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제4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용지동
昌原市 第四選擧區
Changwon District 4
파일:창원시_제4선거구8.png
선거인 수58,608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산구 일부
반송동, 용지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준 (재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2021년 7월성산구로 새로 편입된 용지동과 한때 사실상 성산구의 월경지였던 반송동을 합쳐 경상남도의회 증원을 위해 2022년에 신설하였다. 창원시청, 창원교육지원청, 경상남도교육청,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등 온갖 관공서가 밀집되어있다.

의창구 시절에는 그나마 국민의힘 지지세가 약했던 지역이였던 용지동이, 성산구에서는 역으로 웅남동과 함께 가장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은 지역에 속한다. 반송동도 성산구 평균 이상의 보수세를 자랑하므로 성산구 안에서는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가장 강한 지역 중 한 곳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창원시 제2,3선거구
제5대박수봉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2]
박판도[3][4]
제6대서장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5]
박판도[6]
제7대박차봉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5]
박판도[6]
제8대박차봉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5]
박판도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2일[7][6]
창원시 제3,4선거구
제9대정연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8]
석영철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9]
제10대정연희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12]
박준[13]
제11대김영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12]
남택욱[13]
창원시 제4선거구
제12대박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0][11]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2선거구
사림동, 용호동, 신월동, 사파동, 상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수봉(朴壽奉)24,079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5.55%당선
2김상하(金尙河)19,2602위

[[무소속|
무소속
]]
44.44%낙선
선거인 수66,771투표율
66.91%
투표 수44,681
무효표 수1,342

창원시 제3선거구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판도(朴判道)16,257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5.23%당선
2박용호(朴鏞浩)8,447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3.50%낙선
3이경대(李敬大)11,2322위

[[무소속|
무소속
]]
31.25%낙선
선거인 수57,506투표율
64.19%
투표 수36,918
무효표 수982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장근(徐長根)25,55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7.24%당선
4정기영(鄭基永)12,4462위

[[무소속|
무소속
]]
32.75%낙선
선거인 수89,072투표율
44.06%
투표 수39,250
무효표 수1,253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판도(朴判道)23,46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2.96%당선
4이재구(李載九)13,7982위

[[무소속|
무소속
]]
37.03%낙선
선거인 수79,018투표율
48.59%
투표 수38,396
무효표 수1,136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차봉(朴且鳳)-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3최갑도(崔甲道)등록 무효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판도(朴判道)26,1221위
72.66%당선
3정병윤(鄭昞允)9,8292위
27.33%낙선
선거인 수76,524투표율
48.72%
투표 수37,285
무효표 수1,334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차봉(朴且鳳)30,1611위
70.97%당선
6김휘용(金暉容)5,2983위
12.46%낙선
7조덕제(趙德濟)7,0342위
16.55%낙선
선거인 수95,290투표율
46.10%
투표 수43,935
무효표 수1,442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판도(朴判道)27,5181위
73.06%당선
6김용남(金用男)10,1462위
26.93%낙선
선거인 수73,621투표율
52.31%
투표 수38,512
무효표 수848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연희(鄭蓮姬)12,8131위
42.96%당선
5문경희(文景嬉)12,5972위
42.23%낙선
7강선식(姜善植)3,0403위
10.19%낙선
8서교민(徐敎民)1,4754위
4.61%낙선
선거인 수54,590투표율
56.24%
투표 수30,705
무효표 수880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성동(鄭聖東)18,3302위
47.78%낙선
5석영철(石永喆)20,0281위
52.21%당선
선거인 수64,473투표율
60.80%
투표 수39,203
무효표 수845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연희(鄭蓮姬)14,3431위
46.70%당선
2정해관(丁海寬)9,3532위
30.45%낙선
3김동석(金東石)3,4844위
11.34%낙선
4안소동(安昭東)3,5293위
11.49%낙선
선거인 수58,315투표율
54.14%
투표 수31,576
무효표 수867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준(朴俊)19,1831위
52.10%당선
3석영철(石永喆)17,6322위
47.89%낙선
선거인 수64,025투표율
59.30%
투표 수37,967
무효표 수1,152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진(金榮鎭)20,0441위
58.06%당선
2정연희(鄭蓮姬)14,4732위
41.93%낙선
선거인 수55,616투표율
63.41%
투표 수35,269
무효표 수752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남택욱(南澤旭)19,8691위
47.81%당선
2박준(朴俊)14,6102위
35.15%낙선
6정영주(鄭永珠)7,0763위
17.02%낙선
선거인 수64,189투표율
66.33%
투표 수42,582
무효표 수1,027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용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경영(金璟伶)12,6292위
39.31%낙선
2박준(朴俊)19,4931위
60.68%당선
선거인 수58,608투표율
55.78%
투표 수32,696
무효표 수574
2021년 7월 용지동을 비롯한 의창구 일부 지역이 성산구로 넘어가면서 인구가 늘기도 했고, 도의회 경계도 그에 맞춰야 하며 경상남도의회 정원도 증원된 관계로 성산구의 의석을 1석 늘리기로 했다. 그리하여 성산구로 넘어온 용지동이 거기에 중앙동, 웅남동에 붙어있던 반송동을 떼서 창원시 제4선거구를 구성한다.

반송동을 관할하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던 남택욱 도의원이 2021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입당하였다. 막상 그리고 나서 의령군수 출마를 노리게 되면서 이 곳에는 자연스럽게 불출마가 확정되었다.

막상 의원 한명 잃은 더불어민주당에선 2명의 현직들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용지동을 연고로 하는 김영진 지역구 도의원과 반송동을 연고로 하는 비례대표 김경영 도의원의 지역기반이 겹치게 된 것. 결국 경선을 치르게 되었고 김경영 후보가 승리하게 되었으며, 김영진 후보는 무주공산이 된 창원시 제5선거구로 옮겨서 출마하게 된다.

국민의힘에서는 반송동이 관할 지역구에 포함되었던 박준 전 도의원을 이 곳에 단수공천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아무도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 구도로 치러진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박준 후보가 성산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양 후보의 지역 기반인 반송동에서는 김경영 후보가 40% 넘게 받으며 비교적 선전했지만, 용지동에서는 박준 후보가 63.2%로 몰표를 받으며 전체 득표율이 60%를 넘기게 되었다.


[1] 창원시 제2선거구 (사림동, 용호동, 신월동, 사파동, 상남동)[2]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용호동과 신월동을 합쳐 용지동이 되었다.[3] 창원시 제3선거구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4]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반림동과 반지동을 합쳐 반송동이 되었다.[5] A B C 창원시 제2선거구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6] A B C 창원시 제3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7] 창원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8] 창원시 제3선거구 (봉림동, 용지동)[9] 창원시 제4선거구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12] A B [13] A B [10] 반송동, 용지동[11] 행정동 봉림동에서 퇴촌동 일부 지역이 성산구 반송동으로 편입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