞. 전술한 '마지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맨 처음'과 '최초'는 겹말이다.
  • 처지다: 위에서 아래로 축 늘어지다.
  • 천천하다: 동작이나 태도가 급하지 아니하고 느리다. *《옛》 쳔쳔ᄒᆞ다
  • 1: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 현상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 계절(季節). *《옛》 쳘
  • 2: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힘.
  • 철모르다: 사리를 분간할 줄 모르다.
  • 철없다: 사리를 분별할 만한 지각이 없다.
  • 첨: ‘처음’의 준말.
  • 첫: 맨 처음의. *《옛》 첫
  • 첫끝: 첫머리. *《옛》 첫긑
  • 첫닭: 새벽에 맨 처음 우는 닭. *《옛》 첫ᄃᆞᆰ
  • 첫돐: 백일. *《옛》 첫돐
  • 첫마음: 초심. *《옛》 첫ᄆᆞᅀᆞᆷ
  • 첫조금: 음력 초이레의 조금. *《옛》 첫조곰
  • 쳐버리다: *《옛》 텨ᄇᆞ리다 《출전》 打疊 텨ᄇᆞ리다 - 어록해 초간본
  • 쳐부수다
  • 체: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밭거나 거르는 데 쓰는 기구. *《옛》 체 《출전》 체為籭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추기다: 다른 사람을 꾀어서 무엇을 하도록 하다. *《옛》 쵸기다
  • 추다1: 춤 동작을 보이다. *《옛》 츠다, 추다
  • 추다2: 업거나 지거나 한 것을 치밀어서 올리다. 쇠약해진 몸을 똑바로 가누다. ex) 맥을 못 추다
* 추들다: 추켜들다. *《옛》 추들다
  • 추리다: 섞여 있는 것에서 여럿을 뽑아내거나 골라내다.
  • 추리치다: 요약하다. *《옛》 초리티다
  • 추서다: 병을 앓거나 몹시 지쳐서 허약하여진 몸이 차차 회복되다. *《옛》 츄셔다 《출전》 오냐, 인졔ᄂᆞᆫ, 내가 잇스니, 아모 걱정 말고, 약도 먹고, 미음도 마시어, 네 몸이나, 어셔 츄셔라 - 홍도화(하)(1911)
  • 추스르다: 추어올려 다루다. 몸을 가누어 움직이다. 일이나 생각 따위를 수습하여 처리하다
  • 추위: 추운 정도. *《옛》 치ᄫᅴ, 치ᄫᅱ, 치위, 츄위, 추위
* 추잡다: 추켜잡다. *《옛》 추잡다
  • 추켜들다: 치올리어 들다. *《옛》 츄켜들다, 츅혀들다, 추켜들다 《출전》 좌우 겨드랑을 츅혀들더니 - 화세계(1911)
  • 추켜세우다: 옷깃이나 신체 일부 따위를 위로 가뜬하게 올려 세우다. 정도 이상으로 크게 칭찬하다.
  • 추켜잡다: 치올리어 잡다. *《옛》 츄켜잡다 《출전》 멱살을 츄켜잡고 이 ᄲᅡᆷ 져 ᄲᅡᆷ 치며 - 빈상설(1908)
  • 추키다: 위로 가뜬하게 치올리다. 힘 있게 위로 끌어 올리거나 채어 올리다. *《옛》 추혀다 《어원》 추-+-혀-
  • 축다: 물기에 젖어 축축해지다.
  • 축이다: 물 따위에 적시어 축축하게 하다. *《옛》 츅이다 《출전》 ᄉᆞ지가 ᄲᅥᆺᄲᅥᆺᄒᆞ게 굿고 젼신이 ᄇᆡᆨ지쟝에 물을 츅이여 싸 노은 듯ᄒᆞᆫ지라 - 화의혈(1918)
  • 축축하다: 물기가 있어 젖은 듯하다. *《옛》 축축ᄒᆞ다 《출전》 濕生ᄋᆞᆫ 축축ᄒᆞᆫ ᄃᆡ셔 날씨오 - 석보상절(19)(1447)
  • 춤: 장단에 맞추거나 흥에 겨워 팔다리와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여 뛰노는 동작. *《옛》 춤 《어원》 츠-+-옴/움
  • 춤추다: 장단에 맞추거나 흥에 겨워 팔다리와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여 뛰놀다. *《옛》 춤츠다, 춤추다
  • 춥다: 대기의 온도가 낮다. 몸이 떨리고 움츠러들 만큼 찬 느낌이 있다. *《옛》 칩다
  • 1: ‘위로 향하게’ 또는 ‘위로 올려’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옛》 티
  • 2: 어떠한 특성을 가진 물건 또는 대상. *《옛》 치
  • 치다1: 육성하다. 양육하다. *《옛》 치다 《파생》 양치기
  • 치다2: 손이나 손에 든 물건으로 세게 닿거나 부딪게 하다. 공격하다. *《옛》 티다
  • 치다3: 설치하다(設置-). *《옛》 티다
  • 치다4: 붓이나 연필 따위로 점을 찍거나 선이나 그림을 그리다. *《옛》 티다
  • 치다5: 불필요하게 쌓인 물건을 파내거나 옮기어 깨끗이 하다. *《옛》 츠다
  • 치다6: 가루 상태의 물질을 체로 흔들어서 곱게 만들다. *《옛》 츠다
  • 치다7: 치우치다. *《옛》 츼다
  • 치다8: 봉양하다. *《옛》 치다
  • 치뛰다: 힘차게 위로 향하여 뛰다. *《옛》 치ᄯᅱ다
  • 치뜨다: 눈을 위쪽으로 뜨다. *《옛》 티ᄠᅳ다
  • 치어다보다: ‘쳐다보다’의 본말. *《옛》 치어다보다
  • 치우다1: 물건을 다른 데로 옮기다. 청소하거나 정리하다. *《옛》 츼우다, 츼오다
  • 치우다2: 결정하다. 정하다. *《옛》 츼우다 《출전》 【平上去入定位之圖】 펴ᇰ셔ᇰ 샤ᇰ셔ᇰ 거셔ᇰ 입셔ᇰ 네 가짓 소ᄅᆡ의 터흘 츼워 노ᄒᆞᆫ 그림 - 훈몽자회(1527)
  • 치우치다: 균형을 잃고 한쪽으로 쏠리다. *《옛》 츼우치다
  • 치이다1: 불필요하게 쌓인 물건을 파내거나 옮기어 깨끗이 하게 하다. *《옛》 츼이다
  • 치이다2: 무거운 물건에 부딪히거나 깔리다. *《옛》 티이다
  • 치이다3: 양육을 받다. *《옛》 치이다
  • 치이다4: 치게 하다. *《옛》 티이다
  • 치잡다: 추켜올려 잡다.
  • 치지르다: 치받다. 힘껏 지르다. *《옛》 티디ᄅᆞ다
  • 치치다1: 획을 위로 올려 긋다.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던져 올리다. *《옛》 티티다
  • 치치다2: 결정되다. *《옛》 츼티다
  • 치켜세우다: 옷깃이나 신체 일부 따위를 위로 가뜬하게 올려 세우다. 정도 이상으로 크게 칭찬하다.
  • 치키다: 위로 향하여 끌어 올리다. *《옛》 치ᅘᅧ다


2.3. ㅋ[편집]


  • 카냥: 자랑하다.
  • 1: 물건을 베거나 썰거나 깎는데 쓰는 도구. *《옛》 갏
  • 2: 죄인에게 씌우던 형틀.
  • 칼깃: 새의 날갯죽지를 이루는 빳빳하고 긴 깃.
