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제8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창원시 제8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昌原市 第八選擧區
Changwon District 8
파일:창원시_제8선거구8.png
선거인 수33,60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마산합포구 일부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용범 (재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마산합포구의 면 지역과 택지 지구가 지어지고 있는 현동가포동을 관할한다.

원래는 보수 텃밭인 마산 안에서도 가장 국민의힘 초 강세 지역이였다.[1][2] 하지만 현동과 가포동에 신도시가 들어서고 있으며, 면 지역도 서서히 산업단지가 개발되면서 원도심 지역보다 오히려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 되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마산시 제1,7선거구
제5대김제현
[[무소속|
무소속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3]
김천태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
마산시 제1선거구
제6대권경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1년 12월 11일[5][6]
제7대한동진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8대강지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창원시 제7선거구
제9대임경숙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5]
제10대강용범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11대이옥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7][8]
창원시 제8선거구
제12대강용범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9]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마산시 제1선거구
현동, 가포동, 월영1동, 월영2동, 창포동, 월남동, 반월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추한식(秋漢植)13,364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3.98%낙선
2김제현(金悌顯)17,0191위

[[무소속|
무소속
]]
56.01%당선
선거인 수45,231투표율
69.76%
투표 수31,556
무효표 수1,173

마산시 제7선거구
내서읍,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천태(金千泰)12,222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3.34%당선
2박창오(朴昌五)4,4573위

[[무소속|
무소속
]]
15.80%낙선
3백상원(白尙源)11,5192위

[[무소속|
무소속
]]
40.85%낙선
선거인 수39,436투표율
74.70%
투표 수29,461
무효표 수1,263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마산시 제1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경식(權景式)19,55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1.33%당선
4권영민(權寧民)6,4182위

[[무소속|
무소속
]]
16.84%낙선
5김제현(金悌顯)5,9774위

[[무소속|
무소속
]]
15.68%낙선
6박장관(朴章寬)6,1453위

[[무소속|
무소속
]]
14.12%낙선
선거인 수69,906투표율
56.76%
투표 수39,680
무효표 수1,581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마산시 제1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동진(韓東辰)28,33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2.54%당선
3정태천(鄭台天)10,7232위
27.45%낙선
선거인 수77,932투표율
52.27%
투표 수40,739
무효표 수1,685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마산시 제1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강지연(姜知延)27,5831위
66.58%당선
6이상일(李相逸)13,8432위
33.41%낙선
선거인 수75,818투표율
56.12%
투표 수42,550
무효표 수1,124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7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경숙(林敬淑)23,1821위
51.70%당선
5안병진(安秉鎭)11,2352위
25.05%낙선
7박중철(朴重哲)10,4183위
23.23%낙선
선거인 수76,010투표율
60.91%
투표 수46,304
무효표 수1,469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7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용범(張東和)28,2251위
64.16%당선
4이진기(李進基)8,3362위
18.94%낙선
5김종만(金種萬)7,4293위
16.88%낙선
선거인 수77,034투표율
59.49%
투표 수45,829
무효표 수1,839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7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옥선(李沃鮮)27,7231위
51.20%당선
2강용범(姜龍範)26,4232위
48.79%낙선
선거인 수84,451투표율
65.80%
투표 수55,576
무효표 수1,430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창원시 제8선거구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민식(孫敏植)5,4732위
29.52%낙선
2강용범(姜龍範)13,0641위
70.47%당선
선거인 수33,606투표율
56.60%
투표 수19,023
무효표 수486
마산합포구의 인구 감소세에도 불과하고, 도의회 정원이 늘면서 마산합포구의 도의회 의석 1석이 증가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하여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이 신설되는 창원시 제10선거구로 옮겨지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지역을 관할하던 이옥선 도의원이 출마하려고 하였으나, 지역구 개편으로 창원시 제10선거구에 출마하게 되면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그리하여 손민식 민주평통 자문위원이 출마하였다.

국민의힘에서는 창원시장 선거 예비후보에 등록했다가 컷오프 당한 이 지역이 지역구였던 강용범 전 도의원을 단수공천하였다.

선거 결과 강용범 후보가 70%에 육박하는 득표율로 도의회에 복귀하게 되었다. 자신의 고향인 구산면진전면에서 80% 넘는 득표율을 올렸으며, 진북면에서도 70% 후반대, 진동면에서도 70%를 받으며, 면 지역에서 몰표를 받았다. 마산합포구에서 가장 보수성향이 약한 동 지역에서도 현동에서 63.9%, 가포동에서도 64%로 비교적 넉넉하게 앞섰다.


[1] 8회 지선만 봐도 창원시의회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못 나온 곳이 바로 이 지역이다.[2] 다만 8회 지선 이전까지는 이 선거구에 월영동도 포함되어 있어 막상 선거구 차원에선 옆 지역구보다 보수세가 되려 약하게 나왔다.[3] 마산시 제1선거구 (현동, 가포동, 월영1동, 월영2동, 창포동, 월남동, 반월동, 중앙동)[4] 마산시 제7선거구 (내서읍,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5] A B 사기, 횡령, 변호사법 등의 혐의로 직 상실[6]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동, 중앙동[7]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 월영동, 문화동, 반월중앙동[8] 반월동과 중앙동이 통합되었을 뿐, 이전의 관할 구역과 일치한다.[9]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현동, 가포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