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경주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경주시(선거구)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fff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fff
]] 포항시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경주시 CI.svg 경상북도 경주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경주시경주시 전역
도의원경주시1현곡면, 성건동, 황성동
경주시2감포읍, 외동읍, 문무대왕면, 양남면, 동천동, 보덕동
경주시3안강읍, 강동면, 천북면, 용강동
경주시4건천읍, 내남면, 산내면, 서면, 중부동, 황오동, 황남동, 선도동, 월성동, 불국동


1.1. 도의회[편집]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주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8석, 시장 소속 정당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석
]]
무소속

2석
재적

21석



2. 지역 특징[편집]


흔히 대구광역시사회주의로 유명한 지역이었던 만큼, 경주시도 한동안은 진보정당이 강세를 보인 지역이었다. 1956년 3대 대선조봉암이 우세한 경상북도 내 몇 안 되는 지역이었다.[1] 그러나 5대 대선 때에는 포항시, 영천시, 안동시와 더불어 경상북도 내에서 윤보선의 득표율이 높았는데, 그 이유는 진보의 세를 이어가서가 아니라 6.25 전쟁 당시 북한과 대치했기 때문에 여타 경북 지역에 비해 반공보수 사상이 어느 정도 남아 있었고, 남로당에 적을 두고 있었던 박정희공산주의자로 고깝게 보았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윤보선을 뽑는 것은 보수라는 것을 보여주는 징표였다.

이후로는 경북답게 자연히 보수정당 강세 지역이 되었으며, 특히 경주대학교 설립자이자 이사장인 김일윤이 5선을 한 지역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인 만큼 쇠락했어도 규모가 어느 정도 있던 도시라 옛날에는 갑과 을 두 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였으나, 16대 총선에서 결국 합구되었고, 이후로 국회의원은 단 1명만 뽑고 있다. 18대엔 친이친박이 격돌한 지역이었으나, 다시 돌아온 친박연대 김일윤이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한명이던 정종복 후보를 꺾고 당선되어[2] 5선에 성공하는 듯 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대 총선에서부터 독촉국민회의 김철, 이석 후보가 당선되어 보수세가 면밀히 강한 지역구임을 보여주었고 2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안용대 후보와 대한청년단 이협우 후보가 당선, 3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김철과 이협우가 당선, 4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안용대 후보, 자유당 이협우 후보, 자유당 이종준 후보의 당선으로 전형적인 자유당 지지지역이었다. 그러나 4.19 혁명 이후 5대 총선에서는 자유당의 공백을 민주당이 메꾸면서 민주당 오정국, 무소속 김종해, 민주당 황한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전형적인 TK 중심 보수정당 지지지역이다. 6대 총선7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이상무 후보가 재선, 8대 총선에서는 신민당의 약진으로 신민당 심봉섭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중선거구제 이후 9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박숙현 후보, 무소속 이영표 후보가 당선되고 10대 총선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숙현 후보와 신민당 박권흠 후보가 당선되어 여전히 보수텃밭임을 증명했다.

11대 총선에서는 민주정의당 박권흠 후보와 무소속 김순규 후보가 당선되어 여전히 보수 텃밭 중에서도 상텃밭이라는 것을 증명했고 12대 총선에서는 민주정의당 박권흠 후보와 민주한국당 김일윤 후보의 당선이 여전한 보수 텃밭이라는 것을 계속 증명했다. 소선거구제로 바뀐 13대 총선 이후에도 보수정당 중 구 민정계 출신이 꾸준히 당선되었으나, 제14대 국회의 서수종 의원이 사망 후 치러진 1994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문민정부가 TK를 홀대하고 PK만 너무 신경쓴다는 여론으로[3] 민주당 이상두 후보가 승리했지만 그 이후는 원상복귀되었다.

별다른 이슈가 없던 경주가 주목을 받았던 것은 제18대 국회의 김일윤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직을 상실한 후 2009년 실시된 재선거이다.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실시된 제18대 총선에서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한명이었던 현역 국회의원 정종복이 뜻밖에도 친박연대 김일윤 후보에게 패배했었다. 한나라당은 다시 한 번 이명박의 최측근인 정종복 전 의원을 공천했고, 친박에선 무소속 정수성 전 야전사령관을 적극 밀어주며 사실상 친이, 친박 대결 구도가 또 완성되었다. 이때 한나라당에선 이례적으로 최고위원회의를 경주까지 내려와서 하고, 나경원, 박희태, 홍준표 등 인지도 있는 친이계 정치인들까지 지원 유세를 하는 등 정종복 전 의원을 위해 화끈한 지원을 해주었다. 하지만 17대 국회 당시 정종복 전 의원의 의정 활동에 대한 경주시민들의 실망감 등이 겹쳐지면서 결국 정종복 의원은 무소속 정수성 후보에게 약 10%p 차이로 다시 한 번 낙선하고 만다.

