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조선)

덤프버전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 은1,2
남 재
배극렴
오몽을1
이 제1, 2
이지란
이 화
장사길
정도전1, 3
정 총
정 탁
정희계
조 박4
조인옥
조 준
김인찬5
이방간6, 7
이방원6
이방의6
협찬개국공신 (2등)
박 포8
유 창
윤 호
이민도
장 담9
정용수10
조 기
조 반
조영규
조 온
홍길민
조 견11
황희석12



익대개국공신 (3등)
고 여
김 균
김 로
손흥종13
심효생1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 근1
이백유
이 부
이 서
이 직14
장지화1
함부림
황거정13
민여익11
임언충11
장사정11, 15
조영무11
한상경11
한 충11


1 1409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421년 태종 때 복권
3 1865년 고종 때 복권
4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5 1392년 9월 16일 태조에 의해 책록
6 1398년 2월 15일 정종에 의해 책록
7 1416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8 1400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9 1422년 2차 왕자의 난으로 인한 제명
10 1418년 조사의의 난으로 인한 제명, 1437년 세종 때 복권
11 1392년 9월 27일 태조에 의해 책록
12 1392년 11월 19일 태조에 의해 책록
1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인한 제명
14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15 1417년 회안군의 첩과 간통한 혐의로 인한 제명







조선 태조의 부마
흥안군(興安君) 경무공(景武公)
이제
李濟

출생
생년 미상공식
1365년(공민왕 14)족보 기록
사망
1398년 10월 15일[1]
(음력 태조 7년 8월 27일)
부모
부친 - 이인립(李仁立, 1333 ~ 1387)
모친 - 혜령옹주(惠寧翁主)
형제자매
남동생 - 이발(李潑, 1372 ~ 1426)
부인
경순공주[2]
자녀
슬하 (1남)
(양자) - 이윤(李潤)
봉호
흥안군(興安君)1392년(태조 1년 8월 7일)
시호
경무(景武)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여말선초인물. 고려 말의 권신이인임의 조카로 조선 개국공신이다.[3] 여담으로 받은 봉호와 이름의 한국 한자음은 후에 잠깐 왕위에 있던 선조의 서자 흥안군과 같다.[4]


2. 생애[편집]


이성계경순공주와 결혼했고 1392년 여름 음력 4월 이방원, 의안대군 이화를 포함한 여러 명과 함께 정몽주를 죽이는 일에 대해 모의했으며, 같은 해 음력 7월 17일 이성계가 왕에 올라 조선건국된 후, 음력 8월 7일에 흥안군에 봉해지고 의흥친군위 절제사가 되었다.

음력 8월 20일에 개국공신 1등에 책봉되었고, 1393년 음력 3월 18일에는 남은, 이지란 등과 함께 왜구를 막기 위해 경상도에 파견되었으며, 음력 10월 17일에 우군 절제사가 되었다. 1395년 음력 4월 4일에 감정에 따라 서부령 권상을 때린 일이 있었지만 아무도 말하지 못했으며, 1398년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면서 이방원 일파의 공격을 받아 살해당했다. 자신은 세자의 매형이므로 무사하지 못할 것을 알고 칼을 들고 싸우도록 허락해 달라고 태조에게 청했다. 당시 의흥친군위 절제사로서 중앙군의 지휘권을 가지고 있던 그였기에 맞서 싸운다면 해볼만 했을 것이다. 박위 등 친위병력 지휘자들도 상황을 살피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방원에게 붙은 태조의 이복동생 의안대군(이화)의 내부 교란으로 무력 대응은 수포로 돌아갔다.[5]

살해당하기 전에 경순공주가 이방원의 일파에 가담하면, 반드시 살 것이라 했지만 이를 듣지 않았다. 방번과 마찬가지로 그도 이방원을 지지했으면 적어도 목숨은 건졌을 거라는 아쉬움을 남긴다. 다만 본인은 이방석의 매부였기에 살아남을 수 없다고 여겼고, 아예 대놓고 이방원과 싸우게 해 달라고 한 만큼 더더욱 그렇게 생각한 모양이다.

슬하에 자녀가 없어서 사후 세종의 명으로 동생 이발(李發)의 아들인 이윤(李潤, 1398~1456)을 양자로 들였다.『세종실록』


3. 기타[편집]




4. 대중매체[편집]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이경영[6]이 연기했다. 비중은 딱 경순공주의 남편에 불과했으며 잠깐씩 등장하였기 때문에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지는 못했다. 경순공주로부터 "정안군에게 가담하라"는 설득을 받는 모습은 그려지지 않으며 "무안군과 함께 살려주겠다"는 정안군의 말에 감사하며 달아나던 중 회안대군에게 목숨을 잃는다.

  • 2021년 KBS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는 배우 장태훈이 연기했다. 정몽주 척살에 동의하거나 정몽주 척살 이후 공양왕을 겁박하여 왕명을 받아내고 장모인 강씨를 도와 궁궐 내의 소식을 전해준다. 조선 건국 이후 처남 이방석이 세자로 책봉되자 정도전과 함께 그의 지지자로 활동하며 이방원을 견제한다.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어떻게든 군사를 이끌고 대응하려고 하지만 주변의 반발로 실패한다. 결국 처남들인 이방번과 이방석인 모두 죽은 17회에서 아내 경순공주가 이방원에게 직접 가서 잘못을 빌면 용서해 줄거라고 필사적으로 설득하는데도 용서를 빌지 않았고, 끝내 이방원이 보낸 박포가 들이닥쳐 자신에게 칼을 들이밀자 정안군에게 똑똑히 전하라며 천벌을 받을 것이라고 저주를 퍼붓다가 아내의 눈앞에서 살해당한다.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개국 편과 태조, 정종실록에서 등장하는데 개국 편은 거의 단역에 불과해서 별다른 비중이 없었고 태조, 정종실록에선 그나마 간간이 등장하는데 1차 왕자의 난때 이제가 장인어른인 이성계에게 “전하! 왕자들이 군사를 일으켜 봉화백남은 등을 베었으니, 장차 신에게도 화가 미칠 것이옵니다. 나가 싸우도록 해주소서!”라고 말하며 이성계에게 부탁했지만 이성계의 이복동생인 이화가 “내부 문제인데 서로 싸울 게 무언가?”라고 이제를 말리면서 결국 무력대응을 접어야했고 상황이 종료된 후 집에 있었는데 이방원의 군사들이 이제의 집을 찾아와 이제를 베어버리면서 등장종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0:11:27에 나무위키 이제(조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율리우스력 10월 7일.[2] 태조의 장녀.[3] 이인임의 동생인 이인립(1333~1387)의 장남으로 동생 이발(李發, 1372~1426)이 있다.[4] 이름 한자는 다르다. 선조의 서자 이름은 '제(瑅)'이고, 본 문서에서 다루는 인물의 이름은 '제(濟)'이다.[5] 이래서인지는 몰라도 태조는 이방번과 이방석과 함께 이제의 죽음까지 꼭꼭 기억해두었다가 멀리까지 나가서 불사를 지내는 것에 대해, 태종이 조심스레 반대하자 "내가 불교를 좋아하는 건 두 아들과 사위 하나가 '저희는 서방정토로 가고 있습니다.'라고 하기 때문이다!"라고 일갈했다. 그만큼 두 아들 못지않게 사위의 죽음이 원한으로 맺힌 것.[6] 2021년 KBS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는 이방석의 장인인 심효생 역.