  • 칼잠개: 칼. *《옛》 갈잠개
  • 캄캄하다: 아주 까맣게 어둡다. ‘깜깜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캐다: 땅속에 묻힌 광물이나 식물 따위의 자연 생산물을 파서 꺼내다. *《옛》 ᄏᆡ다
  • 캐묻다: 자세히 파고들어 묻다.
  • 케우다: 팽팽하게 하다. *《옛》 켸오다
  • 케이다: 마음에 걸리다. *《옛》 켸이다
  • 켕기다: 마음속으로 겁이 나고 탈이 날까 불안해하다.
  • 켜: 포개어진 물건의 하나하나의 층.
  • 켜다1: 등잔이나 양초 따위에 불을 붙이거나 성냥이나 라이터 따위에 불을 일으키다. *《옛》 혀다
  • 켜다2: 악기를 타거나 톱을 켜다. *《옛》 혀다
  • 켜다3: 끌다. 당기다. *《옛》 혀다, ᅘᅧ다
  • 켜켜이: 여러 켜마다.
  • 1: 후각과 호흡을 담당하는 신체 기관. *《옛》 곻, 고, 콯, 코
  • 2: 그물이나 뜨개질한 물건의 눈마다의 매듭.
  • 콧구무: 콧구멍. *《옛》 곳구무
  • 콧구무기둥: 콧대. *《옛》 코ㅅ구무기동
  • 콧마루: 콧등의 마루가 진 부분. *《옛》 곳ᄆᆞᄅᆞ, 곳ᄆᆞᇐ
  • 콧물: 콧구멍에서 흘러나오는 액체. *《옛》 곳물, 코ㅅ믈
  • 콩팥: 척추동물의 비뇨 기관과 관련된 장기의 하나. 신장. *《옛》 코ᇰᄑᆞᆾ
  • 크다: 사람이나 사물의 외형적 길이, 넓이, 높이, 부피 따위가 보통 정도를 넘다. *《옛》 크다
  •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 또는 중대한 일.
  • 큰일나다: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문제가 생기다.
  • 큰물: 홍수(洪水). *《옛》 큰믈
  • 1: 키(신체).
  • 키(농기구)2: 곡식 따위를 까불러 쭉정이나 티끌을 골라내는 도구.
  • 3: 배의 방향을 조종하는 장치.
  • : 크게. *《옛》 《어원》 크-+-이
  • 키우다: *《옛》 킈우다


2.4. ㅌ[편집]


  • 타고나다
  • 타나다: 타고나다. 태어나다. *《옛》 타나다
  • 타다1: 불씨나 높은 열로 불이 붙어 번지거나 불꽃이 일어나다. *《옛》 ᄐᆞ다
  • 타다2: 탈것이나 짐승의 등 따위에 몸을 얹다. *《옛》 ᄐᆞ다
  • 타다3: 다량의 액체에 소량의 액체나 가루 따위를 넣어 섞다. *《옛》 ᄩᆞ다, ᄐᆞ다
  • 타다4: 몫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따위를 받다. *《옛》 ᄐᆞ다
  • 타다5: 박 따위를 톱 같은 기구를 써서 밀었다 당겼다 하여 갈라지게 하다. 줄이나 골을 내어 두 쪽으로 나누다.
  • 타다6: 기의 줄을 퉁기거나 건반을 눌러 소리를 내다. *《옛》 ᄩᆞ다, ᄐᆞ다
  • 타다7: 먼지나 때 따위가 쉽게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다. 계절이나 기후의 영향을 쉽게 받다. *《옛》 ᄐᆞ다
  • 타래: 사리어 뭉쳐 놓은 실이나 노끈 따위의 뭉치.
  • 타오르다: 불이 붙어 거세게 타기 시작하다.
  • 탓: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까닭이나 원인. 《옛》 닷, 탓
  • 탓하다: 핑계나 구실로 삼아 나무라거나 원망하다.
  • 태: 질그릇이나 놋그릇의 깨진 금.
  • 태가다: 질그릇이나 놋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 태우다: 불씨나 높은 열로 불을 붙여 번지게 하거나 불꽃을 일어나게 하다. *《옛》 ᄐᆡ오다
  • 터: 집이나 건물을 지었거나 지을 자리. *《옛》 텋
  • 터놓다
  • 터뜨리다/터트리다: 터지게 하다.
  • 터럭
  • 터리: 털. *《옛》 터리
  • 터무니: 터를 잡은 자취. 근거이유.
  • 터무니없다: 전혀 근거가 없다.
  • 터지다: *《옛》 ᄩᅥ디다 《어원》 트-(ᄩᅳ-)+-어+지-(디-)
  • 1: 입 아래에 뾰족하게 나온 부분. *《옛》 ᄐᆞᆨ
  • 2: 평평한 곳에서 갑자기 조금 높게 된 곳.
  • 3: 좋은 일이 있을 때에 남에게 베푸는 음식 대접.
  • 털다: *《옛》 ᄩᅥᆯ다
  • 털리다
  • 털어놓다
  • 테: 어그러지거나 깨지지 아니하도록 그릇 따위의 몸을 둘러맨 줄. 둘레를 두른 물건. 테두리의 준말.
  • 테두리: 죽 둘러서 친 줄이나 금 또는 장식. 둘레의 가장자리. 일정한 범위나 한계. *《어원》 테+두르-+-이
  • 테메우다: 틈이 벌어진 질그릇이나 나무 그릇의 둘레를 대오리, 편철(片鐵), 철사 따위로 돌려서 감다. 일정한 틀에 얽매어 구속하다. *《옛》 데메우다 《출전》 箍 데메울 고 - 훈몽자회(1527)
  • 토: 한문의 구절 끝에 붙여 읽는 우리말 부분.
  • 토를 달다: 어떤 말 끝에 그 말에 대하여 덧붙여 말하다.
  • 1: 나무나 쇠붙이 따위를 자르거나 켜는 데 쓰는 연장. *《옛》 톱 《출전》 톱為鉅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2: 모시나 삼을 삼을 때 그 끝을 긁어 훑는 데 쓰는 도구.
  • 퇴: 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 (= 행랑)
  • 톺다: 받침 오타가 아니다. '샅샅이 뒤지면서 찾다'라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잘 쓰이지 않는 말인데, 애플에서 2015년 3월에 새 맥북을 발표하면서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 단어를 쓰면서 화제가 되었다.. 누리꾼들의 초기 반응은 "애플이 오타냈다!"인데, 사전을 찾아보니 진짜 있는 단어이다.
  • 툽툽하다: 국물이 묽지 아니하고 매우 바특하다.
  • 툽툽히: *《옛》 툽투비
  • 튀기다
  • 튀다: 탄력 있는 물체가 솟아오르다. ‘달아나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어떤 행동이나 말 따위가 다른 사람의 시선을 끌다.
  • 튀어나오다
  • 튕기다
  • 트다: 막혀 있던 것을 치우고 통하게 하다. *《옛》 트다
  • 트이다: 막혀 있던 것이 치워지고 통하게 되다.
  • 틀: 골이나 판처럼 물건을 만드는 데 본이 되는 물건. 어떤 물건의 테두리나 얼개가 되는 물건. 일정한 격식이나 형식.
  • 틀다: 방향이 꼬이게 돌리다. *《옛》 틀다
  • 틀리다1: 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 *《옛》 틀이다
  • 틀리다2: 방향이 꼬이게 돌려지다.