여담으로, 경주시의 강한 보수 성향에는 박정희 정권 당시의 경주 개발도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있다. 박정희 정권 당시 경주시에 대규모 문화재 발굴 및 관광 개발 사업이 있었고,[4] 이로 인해 경주가 신라 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관광도시로 자리잡은 부분이 있기 때문. 지금 와선 그저 옛날 이야기에 불과하지만, 이에 영향을 받았는지 박근혜 역시 대선 공약으로 ‘경주 역사문화 창조도시 조성’을 내걸고 경주 지역의 관광 개발을 시도하기도 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
파일:경주시 CI.svg 역대 경주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주정의당 황윤기 초선
경주시경주군
14대민주자유당 서수종 초선[5]민주자유당 황윤기 재선
1994민주당 이상두 초선
경주시 갑경주시 을
15대무소속 김일윤 3선무소속 임진출 초선}}}
김일윤4선
17대한나라당정종복초선
18대친박연대김일윤5선[6]
2009무소속정수성초선
19대새누리당재선
20대김석기초선
21대미래통합당재선}}}}}}

파일:경주시 CI.svg 역대 경주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한나라당한나라당
이원식백상승최양식
201420182022
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최양식주낙영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원식 36.96%

2위:
[[무소속|
무소속
]]
백상승 36.62%
3위:
[[무소속|
무소속
]]
이동천 18.79%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원식 56.00%

2위:
[[무소속|
무소속
]]
백상승 36.12%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백상승 55.34%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원식 31.17%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백상승 84.44%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상두 15.55%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양식 48.53%

2위:
[[무소속|
무소속
]]
백상승 26.79%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최양식 48.18%

