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N15 (r3판)

편집일시 :




파일:external/blogfiles13.naver.net/DSC09441.jpg
파일:SAM_3700.jpg
우신운수 차량.
동아운수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N15번 출발시간표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15 노선도.png

기점[1]
[출발]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성원아파트)
[도착]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도선사입구)
종점[2]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남태령역)
종점

첫차
00:00
기점

첫차
00:00
막차
03:35
막차
03:40
배차간격
30~35분 (1일 8회)
운수사명
동아운수 / 우신운수
인가대수
8대[3]
노선
(우이동성원아파트 →) 도선사입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방학사거리 - 도봉보건소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보문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종로2~6가 - 을지로입구역.광교 - 남대문시장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들섬 - 노들역 -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 신대방삼거리 - 롯데백화점관악점 - 신림역 - 봉천역.봉천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남태령역


2. 개요[편집]


동아운수, 우신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14년 11월 17일에 N10번N40번을 합치면서 신설되었다. 기존 노선과 달리 삼양로 대신 도봉로를 경유한다. 관련 공지사항

  • 2016년 11월 28일 8대로 증차된다. 동아운수 151번 출신 1대, 우신운수에서는 4212번 1대씩 증차분으로 투입된다.


  • 2017년 12월 8일부터 2018년 1월 1일까지 2대를 추가 투입하는데, 101번, 4212번에서 1대씩 다중노선 설정을 통해 투입했다. 단, 101번은 동아운수가 아닌, 한성운수 차량을 차출해 왔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기존 운행차량(8대)에 우신운수, 한성운수 차량이 각 1대씩 한시적으로 증차되어 10대로 운행했다.

  • 2019년 12월 17일부터 1달간 한성운수 101번 출신 차량 1대가 증차되어 9대로 운행했다. 다만 우신운수는 증차없이 다닌다.

  • 2020년 2~3월 중 일자미상으로 우이동 방향의 도선사입구 정류장(ID 09-297)이 전산에서 삭제되었다. 다만, 동아운수 영업소가 해당 정류장 남쪽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산군, 정의공주묘 정류소에서 끝나지 않고, 도선사입구(ID 09-102, 동사 주간노선 기점)에서 하차 가능하나, 2021년 말 ~ 2022년 1월 사이 일자미상으로 추가된 한국사회봉사회 정류장(우이동 방면, ID 10-343)에 정차하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사당동 방면 정류장은 정식으로 정차함)

  •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인가댓수가 한시적으로 8대에서 9대로 증차되었다. 이 기간동안 최소 배차간격이 30분에서 25분으로 줄어들었다.관련 게시물


4. 특징[편집]


  • 130번[4], 152번[5], 461번[6]이 조합된 노선이다.

  • 이 노선을 통하여 사당역까지 이동한 다음,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는 7770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7] 또한 이 버스로 인해 의정부 북부(연천, 동두천 포함) 등지에서 시내버스 여행을 하기도 편해졌다. 36번 심야(연천발 00:30 막차)를 탄 뒤에 02시 15분까지 도봉보건소 정류장에 도착해서 이 버스를 타면 04시~04시 30분까지 사당역에 도착할 수 있다.[8][9]

  • 우신운수로서는 2004년 개편 이후 처음으로 운행하게 된 파란색 시내버스이기도 하다.

  • 양쪽 첫차, 막차시간이 N16번보다 먼저이며, 숭례문(ID 02-122)에 같이 정차하는데, 서로 반대방향이니 행선지나 방향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10]

  • 이 노선의 특이한 점은 노량진에서 온 버스인데도 불구하고 사당 방향시 동작구청에 2번 정차할 뿐만 아니라[11], 우이동 방향시에도 노량진역에 무려 2번이나 정차하며[12], 장승배기로 가는 버스인데도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양방향 경유하고, 서울역버스환승센터 7번 승강장에서 숭례문(ID 02-122) 정류장으로 바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심야버스라서 차로 변경이 용이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 동아운수 우이동 차고지에서 유일하게 승하차가 가능한 노선이라 알려져 있었으나, 2019년 1월 29일 확인 결과 동아운수 차량 이용 시에는 우이동으로 올 때 도선사입구 정류장에서 무조건 하차해야 하지만, 실상은 차고지 입구에서 하차도 가능하다. 안내방송 상으로도 도선사입구가 마지막으로 나오며, 성원아파트나 동아운수 차고지 안내방송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우신운수 차량은 회차지점이므로 이용 시 승하차가 가능하다. 이렇게 될 만한 것이, 동아운수 첫차가 우이동으로 돌아오는 게 대략 새벽 4시 5분경 되는데, 이 시간이면 이미 자사 우이동 발 주간 노선 첫차가 출발할 시간이므로 굳이 자사 차고지까지 비공식적으로 태워다 줄 것 없이 도선사입구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시키면 그만이기 때문.