  • 틀어지다: 어떤 물체가 반듯하고 곧바르지 아니하고 옆으로 굽거나 꼬이다. 꾀하는 일이 어그러지다. *《옛》 트러디다
  • 틈: 어떤 일을 하다가 생각 따위를 다른 데로 돌릴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 *《옛》 틈
  • 틈나다1: 다른 일을 할 겨를이 생기다.
  • 틈나다2: 벌어지다.
  • 틈새: 벌어져 난 틈의 사이.
  • 틈타다
  • 티: 먼지처럼 아주 잔 부스러기. 조그마한 흠. *《옛》
  • 티끌: 티와 먼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듣글, 드틀, 틧글


2.5. ㅍ[편집]


  • 파고들다: 깊숙이 안으로 들어가다.
  • 파니: 아무 하는 일 없이 노는 모양. ~ 놀지만 말고 일 좀 해라. <퍼니
  • 파다: 구멍이나 구덩이를 만들다.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다.
  • 파다: 거듭되다. *《옛》 ᄑᆞ다
  • 파랗다
  • 파리: 파리목 털파리하목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ᄑᆞᆯ, ᄑᆞ리 《출전》 ᄑᆞᆯ爲蠅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파리하다: 몸이 마르고 낯빛이나 살색이 핏기가 전혀 없다.
  • 파헤치다: 속에 있는 것이 드러나도록 파서 젖히다.
  • : 어깨와 손목 사이의 부분. *《옛》 ᄇᆞᆶ, ᄇᆞᆯ, ᄑᆞᆶ, ᄑᆞᆯ, 팔 《출전》 ᄇᆞᆯ爲臂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팔목: 팔과 손이 잇닿은 팔의 끝부분. *《옛》 ᄑᆞᆯ목
  • 팔다: 값을 받고 물건이나 권리 따위를 남에게 넘기거나 노력 따위를 제공하다. *《옛》 ᄑᆞᆯ다
  • 팔리다: 값을 받고 물건이나 권리 따위가 남에게 넘겨지거나 노력 따위가 제공되다. *《옛》 ᄑᆞᆯ이다
  • 패다
  • 패다2: 사정없이 마구 때리다.
  • 패다3: 도끼로 장작 따위를 쪼개다. *《옛》 ᄑᆡ다
  • 퍼더버리다: 팔다리를 아무렇게나 편하게 뻗다.
  • 퍼뜨리다: 널리 퍼지게 하다.
  • 퍼붓다: 비, 눈 따위가 억세게 마구 쏟아지다.
  • 퍼져하다: *《옛》 퍼뎌ᄒᆞ다 《출전》 【安肆日偸之語ᄒᆞ더시니】 편안ᄒᆞ고 퍼뎌 ᄒᆞ면 나날 사오납ᄂᆞ닷 마ᄅᆞᆯ ᄀᆞ자ᇰ 됴히 너기더시니 - 번역소학(8)
  • 퍼지다: 끝 쪽으로 가면서 점점 굵거나 넓적하게 벌어지다. *《옛》 퍼디다
  • 퍼지르다: 팔다리를 아무렇게나 편하게 뻗다.
  • 퍼트리다: 널리 퍼지게 하다.
  • 펴다: 접히거나 개킨 것을 젖히어 벌리다. *《옛》 펴다
  • 펴이다: 접히거나 개킨 것이 젖혀져 벌려지다. 순조롭지 못한 일이 제대로 잘되어 가다. *《옛》 펴이다 《출전》 낫과 밤의 너희ᄅᆞᆯ ᄉᆡᆼ각ᄒᆞ야도 엇지 ᄆᆞᄋᆞᆷ이 펴일 ᄯᅢ 이시리오 - 어제경민음(1762)
  • 펴이르다: 선언하다(宣言-). *《옛》 펴니르다 《출전》 聚族宣言。아ᅀᆞᆷ 뫼화 펴 닐오ᄃᆡ - 월인석보(13)(1459)
  • 펴주다: *《출전》 撒給 펴주다
  • 펼치다: 펴서 드러내다.
  • : 거듭. *《옛》 《어원》 ᄑᆞ-+-오
  • 포개다: 놓인 것 위에 또 놓다. 여러 겹으로 접다. *《옛》 포가히다, 포가이다 《어원》 ᄑᆞ-+-오+개-(가히-)
  • 푸다: 속에 들어 있는 액체, 가루, 낟알 따위를 떠내다. *《옛》 프다
  • 푸르다: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 *《옛》 프르다
  • 푸새: 산과 들에서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 즉 야초를 따로 이르는 말. 산남새라고도 한다.
  • 푸서리: 잡초가 무성하고 거친 땅. 황야. *《옛》 프ᅀᅥ리, 프서리
  • 푸성귀: 사람이 가꾼 채소나 저절로 난 나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프ᅀᅥᇰ귀
  • 푸솜: 타지 아니한 날솜. *《옛》 픗소옴
  • 푼더분하다: 생김새가 두툼하고 탐스럽다. 여유가 있고 넉넉하다. 사람의 성품 따위가 옹졸하지 아니하고 활달하다. *《옛》 편다ᄇᆞᆫᄒᆞ다
  • 1: 초본 식물. *《옛》 플
  • 2: 쌀이나 밀가루 따위의 전분질에서 빼낸 끈끈한 물질. 물건을 붙이는데 쓰는 물질.
  • 3: 세찬 기세나 활발한 기운.
  • 풀다: *《옛》 플다
  • 풀리다: 묶이거나 감기거나 얽히거나 합쳐진 것 따위가 그렇지 아니한 상태로 되다. *《옛》 플리다
  • 풀어지다: 해이하다. *《옛》 프러디다
  • 풀어헤치다: 속마음을 거침없이 털어놓다.
  • 풀치다: 맺혔던 생각을 돌려 너그럽게 용서하다.
  • 풀치다: 풀어 버리다. *《옛》 플티다 《어원》 풀-(플-)+-치-(-티-)
  • 풀쳐헤다: 풀어 생각하다. *《옛》 플텨혜다 《어원》 풀-(플-)+-치-(-티-)+-어+혜- 《출전》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 속미인곡
  • 1: 무엇을 안을 때의 가슴.
  • 2: 일에 드는 힘이나 수고, 삯을 받고 하는 일.
  • 3: 행동이나 말씨에서 드러나는 태도나 됨됨이라는 뜻의 의존명사이며, 품새라고도 한다.
  • 풍기다: 냄새가 나다. 또는 냄새를 퍼뜨리다. *《옛》 ᄲᅮᆷ기다, 품기다, 풍기다
  • 품다: 품속에 넣거나 가슴에 대어 안다. *《옛》 품다
  • 풋: ‘처음 나온’, 또는 ‘덜 익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미숙한’, ‘깊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풋나무: 갈잎나무, 새나무, 풋장 따위의 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 풋나물: 봄철에 새로 난 나무나 풀의 연한 싹으로 만든 나물. *《옛》 픗ᄂᆞᄆᆞᆯ
  • 풋잠: 잠든 지 얼마 안 되어 깊이 들지 못한 잠. *《옛》 픗ᄌᆞᆷ
  • 풋장: 가을에 억새, 참나무 따위의 잡풀이나 잡목을 베어서 말린 땔나무.
  • 1: 사람이나 동물의 몸 안의 혈관을 돌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운반하는 붉은색의 액체. *《옛》 피
  • 2: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피 《출전》 피為稷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피다: 꽃봉오리 따위가 벌어지다. *《옛》 픠다, 퓌다
  • 피어나다: 꽃 따위가 피게 되다.
  • 핏줄: 혈관.
  • 핏대: 큰 혈관.


2.6. ㅎ[편집]


  • 하, 하늬: (西)쪽에서 부는 바람. 주로 농촌이나 어촌에서 이르는 말이다.