2위:
[[무소속|
무소속
]]
박병훈 24.47%
3위:
[[무소속|
무소속
]]
황진홍 13.83%
2018년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주낙영 34.99%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배근 22.38%
3위:
[[무소속|
무소속
]]
박병훈 20.86%
4위:
[[무소속|
무소속
]]
최양식 14.41%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주낙영 78.86%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영태 21.13%
[1] 조봉암은 경북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보였지만, 그마저도 반수를 넘지는 못했다.[2] 경북지역에서 유일한 친박연대 당선자였다. 참고로 당시 친박연대는 지역구에서 총 6석을 확보했다. 대구 3석, 경북 1석, 부산 1석, 경기 1석.[3] 이 때문에 같은 날 치러진 대구직할시 수성구 갑 재보궐선거에서도 신민당 현경자 후보(박철언의 배우자)가 과반 득표로 승리했다.[4] 실제로 경부고속도로 대구 ~ 부산 구간의 경우 밀양을 거쳐 바로 직선으로 가지 않고 경주를 거친다. 사실 이거에는 울산광역시의 산업단지 연계, 밀양시 일대의 연약지반 문제도 있다.[5] 94.05.15. 별세[6] 08.12.24.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경주시 개표 결과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865
(21.40%)
83,997
(78.59%)
- 61,122
(▼57.19)
109,647
(49.72%)
구 경주시
득표율10,252
(21.57%)
37,262
(78.42%)
- 27,010
(▼56.84)
48,395
(44.16%)
중부동[A]13.57%86.42%▼72.8446.15
황오동[B]14.18%85.81%▼71.6348.69
성건동[C]15.78%84.21%▼68.4242.16
황남동[D]15.10%84.89%▼69.7849.55
월성동[E]16.62%83.37%▼66.7446.13
선도동[F]25.47%74.52%▼49.0449.17
용강동27.10%72.89%▼45.7841.15
황성동27.92%72.07%▼44.1541.73
동천동19.75%80.24%▼60.4943.52
불국동[G]18.61%81.38%▼62.7744.43
보덕동[H]14.76%85.23%▼70.4754.24
구 월성군
득표율9,246
(19.83%)
37,369
(80.16%)
- 28,123
(▼60.33)
48,225
(49.26%)
감포읍14.28%85.71%▼71.4358.32
안강읍18.45%81.54%▼63.0849.51
건천읍14.67%85.32%▼70.6551.41
외동읍23.77%76.22%▼52.4441.62
문무대왕면[I]15.22%84.77%▼69.5456.30
양남면[I]21.41%78.58%▼57.1759.43
내남면17.52%82.47%▼69.4353.32
산내면14.71%85.28%▼70.5752.54
서면16.15%83.84%▼67.6859.79
현곡면27.95%72.04%▼44.0846.98
강동면16.40%83.59%▼67.1946.55
천북면14.92%85.07%▼70.1447.99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22.82%77.17%▼54.35
관외사전투표26.63%73.36%▼46.72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경주시[J][지역구]20.71%79.28%▼58.5746.56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동 지역[K]21.57%78.42%▼56.8444.16
읍 지역[L]22.93%77.06%▼54.1346.11
면 지역[M]16.23%83.76%▼67.5253.43
경주시장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한영태주낙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483
(21.13%)
83,911
(78.86%)
- 61,428
(▼57.73)
109,649
(49.72%)
구 경주시
중부동[A]15.58%84.41%▼68.8246.15
황오동[B]15.07%84.92%▼69.8448.73
성건동[C]15.76%84.23%▼68.4742.15
황남동[D]16.86%83.13%▼66.2649.68
월성동[E]16.62%83.37%▼66.7446.17
선도동[F]24.86%75.13%▼50.2649.18
용강동25.86%74.13%▼48.2741.15
황성동26.73%73.26%▼46.5241.73
동천동20.41%79.58%▼59.1643.54
불국동[G]18.94%81.05%▼62.1044.47
보덕동[H]16.00%83.99%▼67.9954.24
구 월성군
감포읍14.95%85.04%▼70.0958.35
안강읍18.26%81.73%▼63.4649.51
건천읍14.38%85.61%▼71.2351.43
외동읍23.93%76.06%▼52.1341.62
문무대왕면[I]16.09%83.90%▼67.8056.30
양남면[I]21.13%78.86%▼57.7359.43
내남면[7]16.88%83.11%▼66.2353.30
산내면15.74%84.25%▼68.5152.50
서면18.15%81.84%▼63.6859.86
현곡면26.21%73.78%▼47.5746.94
강동면15.88%84.11%▼68.2246.56
천북면16.22%83.77%▼67.5448.01
후보한영태주낙영격차
거소투표22.43%77.56%▼55.12
관외사전투표25.37%74.62%▼49.25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8,92526,3761,9632,170
득표율55.86%37.85%2.81%3.11%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78,029
투표 수71,037
무효표 수1,357
투표율91%

월성군
월성군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50,31728,2621,2242,181
득표율60.94%34.23%1.48%2.64%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94,078
투표 수84,710
무효표 수2,155
투표율90%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5,6616,35614,3596,016
득표율62.04%8.63%19.51%8.17%
순위1위4위2위3위
선거인 수92,404
투표 수74,608
무효표 수1,011
투표율80.70%

경주군
경주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4,6696,64514,4425,661
득표율61.24%9.11%19.80%7.76%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93,094
투표 수74,232
무효표 수1,303
투표율79.70%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갑
{{{#ffffff 감포읍, 건천읍, 외동읍, 양북면, 양남면, 내남면, 산내면, 서면, 성내동,
중앙동, 성건동, 탑정동, 선도동, 도동동, 정래동, 불국동, 보덕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47,2169,72118,819
득표율60.19%12.39%23.99%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103,307
투표 수80,439
무효표 수2,002
투표율77.90%

경주시 을
{{{#ffffff 안강읍, 현곡면, 강동면, 천북면, 황오동, 성동동,
황남동, 인교동, 보황동, 용강동, 황성동, 동천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50,7579,99817,523
득표율62.24%12.26%21.49%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103,749
투표 수82,980
무효표 수1,442
투표율80%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06,34630,6469,268
득표율72.37%20.85%6.30%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11,302
투표 수149,108
무효표 수2,168
투표율70.60%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8,968107,9486,3664,49816,157
득표율6.19%74.51%4.39%3.10%11.15%
순위3위1위4위5위2위
선거인 수211,623
투표 수145,887
무효표 수1,015
투표율68.90%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32,57934,357
득표율79.02%20.4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14,748
투표 수168,542
무효표 수783
투표율78.50%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38,09280,09023,89813,7799,274
득표율22.89%48.14%14.36%8.28%5.57%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218,154
투표 수167,296
무효표 수935
투표율76.93%