  • 동아운수 차량은 1대를 제외하고 돌출형 번호판과 전면 영어, 중국어 행선지 스티커가 없는데, 이는 위에 언급된 주간 노선 예비차 공동사용 때문이다. 따로 행선판 틀은 없이, 주간 노선 투입 시에는 자석 행선판과 번호판을 붙이고 다니며, 전면 및 측면 전광판의 뒷면에 노선설정용 스위치도 달려 있다. 주간에 운행하는 151번 예비차 역시 심야운행시 자석 행선판 부착 및 후면 BLU를 뒤집어놓고 전광판과 단말기 노선 설정을 심야로 맞춘 뒤, N15번 예비차로써 운행을 하게 된다. 돈통도 심야 전용으로 따로 쓰는 건 덤. 스티커에 '심야전용(차량번호)N' 이라 쓰여 있다. 그 차들은 주간에는 예비, 야간에는 정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배차간격이 30~35분이 된 주된 이유는 방배 측 막차(01시 30분)와 우이 측 첫차(02시 10분)의 40분 공백이 길다는 불편으로 중재하기 위해 방배동쪽 회차를 우이 측 1, 2번까지 35분으로 조정한 것이다. 반대로 우이 측 막차와 방배 측이 우이동 회차시 35분 공백으로 적절하기에 별 일 없이 다니는 것이다.

  • 우신운수 차량 결행 시 4212번 예비차에 전광판 설정만 바꿔서 운행한다. 이용 시 혼동에 유의할 것. 관련 게시물


4.1. N15번 출발시간표[편집]


우이동 출발
방배동(남태령역) 출발
00:00
00:30
01:00
01:30
00:00
00:30
01:00
01:30
02:05
02:35
03:05
03:35
02:05
02:40
03:10
03:40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918명

2015년
939명
△ 21
2016년
916명
▽ 23
2017년
1,182명
△ 266
2018년
1,264명
△ 82
2019년
1,405명
△ 141
2020년
1,107명
▽ 298
2021년
751명
▽ 356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6. 둘러보기[편집]





[
[1] 동아운수(N15우이) 출발점 - 차고지 출입 문제로 인해 성원아파트에는 남태령역 방향으로 출발할 때만 정차한다.[2] 우신운수(N15사당) 출발점[3] 동아운수는 151번 예비차를 공동사용한다.[4] 우이동도선사입구 - 미아사거리 구간[5] 미아리고개 - 신림역 구간(종로구간 제외, 종로 구간은 201번과 거의 유사하다.)[6] 신대방삼거리 - 사당역 구간[7] 유일하게 서울역-(사당 경유)-수원역을 연계하는 노선 조합이 된다. 평일 한정이며 주말, 공휴일은 심야에 운행하지 않으니 주의. 다만 01:10에 502번 막차가 한국은행·신세계 정류장을 출발하므로, 01:10 이전까지는 502번을 타는 게 사당역으로 갈 때, 시간이나 배차간격, 요금상 더 효율적이다.[8] 다만 최근에는 36번의 속도가 다소 느려져서 이 버스를 제때 타지 못하여 실패하는 사례가 종종 있으니 주의.[9] 심야 36번의 연천 지원운행이 사라지면서 이것 또한 다 옛말이 되었다. 다만, 동두천부터 시작하는 시내버스 여행은 아직 가능하다.[10] 본 노선이 우이동 방향이면 N16번은 온수동 방향.[11] 대방 쪽에서 오는 버스만 동작구청입구를 포함해서 2번 정차하고, 주간버스들은 노량진에서 온 버스라면 동작구청, 노량진초등학교만 정차한다.[12] 장승배기 방면에서 오는 버스가 정차하는 가로변 정류장과 대방쪽에서 오는 버스가 정차하는 중앙차로 정류장 두 곳에 모두 정차한다.[13] 숙대입구역 하차 후 도보[용] A B C 신용산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