  • 하고많다: 많고 많다. *《옛》 하구만ᄒᆞ다
  • 하나: *《옛》 ᄒᆞ낳, ᄒᆞ나
  • 하나님
  • 하나째: 첫째. *《옛》 ᄒᆞ낫재, ᄒᆞ낟재
  • 하놀리다: 조롱하다. *《옛》 ᄒᆞ놀이다
  • 하늬바람: 서쪽에서 부는 바람. 주로 농촌이나 어촌에서 이르는 말이다. *《옛》 한의바람 《출전》 한의바람 北風 - 한불자전(1880)
  • 하늘: 지평선이나 수평선 위로 보이는 무한대의 넓은 공간. *《옛》 하ᄂᆞᆶ, 하ᄂᆞᆯ
  • 하늘아들: 천자(천제(天帝)의 아들, 즉 하늘의 뜻을 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군주 국가의 최고 통치자를 이르는 말). *《옛》 하ᄂᆞᆳ아ᄃᆞᆯ
  • 하닐다: 움직이다. *《옛》 ᄒᆞ니다
  • 하다1: 사람이나 동물, 물체 따위가 행동이나 작용을 이루다. *《옛》 ᄒᆞ다
  • 하다2: 많다. 크다. 높다. 대전의 고유어 지명인 한밭이 하다의 활용형 한과 밭의 합성어. *《옛》 하다
  • 하다가: 만약. *《옛》 ᄒᆞ다가
  • 하롱하롱: 말이나 행동을 다부지게 하지 못하고 실없이 잇따라 가볍고 달뜨게 하는 모양. *《옛》 흐롱하롱
  • 하롱하롱하다: 말이나 행동을 다부지게 하지 못하고 실없이 잇따라 가볍고 달뜨게 하다. *《옛》 흐롱하롱ᄒᆞ다
  • 하루: 한 낮과 한 밤이 지나는 동안. *《옛》 ᄒᆞᄅᆞ
  • 하리: 남을 헐뜯어 윗사람에게 일러바치는 일. 참소(讒訴). *《옛》 하리 《어원》 할-+-이 《출전》 【讒能傷人故로 名讒虎ㅣ오】 하리 能히 사ᄅᆞᄆᆞᆯ 害ᄒᆞᄂᆞᆫ 젼ᄎᆞ로 일후미 讒虎ㅣ오 - 능엄경언해(8)
  • 하리다: 낫다(愈). *《옛》 ᄒᆞ리다, 하리다 《출전》 ᄇᆞᄅᆞᆷ 부러 쓰러진 남기 비 오다고 삭시 나며 님 글여 든 病이 藥 먹다 하릴소냐 - 가곡원류(1876)
  • 하마1: 이미. 벌써. *《옛》 ᄒᆞ마
  • 하마2: 이제 곧. 머지않아. *《옛》 ᄒᆞ마
  • 하마3: 하마터면의 옛말. *《옛》 ᄒᆞ마
  • 하마면: 거의. *《옛》 ᄒᆞ마면
  • 하마터면: 조금만 잘못하였더라면. 위험한 상황을 겨우 벗어났을 때에 쓰는 말이다.
  • 하숫그리다1: 참소하다(남을 헐뜯어서 죄가 있는 것처럼 꾸며 윗사람에게 고하여 바치다). *《옛》 하숫그리다
  • 하숫그리다2: 하소연하다. *《옛》 하숫그리다
  • 하염직하다: 할 만하다. 또는 할 만한 가치가 있다. *《옛》 ᄒᆞ염직ᄒᆞ다, ᄒᆞ염즉ᄒᆞ다 《출전》 可 ᄒᆞ얌직 가 - 신증유합(1576)
  • 하저지르다, 하저즐다: 일이나 물건에 문제가 생기게 만들어 그르치다. *《옛》 ᄒᆞ저즐다
  • 하찮다: 그다지 훌륭하지 아니하다. 대수롭지 아니하다. *《어원》 하-[하다^^3^^]+-지+아니+하-
  • 하품: 졸리거나 고단하거나 배부르거나 할 때, 절로 입이 벌어지면서 하는 깊은 호흡. *《옛》 하외욤
  • 1: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옛》 ᄒᆞᆫ
  • 2: ‘큰’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어원》 하-+-ㄴ
  • 한가지: 형태, 성질, 동작 따위가 서로 같은 것. *《옛》 ᄒᆞᆫ가지 《어원》 한+가지
  • 한갓: 다른 것 없이 겨우. *《옛》 ᄒᆞᆫ갓
  • 한갓되다: 겨우 하찮은 것밖에 안 되다. 아무 보람이나 실속이 없다.
  • 한결같다: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꼭 같다. 여럿이 모두 꼭 같이 하나와 같다.
  • 한결같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꼭 같이. *《옛》 ᄒᆞᆫ결ᄀᆞᆺ치 《출전》 ᄒᆞᆫ결ᄀᆞᆺ치 如一 - 한불자전(1880)
  • 한글
  • 한녘: 한쪽. *《옛》 ᄒᆞᆫ녁 《어원》 한+녘
  • 한뉘: 살아 있는 동안. 한생전, 한평생.
  • 한다리: 넓적다리. *《옛》 한다리 《출전》 股 한다리 고
  • 한달음: 중도에 쉬지 아니하고 한 번에 달려감.
  • 한데: 한곳이나 한군데. *《옛》 ᄒᆞᆫᄃᆡ
  • 한마루: 걸출
  • 한물: 비가 많이 와서 강이나 개천에 갑자기 크게 불은 물. *《옛》 한믈 《어원》 하-+-ㄴ+물
  • 한물지다: 홍수가 나다. *《옛》 한믈디다 《어원》 하-+-ㄴ+물+지-
  • 한비: 큰비. *《옛》 한비 《어원》 하-+-ㄴ+비 《출전》 【不止霖雨 迺回潢洋 彼蒼者天 示我孔彰】 한비ᄅᆞᆯ 아니 그치샤 날므를 외오시니 하ᄂᆞᆯ히 부러 우릴 뵈시니 - 용비어천가(68장)(1447), 【上有光音天。布大金藏雲。遍覆風輪。雨大洪雨。滴如車軸。霔滿界中。水深十一億二萬由旬。】 光音天이 한비ᄅᆞᆯ ᄂᆞ리와 므리 下界예 ᄀᆞᄃᆞᆨᄒᆞ야 기픠 十一億二萬 由旬이러니 - 월인석보(1)(1459)
  • 한숨1: 숨을 한 번 쉴 동안. 또는 잠깐 동안. 잠깐 동안의 휴식이나 잠. *《옛》 ᄒᆞᆫ숨
  • 한숨2: 근심이나 설움이 있을 때, 또는 긴장하였다가 안도할 때 길게 몰아서 내쉬는 숨.
  • 한숨짓다: 근심이나 설움으로 한숨을 쉬다.