19대 대선 경주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38,092
(22.89%)
80,090
(48.14%)
23,898
(14.36%)
13,779
(8.28%)
9,274
(5.57%)
- 41,998
(▼25.25)
76.69%
구 경주시
득표율23.37%47.39%14.39%8.45%5.82%▼24.0276.21%
중부동[A]17.54%58.26%11.96%7.43%4.20%▼40.7273.27
황오동[B]16.69%60.13%12.74%6.40%3.66%▼43.4475.05
성건동[C]20.32%53.53%13.12%7.36%5.03%▼33.2173.62
황남동[D]14.83%62.70%12.38%6.09%3.47%▼47.8773.90
월성동[E]20.62%54.64%13.10%6.43%4.40%▼34.0275.95
선도동[F]27.23%42.23%14.49%9.53%6.01%▼15.0076.76
용강동26.24%39.84%16.03%9.88%7.27%▼13.6077.05
황성동29.60%35.87%16.44%10.09%7.52%▼6.2780.23
동천동23.22%47.48%13.92%8.62%6.26%▼24.2675.25
불국동[G]19.74%52.81%15.11%7.08%4.59%▼33.0774.31
보덕동[H]19.93%53.67%12.53%8.00%4.93%▼33.7480.63
구 월성군
득표율19.27%55.30%13.18%7.02%4.33%▼36.0372.99%
감포읍13.51%67.31%10.39%5.32%2.48%▼53.8064.93
안강읍17.44%55.54%13.49%8.13%4.71%▼38.1072.82
건천읍16.95%62.30%10.68%6.20%2.99%▼45.3571.84
외동읍21.37%52.01%14.32%6.51%4.91%▼30.6471.15
문무대왕면20.44%56.90%12.25%5.63%3.33%▼36.4672.99
양남면[I]26.73%47.69%13.50%6.11%4.55%▼20.9673.77
내남면17.28%59.32%12.29%5.87%4.08%▼42.0472.06
산내면14.63%65.36%11.65%4.96%1.83%▼50.7368.95
서면15.33%65.50%10.87%4.45%2.66%▼50.1775.47
현곡면25.64%42.84%15.26%9.34%6.24%▼17.2079.74
강동면16.68%57.12%14.76%6.66%3.86%▼40.4472.35
천북면15.31%61.47%11.88%6.68%3.94%▼46.1674.8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20.68%39.35%25.46%5.09%3.40%▼18.67
관외사전투표33.54%25.83%18.19%12.69%9.04%△7.71
재외투표50.98%10.64%20.90%5.26%10.64%△30.0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경주시[8][9]21.60%50.80%13.87%7.84%5.18%▼29.2074.7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동 지역[10]23.37%47.39%14.39%8.45%5.82%▼22.7774.71
읍·면 지역[11]19.27%55.30%13.18%7.02%4.33%▼36.0372.99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경주시
경주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43,031123,196
득표율24.97%71.4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20,573
투표 수173,759
무효표 수1,456
투표율78.77%

20대 대선 경주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43,031
(24.97%)
123,196
(71.49%)
- 80,165
(▼46.53)
173,759
(78.77%)
구 경주시
득표율21,317
(24.93%)
61,247
(71.65%)
- 39,930
(▼46.71)
86,085
(78.03%)
중부동[A]17.99%79.61%▼61.6281.20
황오동[B]18.81%78.63%▼59.8379.90
성건동[C]20.14%76.96%▼56.8275.35
황남동[D]18.46%78.33%▼59.8678.17
월성동[E]20.96%75.85%▼54.8978.77
선도동[F]27.56%68.93%▼41.3677.16
용강동30.35%65.52%▼35.1777.26
황성동30.22%65.98%▼35.7678.46
동천동23.10%73.44%▼50.3477.16
불국동[G]23.89%72.96%▼49.0778.71
보덕동[H]22.65%73.78%▼51.1387.75
구 월성군
득표율16,631
(23.61%)
51,393
(72.97%)
- 34,762
(▼49.36)
70,977
(76.15%)
감포읍15.99%82.00%▼66.0172.17
안강읍20.60%76.07%▼55.4675.59
건천읍18.21%78.39%▼60.1875.70
외동읍30.69%65.29%▼34.6071.92
문무대왕면[I]16.88%79.79%▼62.9277.37
양남면[I]24.37%72.28%▼47.9178.10
내남면20.73%76.54%▼55.8278.17
산내면16.69%80.63%▼63.9475.94
서면17.51%79.78%▼62.2780.47
현곡면30.56%65.51%▼34.9479.35
강동면19.72%77.06%▼57.3475.69
천북면22.79%74.13%▼51.3580.8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3.15%71.57%▼48.42
관외사전투표30.55%64.78%▼34.24
재외투표51.28%44.32%△6.9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경주시[J][12]24.34%72.25%▼47.9177.1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K]24.93%71.65%▼46.7178.03
읍 지역[13]26.83%69.43%▼42.6075.46
면 지역[14]19.55%77.43%▼57.8777.02

