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익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채진
제2대
이상희
제3대
이상연
제4대
박배근
제5대
박성달
제6대
이해봉
제7대
한명환
제8대
이의익
제9대
조해녕
제10대
이종주
제11-12대}}}문희갑
제13대
조해녕
제14-15대}}}김범일
제16-17대}}}권영진

파일:컬러풀대구로고1.pn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선거구 분리
김용태
제15대
이의익
[1]
제15-16대
박승국

파일:구 경기도 휘장(백색).png
경기도 부지사
[ 펼치기 · 접기 ]
박창원 도정
박태원 도정
남봉진 도정
김태경 도정
손수익 도정
초대
이백호
제2대
강신익
제3대
서정화
제4대
안갑준
제5대
강신익
조병규 도정
손재식 도정
김주남 도정
염보현 도정
제6대
남영우
제7대
이규이
제8대
심재홍
제9대
원병의 / 최재영
제10대
이재창
염보현 도정
김태호 도정
이해구 도정
제11대
이재창 / 김재연
제12대
송언종
제13대
홍영기
제14대
백세현
제15대
안치순
김용래 도정
임사빈 도정
이재창 도정
심재홍 도정
제16대
백세현
제17대
윤세달
제18대
박부찬
제19대
이의익
제20대
김병량
윤세달 도정
임경호 도정
김용선 도정
제21대
이해재
제22대
김용선
제23대
전영국



파일:마산시 CI_White.png
경상남도 마산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옥기환
제2대
김정희
제3대
정재설
제4대
손영수
제5대
장동은
제6대
강봉용
제7대
허윤수
제8대
김종신
제9-10대
이병진
제11-12대
박영두
제13대
윤상환
제14대
손성수
제15대
최병순
제16대
최병한
제17대
윤동수
제18대
김희구
제19대
변광영
제20대
안재흥
제21대
김종구
제22대
이남두
제23대
최재영
제24대
원병의
제25대
김태옥
제26대
성해기
제27대
이재석
제28대
이판석
제29대
김영환
제30대
이의익
제31대
박종택
제32대
윤희윤
제33대
안길현
제34대
김충규
제35대
김영동
제36대
여주환
제37-38대
김인규
제39-41대
황철곤
경상남도 창원시장



파일:구 창원시 CI_White.png
경상남도 (구)창원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재석
제2대
박용범
제3대
박부찬
제4대
이의익
제5대
곽만섭
제6대
윤희윤
제7대
곽만섭
제8대
조해녕
제9대
윤희윤
제10대
신상돈
제11대
김창수
제12대
문백
제13대
송은복
제14대
정채륭
제15대
이계진
제16-17대}}}공민배
제18대
배한성
제19-20대}}}박완수
파일:external/sstatic.naver.com/37329.gif
창원시장 (통합 이후)



[1] 1998년 5월 16일 대구광역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 사퇴.

제25대 대구직할시장
이의익
李義翊 | Lee Ui-ik
파일:/image/038/2012/09/24/alba02201209232019120_59_20120924023608.jpg
출생1940년 5월 6일 (84세)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 의일리 효잠마을[1]
본관연안 이씨
만취당(晩翠堂)
재임기간제4대 경상남도 창원시장
1983년 12월 27일 ~ 1985년 7월 7일
제30대 경상남도 마산시장
1985년 7월 8일 ~ 1986년 12월 23일
제19대 경상남도 부지사
1988년 6월 4일 ~ 1989년 12월 27일
제9대 대구직할시 부시장
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월 11일
제19대 경기도 부지사
1991년 1월 10일 ~ 1992년 4월 30일
제25대 대구직할시장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곽정애
자녀슬하 1남 1녀
학력경북중학교 (졸업)
영천고등학교 (졸업)
국학대학 (경제학 / 학사)
당적
[[무소속|
무소속
]]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5[1]
약력제4대 경상남도 창원시장
경상남도 마산시
대구직할시 부시장
민주자유당 내무전문위원
제25대 대구직할시장
제15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2]
[1] 1998년 5월 16일 대구광역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 사퇴.[2] 1998년 5월 16일 대구광역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 사퇴.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2. 생애[편집]


1940년 5월 6일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 의일리 효잠마을에서 태어났다. 경북중학교, 영천고등학교[2], 국학대학(훗날 고려대학교로 흡수합병된 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3]

1963년부터 경제기획원(현 기획재정부)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내무부(현 행정자치부)에서 근무하였다. 관선 마산시장, 관선 창원시장, 대구직할시 부시장, 경상남도 부지사, 경기도 부지사 등을 역임하였다. 문민정부 초기인 1993년 관선 대구직할시장을 역임하였다. 짧은 기간 대구직할시장을 재임했음에도 대구대공원 지정[4], 서문시장 주차빌딩 건설, 앞산순환로 착공, 염색공단 폐수처리장 시설 확장 등 업적을 남겼지만, 김영삼 정권의 경부고속선 대구 구간 지상화를 반대하다 임명 10개월 만에 경질됐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문희갑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DJP 연합에 반발해(이라고 쓰고 대구광역시장 출마를 위해서라고 읽는다.) 신한국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입당했던 현역 문희갑 대구광역시장과의 경쟁에서 밀리자 1998년 다시 신한국당의 후신인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에 복당하였다. 그리고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문희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유력 후보로 언급되었으나 본인이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이후 대구예술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관선 시장임에도 세 번이나 선거에 나온 적도 있고 해서 이상희, 이종주 전 시장과 더불어 공무원 대상의 특강이나 선거철 후보자들을 지원하는 데 자주 등장한다. 최근에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성구 을에 출마한 홍준표 후보 선대위 고문단을 맡았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30,668 (22.14%)낙선 (2위)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북 갑)33,352 (41.93%)당선 (1위)초선[5]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163,653 (20.66%)낙선 (2위)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39:29에 나무위키 이의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본래 경복고등학교를 다녔으나, 거동이 불편한 아버지를 대신해 가장 역할을 했던 맏형 이의석이 마침 경북도청(당시 대구광역시에 있었음)에서 근무하고 있어 형을 따라 경북고등학교로 전학했다고 한다. 이후 영천고등학교로 다시 전학하여 이곳에서 졸업한다.#2, #3[3] 본래 성균관대학교를 다녔으나, 4.19 혁명에 연루되어 강제징집을 당하고 군대 전역 후 국학대학에 재진학하여 이 곳을 졸업하였다고 한다.[4] 구상은 이해봉 전 시장이 먼저 했다.[5] 1997.11.11 탈당
1997.11.12 신한국당 입당
1998.5.2 한나라당 탈당, 자유민주연합 복당
1998.5.16 의원직 사퇴 (대구광역시장 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