  • 한아비: 할아버지. *《옛》 하나비, 한아비 《어원》 하-+-ㄴ+아비
  • 한어버이: 조부모(祖父母). *《옛》 한어버ᅀᅵ, 한어버이 《출전》 【或謂曰 君自祖考以忠誠聞於時】 혹이 닐러 ᄀᆞᆯ오ᄃᆡ 그ᄃᆡ 한어버이로브터 튱셩으로ᄡᅥ 시져릐 들리다가 -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
  • 할다: 비방하다(誹謗-). *《옛》 할다 《출전》 【姦臣間親】 天倫을 姦臣이 하ᅀᆞᄫᅡ - 용비어천가(1447), 부모ᄅᆞᆯ 할면 그 죄 지그기 듀ᇰᄒᆞ니라 - 경민편(1519)
  • 할아다: 남을 해치려고 헐거나 해쳐서 말하다. 비난하다. *《옛》 할아다
  • 할아버지: 할아버지. *《옛》 한아비>할아버지 《어원》 하-+-ㄴ+아버지
  • 할아비: ‘할아범’의 낮춤말. *《옛》 한아비 《어원》 하-+-ㄴ+아비
  • 할리다: 참소를 당하다. *《옛》 할이다 《어원》 할-+-이-
  • 핥다: 혀가 물체의 겉면에 살짝 닿으면서 지나가게 하다. *《옛》 핧다
  • 함께: 한꺼번에 같이. 또는 서로 더불어. *《옛》 ᄒᆞᆫᄢᅴ 《어원》 ᄒᆞᆫ+ᄢᅴ
  • 함석: 표면에 아연을 도금한 얇은 철판. *《옛》 함셕
  • 함초롬: 젖어있거나 서려있는 모습이 가지런하고 차분한 모양.
  • 핫: ‘솜을 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핫옷: 안에 솜을 두어 만든 옷. 면의(綿衣). *《옛》 핟옷
  • 핫이불: 안에 솜을 두어 만든 이불. *《옛》 핟니블
  • 1: 태양. *《옛》 ᄒᆡ
  • 2: 그 사람의 소유물임을 나타내는 말. 것. 물건. *《옛》
  • 3: 많이. *《옛》
  • 해다: 하게 하다. 시키다. *《옛》 ᄒᆡ다, ᄒᆞ이다 《어원》 하-+-이-
  • 해달: 세월(歲月). *《옛》 ᄒᆡᄃᆞᆯ
  • 해돋이: 해가 막 솟아오르는 때. 또는 그런 현상. *《옛》 ᄒᆡ도디 《어원》 해+돋-+-이 《출전》 於四月八日日初出時。四月 八日 ᄒᆡ도디예 - 월인석보
  • 해묵다: 어떤 물건이 해를 넘겨 오랫동안 남아 있다.
  • 해보다1: 대들어 맞겨루거나 싸우다.
  • 해보다2: 시험 삼아 하다. *《옛》 ᄒᆞ야보다 《출전》 試 ᄒᆞ야볼 시 - 신증유합(1576)
  • 해어버리다: 헐어 버리다. 손상되게 하다. *《옛》 ᄒᆞ야ᄇᆞ리다 《출전》 破ᄂᆞᆫ ᄒᆞ야ᄇᆞ릴씨라 - 월인석보 서문
  • 해어스름: 어스름 때의 햇빛. *《옛》 ᄒᆡ어슬음 《출전》 日曛 ᄒᆡ어슬음 - 역어유해보
  • 해어지다: 닳아서 떨어지다. *《옛》 ᄒᆞ야디다, ᄒᆡ야디다, ᄒᆡ여디다
  • 해어트리다, 해어뜨리다
  • 해오라기: *《옛》 하야로비
  • 해이다: 하게 하다. 시키다.
  • 해지다: 해어지다의 준말.
  • 햇귀: 해가 처음 솟을 때의 빛. 햇발(사방으로 뻗친 햇살). 일광(日光). *《옛》 ᄒᆡᆺ귀 《출전》 暾 ᄒᆡᆺ귀 돈 旭 ᄒᆡᆺ귀 욱 - 훈몽자회(하)(1527)
  • 햇무리: 햇빛이 대기 속의 수증기에 비치어 해의 둘레에 둥글게 나타나는 빛깔이 있는 테두리. *《옛》 ᄒᆡᆺ모로
  • 허리: 사람이나 동물의 갈빗대 아래에서부터 엉덩이까지의 잘록한 부분. *《옛》 허리
  • 허무로이: 그릇되게. *《옛》 허므로이
  • 허무롭다: *《옛》 허므ᄅᆞᄫᅵ다 《어원》 허물(허믈)(罪)+-ᄅᆞᄫᅵ- 《출전》 殃ᄋᆞᆫ 災禍ㅣ니 허므ᄅᆞᄫᆡᆫ 머즌 이리라 - 석보상절(21)(1447)
  • 허물1: 꺼풀. 껍질. *《옛》 허ᇰ울, 허ᅌᅮᆯ, 허믈
  • 허물2: 죄. *《옛》 허믈
  • 허물이르다: *《옛》 허믈니ᄅᆞ다 《출전》 訐 허믈니ᄅᆞᆯ 알 - 훈몽자회(하)(1527)
  • 허물하다: 허물을 들어 꾸짖다. *《옛》 허믈ᄒᆞ다
  • 허물다: 쌓이거나 짜이거나 지어져 있는 것을 헐어서 무너지게 하다. *《어원》 헐-+무르-
  • 허비다: 손톱이나 날카로운 물건 따위로 긁어 파다. *《옛》 허위다 《출전》 【跑地大吼奔隊來前】 ᄯᅡ 허위며 소리ᄒᆞ고 ᄃᆞ라오거늘 - 석보상절(6권)
  • 허울: 실속이 없는 겉모양.
  • 허위허위: 손발 따위를 이리저리 내두르는 모양. 힘에 겨워 힘들어하는 모양. *《옛》 허위허위 《출전》 ᄉᆞ랑을 챤챤 얽동혀 뒤설머지고 泰山峻嶺을 허위허위 넘어가니 - 교본 역대 시조 전서 1404-24
  • 허튀: 다리의 아랫마디. *《옛》 허튀
  • 허튀동: 종아리. *《옛》 허튀도ᇰ
  • 허튼: 쓸데없이 헤프거나 막된. *《옛》 헛튼 《어원》 헡-+-은
  • 헌: 오래되어 성하지 아니하고 낡은. *《어원》 헐-+-ㄴ
  • 헌것: 낡고 성하지 아니한 물건. 또는 오래되어 허술한 물건.
  • 헌데: 살갗이 헐어서 상한 자리. 상처(傷處). *《옛》 헌듸 《어원》 헐-+-ㄴ+데
  • 헌신짝: 값어치가 없어 버려도 아깝지 아니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헐다1: 무너뜨리다.
  • 헐다2: 몸에 부스럼이나 상처 따위가 나서 짓무르다. 물건이 오래되거나 많이 써서 낡아지다. *《옛》 헐다
  • 헐다3: 남을 나쁘게 말하다. 비방하다(誹謗-). 헐뜯다. *《옛》 헐다 《출전》 謗 헐 방 - 신증유합(하)(1576), 그러한 공논 중에 츈쳔집을 허러셔 ᄒᆞᄂᆞᆫ 말도 잇고 - 귀의성(하)
  • 헐듣다: 헐고 떨어지다. *《옛》 헐ᄯᅳᆮ다
  • 헐뜯다: 남을 해치려고 헐거나 해쳐서 말하다. 비방하다 《어원》 헐-(謗)+뜯-
  • 헐리다1: 집 따위의 축조물이나 쌓아 놓은 물건이 무너지다. *《옛》 헐이다 《어원》 헐-+-이-
  • 헐리다2: 헐게 하다. *《옛》 헐이다 《어원》 헐-+-이-
  • 헐리다3: 상처 입다. *《옛》 헐이다 《어원》 헐-+-이-
  • 헐뭇다: 헐어 무너지다. *《옛》 헐믓다, 헐뭇다 《출전》 瘡馬 헐뭇ᄂᆞᆫ ᄆᆞᆯ - 역어유해(1690)(하), 遍瘡 헐뭇다 - 몽어유해(1790)(하)
  • 헐벗기다
  • 헐벗다: 가난하여 옷이 헐어 벗다시피 하다.