3.3. 총선[편집]



3.3.1. 경주시 / 월성군[편집]



3.3.2. 경주시 / 경주군[편집]



3.3.3. 경주시 갑 / 경주시 을[편집]



3.3.4. 경주시[편집]


21대 총선 경주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정다은김석기권영국정종복(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1,560
(14.72%)
77,102
(52.67%)
16,937
(11.57%)
29,076
(19.86%)
+ 48,026
(△32.81)
148,761
(67.15%)
[ 펼치기 · 접기 ]
구 경주시
득표율10,147
(13.54%)
37,499
(50.05%)
9,832
(13.12%)
16,631
(22.19%)
+ 20,868
(△27.85)
76,005
(66.83%)
중부동[A]10.39%52.59%8.76%26.91%△25.6768.26
황오동[B]10.47%58.30%7.87%22.24%△36.0668.73
성건동[C]10.62%56.13%9.27%22.91%△33.2262.87
황남동[D]10.14%57.92%6.89%23.70%△34.2267.38
월성동[E]10.74%53.95%10.45%23.83%△30.1368.30
선도동[F]15.12%44.51%14.31%24.69%△19.8265.70
용강동16.32%44.87%17.02%20.94%△23.9366.25
황성동15.26%43.85%18.93%21.07%△22.7868.20
동천동13.11%50.29%12.52%22.78%△27.5266.17
불국동[G]15.25%58.17%8.64%16.87%△41.3067.02
보덕동[H]12.25%53.43%10.45%22.38%△31.0577.96
구 월성군
득표율8,416
(13.80%)
34,551
(56.66%)
6,050
(9.92%)
11,293
(18.52%)
+ 23,258
(△38.15)
61,996
(64.16%)
감포읍8.30%53.97%2.89%33.89%△20.0860.30
안강읍[1]11.41%59.98%12.20%15.54%△44.4463.56
건천읍10.55%63.86%6.04%18.43%△45.4262.77
외동읍20.18%56.97%7.90%13.57%▼36.7959.01
양북면10.38%60.21%6.63%21.39%△38.8266.63
양남면[I][N]17.54%54.94%6.16%20.02%△34.9266.70
내남면[I]11.44%60.50%6.23%20.66%△39.8467.72
산내면12.15%65.80%4.40%16.18%△49.6264.87
서면9.68%58.81%5.73%24.42%△34.3970.23
현곡면15.59%43.81%18.69%20.97%△22.8567.33
강동면14.74%63.21%7.43%13.29%▼48.4762.76
천북면13.43%57.03%8.18%20.53%△36.5168.72
후보정다은김석기권영국정종복격차
거소·선상투표17.72%59.91%7.59%11.18%▼42.19
관외사전투표28.84%47.81%10.18%11.06%▼18.97
재외투표50.00%33.60%10.65%4.91%△16.39
[A] [B] [C] [D] [E] [F] [G] [H] [1] 김석기 후보의 고향[I] A B [N] 2021년 문무대왕면으로 명칭 변경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79,795
(55.87%)
21,770
(15.24%)
13,200
(9.24%)
7,218
(5.05%)
4,491
(3.14%)
+ 58,025
(△40.63)
148,804
(67.11%)
[ 펼치기 · 접기 ]
구 경주시
득표율40,646
(55.34%)
11,305
(15.39%)
7,236
(9.85%)
4,054
(5.51%)
2,397
(3.26%)
+ 29,341
(△39.95)
76,006
(66.83%)
중부동[A]62.87%11.95%6.62%4.22%2.36%△50.9168.26
황오동[B]64.88%11.50%6.63%3.72%2.23%△53.3868.74
성건동[C]63.42%12.34%6.88%4.40%2.49%△51.0862.87
황남동[D]64.65%11.18%5.32%3.64%2.85%△53.4767.40
월성동[E]61.13%12.43%7.74%4.96%3.16%△48.7068.30
선도동[F]51.07%17.38%10.63%6.65%3.50%△33.6965.71