  • 헐뿌리다: 마구 헐뜯다. *《옛》 헐ᄲᅳ리다
  • 헐어지다: 허물어져 내려앉거나 흩어지다. *《옛》 허러디다 《출전》 壞 허러딜 웨 헐 괴 - 신증유합(하)(1576)
  • 헐우다: 헐게 하다.
  • 헡다1: 흐트러지다. *《옛》 헡다
  • 헡다2: 흐트러뜨리다. *《옛》 헡다
  • 헛글다: 흐트러지다. *《옛》 헛글다
  • 헛헛하다: *《옛》 헙헙ᄒᆞ다
  • 헝겊: 피륙의 조각. *《옛》 헌것, 허ᇰ것, 헝것 《어원》 헐-+-ㄴ+것
  • 혀: 동물의 입 안 아래쪽에 있는 길고 둥근 살덩어리. *《옛》 혀
  • 혀덭다: 말을 더듬다. *《옛》 혀덭다 《출전》 吃 혀 더틀 걸 - 훈몽자회(하)(1527)
  • 현불: *《옛》 현블 《어원》 혀-(>켜다)+-ㄴ+불 《출전》 燈 현블 등 - 백련초해
  • 헤너러지다: 헤벌어지다. *《옛》 헤너러디다
  • 헤다1: 물속에 몸을 뜨게 하고 팔다리를 놀려 물을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다. 사람들을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다. 어려운 상태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다. *《옛》 헤다
  • 헤다2: 생각하다. 헤아리다. *《옛》 혜다 《출전》 【汝等諸人當思念之。】 너희ᄃᆞᆯ히 혜여 보라 - 월인석보(10)(1459)
  • 헤다니다: 헤매어 다니다. *《옛》 헤ᄃᆞᆮ니다
  • 헤닫다: 헤매어 닫다. 도망하다. *《옛》 헤ᄃᆞᆮ다
  • 헤대다: 공연히 바쁘게 왔다 갔다 하다. *《옛》 헤다히다
  • 헤듣다: 흩어지다. 헤뜨리다. *《옛》 헤듣다
  • 헤뜨다: 헤매며 떠돌다. *《옛》 헤ᄠᅳ다
  • 헤매다: 갈 바를 몰라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옛》 헤ᄆᆡ다
  • 헤무르다1: 맺고 끊음이 분명하지 못하고 무르다.
  • 헤무르다2: 물러 헤어지다. *《옛》 헤무르다
  • 헤부치다: 바람이 이리 저리 불다. *《옛》 헤부치다
  • 헤불다: 불어 헤치다. *《옛》 헤불다
  • 헤뿌리다: 함부로 헐뜯다. *《옛》 헤ᄲᅳ리다
  • 헤살: 일을 짓궂게 훼방함, 또는 그런 짓. ‘헤살을 놓다’, ‘헤살을 부리다’, ‘헤살하다’ 꼴로도 쓰인다. ‘훼방(毁訪)’에 갈음하여 쓸 수 있는 때가 많다. 그 밖에 물 따위를 젓거나 하여 흩뜨림, 또는 그런 짓을 뜻하기도 한다.
  • 헤어나다: 힘든 상태를 헤치고 벗어나다. *《옛》 헤여나다 《출전》 헤여나다 脫出 헤여지다 散 - 한불자전(1880)
  • 헤아리다: 짐작하여 가늠하거나 미루어 생각하다. *《옛》 혜아리다
  • 헤어지다: 흩어지다. *《옛》 헤여디다
  • 헤엄: 사람이나 물고기 따위가 물속에서 나아가기 위하여 팔다리나 지느러미를 움직이는 일. *《옛》 헤욤, 헤옴, 혜음, 헤염, 헤엄
  • 헤엄하다: 사람이나 물고기 따위가 물속에서 나아가기 위하여 팔다리나 지느러미를 움직이다. *《옛》 헤윰ᄒᆞ다, 헤음ᄒᆞ다, 헤염ᄒᆞ다
  • 헤엄치다: 사람이나 물고기 따위가 물속에서 나아가기 위하여 팔다리를 젓거나 지느러미를 움직이다. *《옛》 헤옴티다
  • 헤왇다: 헤치다. 풀다. *《옛》 헤왇다
  • 헤잊다: 헤치고 젖히다. *《옛》 헤잊다
  • 헤지르다: 급히 헤쳐가다. *《옛》 헤디르다
  • 헤치다: 속에 든 물건을 드러나게 하려고 덮인 것을 파거나 젖히다. 모인 것을 제각기 흩어지게 하다. 앞에 걸리는 것을 좌우로 물리치다. *《옛》 헤티다
  • 헤켜다: 헤치다. 헤ᅘᅧ다
  • 헤퍼르다: 사람이 거만하고 탐탁하지 못하다. *《옛》 헤퍼르다
  • 헤퍼지다: 헤지고 퍼지다. 방탕하다. 방종하다. *《옛》 헤퍼디다
  • 헤프다: 쓰는 물건이 쉽게 닳거나 빨리 없어지는 듯하다. 말이나 행동 따위를 삼가거나 아끼는 데가 없이 마구 하는 듯하다. *《출전》 그즁에 일 됴화ᄒᆞ고 말 헤푼 자ᄂᆞᆫ 동리마다 의례히 한두 사ᄅᆞᆷ식 잇셔 - 원앙도
  • : 생각.[3] [4] *《옛》 , 혜윰 《어원》 헤-+-ㅁ / 헤-+-옴/움[5]
  • 헴가림: 사리분별. *《옛》 혬가림 《출전》 日일暮모脩슈竹듁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 사미인곡
  • 헷갈리다: 정신이 혼란스럽게 되다. 여러 가지가 뒤섞여 갈피를 잡지 못하다.
  • 헹가래: 여러 명의 사람이 한 사람을 눕혀놓고 동시에 들었다 놨다 하는 행위.[6]
  • 호다: 헝겊을 겹쳐 바늘땀을 성기게 꿰매다. *《옛》 호다
  • 호리다: 매력으로 남을 유혹하여 정신을 흐리게 하다.
  • 호미하다: 가냘프다. *《옛》 호ᄆᆡᄒᆞ다
  • 호젓이: 후미져서 무서움을 느낄 만큼 고요하게. 매우 홀가분하여 쓸쓸하고 외롭게. *《옛》 호졋이
  • 호젓하다: 후미져서 무서움을 느낄 만큼 고요하다. 매우 홀가분하여 쓸쓸하고 외롭다. *《파생》 섭섭호젓하다
  • 혹: 병적으로 불거져 나온 살덩어리. *《옛》 혹
  • 혼자: 다른 사람과 어울리거나 함께 있지 아니하고 그 사람 한 명만 있는 상태. *《옛》 ᄒᆞᄫᆞᅀᅡ, ᄒᆞ오ᅀᅡ, 호ᅀᅡ, ᄒᆞ온자, 호온자, 혼자
  • 혼잣말: 말을 하는 상대가 없이 혼자서 하는 말. *《옛》 ᄒᆞ오ᅀᅡᆺ말
  • 홀: 외짝. *《옛》 ᄒᆞ올, 호을, 호올
  • 홀로: 자기 혼자서만. *《옛》 ᄒᆞ올로, 호올로, 호을로, 홀로, 호올노, 호을노, 홀노
  • 홀리다: 무엇의 유혹에 빠져 정신을 차리지 못하다. *《옛》 홀리다 《출전》 【瘴氣 并狐狸鼠莽】 안갯 긔운 맛닌 벼ᇰ과 여ᅀᆞ와 ᄉᆞᆰ과 쥐게 홀리니와 - 신선태을자금단(1497), 【大人狐狸等疾】 얼운이 여이며 ᄉᆞᆰ긔 홀리인 병들을 고티고 - 언해납약증치방(1700?)
  • 홀어미: *《옛》 ᄒᆞ올어미
  • 홀한아비: *《옛》 ᄒᆞ올한아비
  • 홈: 물체에 오목하고 길게 팬 줄. *《옛》 홈
  • 홉: 부피의 단위. 곡식, 가루, 액체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옛》 홉
  • 홑: 짝을 이루지 아니하거나 겹으로 되지 아니한 것. *《옛》 ᄒᆞ옺, ᄒᆞ옷, 호옷, 홋, 홏 《출전》 單ᄋᆞᆫ ᄒᆞ오지오 複ᄋᆞᆫ 겨비라 - 능엄경언해(1461), 單 홋 단 - 신증유합(1576)
  • 홑몸: 딸린 사람이 없는 혼자의 몸. *《옛》 ᄒᆞ옷몸
  • 홑옷: 한 겹으로 지은 옷. *《옛》 ᄒᆞ옷옷
  • 홑청: 요나 이불 따위의 겉에 씌우는 홑겹으로 된 껍데기.
  • 확: 방앗공이로 찧을 수 있게 돌절구 모양으로 우묵하게 판 돌. 방앗공이가 떨어지는 곳에 묻어 그 속에 곡식을 넣고 찧거나 빻는다. *《옛》 ᄒᆞ왁, 호왁
  • 활: 화살을 메겨서 쏘는 기구. *《옛》 활
  • 활개: 사람의 어깨에서 팔까지 또는 궁둥이에서 다리까지의 양쪽 부분. 사지(四肢). *《옛》 활개, 활기
  • 활먹이다: 활에 살을 장전하다. *《옛》 활머기다
  • 황소: 큰 수소. *《옛》 한쇼 《어원》 하-+-ㄴ+소
  • 홰: 화톳불을 놓는 데 쓰는 물건. *《옛》 홰
  • 횃불: 홰에 켠 불.
  • 후려때리다:
  • 후려내다: 매력이나 그럴듯한 수단으로 남의 정신을 흐리게 하여 꾀어내다.
  • 후려넘기다:
  • 후려치다: 주먹이나 채찍 따위를 휘둘러 힘껏 갈기다. 물건값을 터무니없이 깎다.
  • 후리다1: 휘둘러서 때리거나 치다.
  • 후리다2: 빼앗다. *《옛》 후리다 《출전》 掠 후릴 략, 搶 후릴 창 - 훈몽자회(1527)
  • 후리쓸다: 후려 쓸다. *《옛》 후리ᄡᅳᆯ다 《출전》 攬 후리ᄡᅳᆯ 람 摟 후리ᄡᅳᆯ 루 - 훈몽자회(하)(1527)
  • 후리이다: 후림을 당하다. *《옛》 후리이다
  • 후리치다: 팽개치다. 내던지다. -> 주먹이나 채찍 따위를 휘둘러 힘껏 갈기다. *《옛》 후리치다
  • 후무리다: 남의 물건을 슬그머니 훔쳐 제 것으로 만들다.
  • 후미지다
  • 훔빨다: 훔쳐 빨다. *《옛》 훔ᄲᆞᆯ다
  • 훔쳐때리다: 들이덤비어 여무지게 때리다.
  • 훔치다1: 물기나 때 따위가 묻은 것을 닦아 말끔하게 하다. 들이덤비어 여무지게 때리다.
  • 훔치다2: 남의 물건을 남몰래 슬쩍 가져다가 자기 것으로 하다.
  • 훙치다: 어떤 힘을 받아 작은 물체나 액체 방울이 위나 옆으로 세게 흩어지다. *《옛》 훙치다
  • 훤하다: 시원하다. 유쾌하다. *《옛》 훤ᄒᆞ다
  • 훤칠하다
  • 훤훤: 시원함. *《옛》 훤훤 《출전》 渙 믈 훤훤 환 - 신증유합(하)(1576)
  • 휘: ‘마구’ 또는 ‘매우 심하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휘날리다: 거세게 펄펄 나부끼다. 또는 그렇게 나부끼게 하다.
  • 휘넣다: 휘어 넣다. *《옛》 휘녛다
  • 휘다: 꼿꼿하던 물체가 구부러지다. 또는 그 물체를 구부리다. *《옛》 휘다
  • 휘달리다: 급한 걸음으로 빨리 달리거나 바쁘게 돌아다니다.
  • 휘더듬다: 휘돌아 찾아다니다. *《출전》 ᄒᆞ고 휘더듬어 그 산 마르턱이를 올나셔니 - 모란병
  • 휘돌다: 어떤 물체가 어떤 공간에서 빙글빙글 마구 돌다. *《옛》 횟돌다, 휫돌다
  • 휘듣다: 휘휘 떨어지다. *《옛》 휘듣다
  • 휘어잡다: 무엇을 구부리어 거머잡다. 손아귀에 넣고 부리다.
  • 휘젓다: 골고루 섞이도록 마구 젓다.
  • 휘지다: 무엇에 시달려 기운이 빠지고 쇠하여지다. *《옛》 후지다
  • 휘휘하다: 무서운 느낌이 들 정도로 고요하고 쓸쓸하다. *《출전》 밤에 잠을 사로자고 집안을 가ᄭᅳᆷ 도라보아 휘휘ᄒᆞᆫ ᄆᆞᄋᆞᆷ이 업도록 ᄒᆞ자ᄂᆞᆫ 것인ᄃᆡ - 구의산(상)
  • 흐나무라다: 이것저것 나무라다. *《옛》 흐나므라다
  • 흐놀다: 동경하다.
  • 흐늘거리다: 힘없이 늘어져 느리게 자꾸 흔들리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 흐늘다: 흔들다. *《옛》 후늘다, 흐늘다
  • 흐늘흐늘: 힘없이 늘어져 자꾸 느리게 흔들리는 모양.
  • 흐늘흐늘하다: 힘없이 늘어져 자꾸 느리게 흔들리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옛》 흐늘흐늘ᄒᆞ다 《출전》 顫 흐늘흐늘ᄒᆞ다 - 한청문감
  • 흐드러지다: 매우 탐스럽거나 한창 성하다. 매우 흐뭇하거나 푸지다. *《옛》 흐드러지다 《출전》 ᄯᅳᆯ 압에 각ᄉᆡᆨ 화쵸가 흐드러지게 만발ᄒᆞᆫ 가온ᄃᆡ - 모란병(1916)
  • 흐들하다: 흐드러지다. *《옛》 흐들ᄒᆞ다
  • 흐들히: 흐드러지게. *《옛》 흐들히
  • 흐르니다: 흘러가다. *《옛》 흐르니다
  • 흐르다1: 시간이나 세월이 지나가다. 걸치거나 두른 것이 미끄러지거나 처지다. 액체 따위가 낮은 곳으로 내려가거나 넘쳐서 떨어지다. *《옛》 흐르다, 흐ᄅᆞ다
  • 흐르다2: 교미시키다. 흘레하게 하다. *《옛》 흘우다
  • 흐리눅다: 흐리게 눅다. *《옛》 흐리눅다
  • 흐리다: 잡것이 섞여 깨끗하지 못하다. *《옛》 흐리다
  • 흐리우다: 흐리게 하다. *《옛》 흐리우다
  • 흐무러지다: 잘 익어서 무르녹다. 물에 불어서 매우 물렁거리게 되다.