용강동48.11%19.14%12.36%6.65%3.63%△28.9666.24
황성동47.79%18.05%13.45%6.92%4.21%△29.7468.20
동천동56.83%14.63%9.89%5.16%2.95%△42.2066.17
불국동[G]58.42%14.31%7.63%4.32%3.18%△44.1167.01
보덕동[H]56.00%14.81%8.06%4.98%3.21%△41.1877.96
구 월성군
득표율34,701
(58.66%)
8,266
(13.97%)
4,844
(8.18%)
2,560
(4.32%)
1,644
(2.77%)
+ 26,435
(△44.69)
61,997
(64.16%)
감포읍66.61%10.38%3.73%2.58%2.04%△56.2360.34
안강읍60.90%11.95%8.73%4.03%2.28%△48.9563.55
건천읍65.39%11.38%5.49%2.94%2.13%△54.0062.77
외동읍55.96%16.42%8.47%3.96%2.85%△39.5459.01
양북면[I][N]59.01%11.57%7.06%5.21%2.34%△47.4466.63
양남면[I]56.53%16.01%6.84%4.29%3.29%△40.5366.70
내남면63.76%11.37%6.80%2.93%2.47%△52.3967.72
산내면63.78%12.35%5.10%1.85%2.47%△51.4364.87
서면64.22%11.33%5.21%3.81%2.20%△52.8970.23
현곡면47.96%18.91%12.57%6.82%3.88%△29.0567.33
강동면62.05%12.35%6.91%4.17%2.76%△49.7062.76
천북면61.84%12.76%7.30%4.56%3.20%△49.0868.72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55.04%12.81%7.35%3.36%2.10%△42.23
관외사전투표42.96%21.86%11.18%6.06%4.36%△21.10
재외투표39.86%26.14%7.84%3.26%13.72%△13.73
[A] A B C D 법정동 동부동 · 서부동 · 북부동 · 노동동 · 노서동. 경주읍성 안쪽의 중심지[B] A B C D 법정동 황오동 · 성동동, 성동시장이 있는 중심지[C] A B C D 법정동 성건동 · 석장동,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가 있는 동네[D] A B C D 법정동 황남동 · 사정동 · 탑동 · 배동 · 율동[E] A B C D 법정동 교동 · 인왕동 · 구황동 · 보문동 · 배반동 · 동방동 · 도지동 · 남산동[F] A B C D 법정동 충효동 · 서약동 · 효현동 · 광명동. 경주대학교가 있는 동네[G] A B C D 법정동 진현동 · 마동 · 하동 · 구정동 · 시래동 · 조양동 · 시동 · 평동. 불국사, 석굴암이 있는 동네[H] A B C D 법정동 천군동 · 신평동 · 손곡동 · 북군동 · 암곡동 · 덕동 · 황용동. 보문관광단지가 있는 동네[I] A B C D E F G 월성 원자력 발전소 및 사택이 있는 동네[J] A B 관외투표 제외[지역구] 지역구 국회의원: 김석기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K] A B 중부동, 황오동, 성건동, 황남동, 선도동, 월성동, 용강동, 황성동, 동천동, 불국동, 보덕동 (구 경주시)[L] 안강읍, 외동읍, 현곡면 (인구 2만 명 이상 읍·면)[M] 감포읍, 건천읍, 문무대왕면, 양남면, 내남면, 산내면, 서면, 강동면, 천북면 (인구 2만 명 미만 읍·면)[7] 주낙영 후보의 출신지[8] 관외투표 제외[9] 지역구 국회의원 : 김석기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초선)[10] 중부동, 황오동, 성건동, 황남동, 선도동, 월성동, 용강동, 황성동, 동천동, 불국동, 보덕동 (구 경주시)[11] 감포읍, 안강읍, 건천읍, 외동읍, 문무대왕면, 양남면, 내남면, 산내면, 서면, 현곡면, 강동면, 천북면 (구 월성군)[12] 지역구 국회의원 : 김석기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재선)[13] 안강읍, 외동읍, 현곡면 (인구 2만 명 이상 읍·면)[14] 감포읍, 건천읍, 문무대왕면, 양남면, 내남면, 산내면, 서면, 강동면, 천북면 (인구 2만 명 미만 읍·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