  • 흐뭇하다: *《옛》 흐믓ᄒᆞ다
  • 흐웍하다: 흡족하다. 윤택하다. *《옛》 흐웍ᄒᆞ다 《출전》 渥 흐웍ᄒᆞᆯ 악 - 신증유합(하)(1576)
  • 흐웍흐웍하다: 아주 흡족하다. 아주 윤택하다. *《옛》 흐웍흐웍ᄒᆞ다
  • 흔들다: 사람이나 동물 등이 몸의 일부나 전체, 또는 손에 잡은 물체 따위를 좌우, 앞뒤, 상하로 자꾸 움직이게 하다. *《옛》 후늘다, 흐늘다
  • 흔들리다: 상하나 좌우 또는 앞뒤로 자꾸 움직이다.
  • 흔하다: 보통보다 더 자주 있거나 일어나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옛》 흔ᄒᆞ다
  • 흖다: 일상에서 쉽게 보고 들을 수 있게 많다. 흔하다.
  • 흗다: *《옛》 흗다 《출전》 調達이 아래 佛會예 五百 比丘 ᄃᆞ리고 흐러 나가니 긔 和合僧을 ᄒᆞ야ᄇᆞ료미라 - 석보상절(21)(1447), 【二執持種子 令不散失】 둘ᄒᆞᆫ 種子ᄅᆞᆯ 자바 디녀 흐러 일티 아니케 ᄒᆞᆯ씨오 - 월인석보(11)
  • 흘겨보다: 흘기는 눈으로 보다. *《옛》 흘긔여보다
  • 흘기눈: → 흑보기. *《옛》 흘긔눈
  • 흘기다: 눈동자를 옆으로 굴리어 못마땅하게 노려보다. *《옛》 흘긔다
  • 흘깃흘깃하다: 자꾸 가볍게 흘겨보다. *《옛》 흘긧할긧ᄒᆞ다
  • 흘러가다: 액체 따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나아가다. *《옛》 흘러가다 《출전》 派는 믈 ᄂᆞᆫ화 흘러가ᄂᆞᆫ ᄃᆡ오 - 금강경삼가해(1482)
  • 흘러나다: *《옛》 흘러나다 《출전》 【時摩訶摩耶聞斯語已 乳自流出】 摩耶夫人이 그 말 드르시니 져지 흘러나거늘 - 석보상절
  • 흘러나오다: 물, 빛 따위가 새거나 빠져서 밖으로 나오다.
  • 흘러내리다: 물 따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거나 떨어지다. *《옛》 흘러ᄂᆞ리다 《어원》 흐르-+-어+내리-
  • 흘러넘치다: 액체가 가득 차서 흘러내리다.
  • 흘러다니다: *《옛》 흘러ᄃᆞᆮ니다
  • 흘러새다: *《옛》 흘러ᄉᆡ다 《출전》 漏ᄂᆞᆫ 흘러 ᄉᆡᆯ씨라 - 법화경언해(1463)
  • 흘러오다: 물 따위가 흐르면서 내려오다. *《옛》 흘러오다
  • 흘레: 생식을 하기 위하여 동물의 암컷과 수컷이 성적(性的)인 관계를 맺는 일. 교미(交尾). *《옛》 흘레 《어원》 흐르-+-에
  • 흘레하다: 생식을 하기 위하여 동물의 암컷과 수컷이 성적(性的)인 관계를 맺다. 교미하다(交尾-). *《옛》 흘레ᄒᆞ다 《어원》 흐르-+-에+하- 《출전》 【梵志報曰。坐有群鹿數共合會】 梵志 닐오ᄃᆡ 이ᅌᅥ긔 안자 이셔 사ᄉᆞ미 흘레 ᄒᆞ거든 - 석보상절(24)(1447)
  • 흘리다: 물이나 작은 알갱이 따위를 밖으로 새게 하거나 떨어뜨리다. *《옛》 흘리다 《어원》 흐르-+-이-
  • 흘림: 조세를 받아들일 때 각 고을의 구실아치가 대장(臺帳)에서 베끼어 내던 초안. *《옛》 흘림
  • 흙: 지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바위가 부스러져 생긴 가루인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섞여 이루어진 물질. *《옛》 ᄒᆞᆰ
  • 흙격지: 지층과 지층 사이.
  • 흙뒤: 발 뒤축의 위쪽에 있는 근육. 아킬레스건.
  • 흙무지: 흙이 모여서 많이 쌓인 더미. *《옛》 ᄒᆞᆰ무디
  • 흙버더기: 진흙이 튀어 올라 붙은 작은 조각돌. 혹은 그렇게 된 상태.
  • 흥글방망이놀다: 방해(妨害)하다.
  • 흩다: 한데 모였던 것을 따로따로 떨어지게 하다. *《옛》 흩다, 흗다, 흗ᄒᆞ다
  • 흩걷다: 산책하다. *《옛》 흣걷다 《어원》 흩-+걷-
  • 흩날다: 날아 흩어지다. *《옛》 흣ᄂᆞᆯ다 《어원》 흩-+날-
  • 흩듣다: 떨어져 흩어지다. *《옛》 흣듣다 《어원》 흩-+듣-(落)
  • 흩날리다: 흩어져 날리다. 또는 그렇게 하다. *《옛》 흣ᄂᆞᆯ리다 《어원》 흩-+날리-
  • 흩부르다: 이것저것 되는대로 부르다. *《옛》 흣부르다 《어원》 흩-+부르-
  • 흩부치다: 마구 부치다. *《옛》 흣부치다 《어원》 흩-+부치-
  • 흩뿌리다: 마구 흩어지게 뿌리다. *《옛》 흣ᄲᅳᆯ히다 《어원》 흩-+뿌리-
  • 흩어지다: 한데 모였던 것이 따로따로 떨어지거나 사방으로 퍼지다. *《옛》 흐터디다 《어원》 흩-+-어+지-
  • 흩이다: 흩어지게 되다.
  • 희다: 눈이나 우유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 *《옛》 희다
  • 희조촐하다: 희고 조촐하다. *《옛》 희조츨ᄒᆞ다
  • 희짓다: 방해하다. * 《참조》 기울희짓다
  • 흰쇠: 은(銀). *《옛》 흰ᄉᆈ
  • 힘: 사람이나 동물이 몸에 갖추고 있으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건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 작용. *《옛》 힘
  • 힘살: 근육(筋肉).
  • 힘세다: 힘이 많아서 억세다. *《옛》 힘세다
  • 힘쓰다: 힘을 들여 일을 하다. *《옛》 힘ᄡᅳ다
  • 힘씌우다: 힘쓰게 하다. 격려하다. *《옛》 힘ᄡᅴ우다
  • 힘입다: 어떤 힘의 도움을 받다. 어떤 행동이나 말 따위에 용기를 얻다. *《옛》 힘닙다
  • 힘자라다: 힘이 미치다. *《옛》 힘ᄌᆞ라다, 힘자라다 《출전》 ᄂᆡ 힘자라ᄂᆞᆫ ᄃᆡ로 ᄒᆡ 볼 것이니 - 원앙도(1911)
  • 힘젓다: 힘이 되다. *《옛》 힘젓다

3. 둘러보기[편집]




[1] 파일:icTRQm4.png[2] Noto Sans CJK KR(본고딕)[3] "생각" 역시 순우리말이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참고.[4] 보통은 혜윰이라는 표기로도 알려져 있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참고.[5] ‘ㅣ’나 ‘ㅣ’ 계열 이중 모음 뒤에선 -욤/윰[6] 이것도 그리마처럼 외래어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9-20 15:20:19에 나무위키 순우리말/목록/ㅈ~ㅎ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